종합(5세 접종 1).jpg

지난 달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인 TGA가 5세 미만 영유아에 대한 COVID-19 백신접종을 잠정 승인한 데 이어 이달 첫주, 백신 관련 전문가 패널인 ATAGI가 생후 6개월 이상, 5세 미만 영유아 가운데 특정 질병을 가진 소아들을 대상으로 접종을 권장했다. 사진 : YouTube 영상 / Global National 방송

 

백신 관련 전문가 패널 ATAGI, 9월 5일부터 ‘Moderna 백신’ 접종 권장

 

생후 6개월에서 5세 미만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COVID-19 백신접종이 다음 달부터 제공된다.

지난 달 호주 의약품 구제 당국인 ‘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이 이를 잠정 승인한 이후 백신 관련 조언을 제공하는 전문가 패널 ‘Australian Technical Advisory Group’(ATAGI)이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심각한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은 약 7만여 영유아에게 오는 9월 5일부터 ‘모더나’(Moderna) 백신 접종을 할 수 있다고 권장했다.

다만 ATAGI는 “현 단계에서는 면역력 저하, 장애, COVID-19에 의해 복잡한 건강 상태가 올 수 있는 해당 연령대의 영유아에게만 권장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ATAGI는 어린이들의 경우 COVID-19 중증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해당 연령 그룹 내에서 광범위한 접종은 권장하지 않지만 관련 데이터와 백신공급 및 가용성을 기반으로, ‘권장’ 사항을 지속적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전문가 패널은 또한 영유아의 예방접종이 바이러스의 지역사회 전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도 덧붙였다.

현재까지의 조언은, 백신 적격 영유아의 경우 8주 간격으로 두 차례 접종을 하고, 중증 면역저하 영유아에게는 추가 접종을 권장한다는 것이다.

연방 보건부 마크 버틀러(Mark Butler) 장관은 ATAGI의 조언과 관련, 호주는 미국과 캐나다에 이어 5세 미안 영유아에게 COVID-19 백신접종을 시행한 첫 번째 국가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관은 “중증 질환에 취약한 어린이 그룹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들 모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면서 “이는 분명 부모가 결정할 사안이며 궁금한 것이 있을 경우 의료진과 논의할 것을 권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장관은 5세에서 11세 사이 어린이 그룹의 경우 백신접종률(두 차례 접종)은 약 40%로 그리 높은 편이 아니며, 이 연령 그룹의 절반 이상만 1회 접종을 받았음을 인정하면서 “(보건 당국 입장에서) 할 일이 더 있다”고 말했다.

5세 미만 영유아의 백신접종에 대한 ATAGI의 조언은 성인 투여량보다 활성 성분의 농도가 더 낮은 소아용 모더나 백신에 대한 TGA의 잠정 승인에 따른 것이다.

연방정부는 이미 5세 미안 영유아 접종을 위해 6개월 치 50만 회 분량의 소아 백신을 확보했으며 이달(8월) 둘째 주 이내 호주에 도착할 예정이다. 소아용 백신의 출시에 앞서 TGA는 일괄 테스트를 하게 된다.

 

종합(5세 접종 2).jpg

ATAGI의 권장 내용을 밝히는 연방 보건부 마크 버틀러(Mark Butler. 사진) 장관. 연방정부는 이미 소아용 ‘모더나’ 백신 50만 회 분량을 확보한 상태이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이 연령대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 접종 예약은 아직 불가능하지만 정부는 이의 세부 사항을 조만간 내놓을 예정이다. 다만 정부는 모든 백신접종 장소가 아니라 일부 장소에서 접종을 할 수 있도록 백신을 배포한다는 계획이다.

TGA는 또한 잠재적으로 정부에 추가 옵션을 제공하고자 이 연령대를 위한 ‘화이자’(Pfizer) 백신에 대한 평가도 시작했다.

한편 연방 보건부에 따르면 지난 달 성인 대상의 4차 접종 적격자를 확대한 이후 150만 명 이상이 네 번째 백신을 투여받았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인구 중 3분의 2가 4차 추가접종을 받은 상태이다.

 

▲ 영유아 접종 자격 기준= ATAGI는 생후 6개월에서 5세 미만 영유아 중 △면역력이 심하게 저하되고,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COVID-19의 심각한 위험을 증가시키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건강 상태인 경우에 권장한다.

이와 함께 △초기 AGAGI 권고에 포함된 암치료 또는 면역억제 치료를 포함한 중증 1차 또는 2차 면역결핍자, △골수 또는 줄기세포 이식, 키메라 항원 T-세포(CAR-T) 치료를 받거나 △복잡한 선천성 심장질환 아동, △구조적 기도 이상 또는 만성 폐질환, △제1형 당뇨, △만성 신경(neurological) 또는 신경근(neuromuscular) 질환, △중증 뇌성마비나 다운증후군(Trisomy 21)과 같이 일상 활동에 자주 도움이 필요한 장애 소아들도 접종 적격에 포함된다.

ATAGI는 COVID-19로 인해 심각한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낮은 이 연령대의 광범위한 영유아에게는 접종을 권장하지 않는다.

 

▲ 접종하는 백신은= ‘모더나’(Moderna) 백신의 소아과적 처방 백신이며, 이 연령대에 권장되는 백신 용량은 ‘모더나 백신 25 마이크로그램이다. 이는 12세 미만 어린이에게 권장되는 50 마이크로그램 모더나 백신과 12세 이상에게 권장된 100마이크로그램과 비교된다.

 

▲ 접종 예약은= 아직은 불가능하다. 연방 보건부 버틀러 장관은 이달 말에 접종 예약이 시작될 예정이며, 조만간 예약 방법 등을 공지한다는 방침이다.

 

▲ 5세 이상 아동은= ATAGI는 이 연령대 아동들에게 COVID-19 백신 2회 접종을 권장한다. 5세 이상 12세 미만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올해 1월부터 백신접종이 시작됐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5세 접종 1).jpg (File Size:78.3KB/Download:9)
  2. 종합(5세 접종 2).jpg (File Size:40.9KB/Download:12)
  3. 11 영유아(5세 미만) 백신접종 권장.hwp (File Size:31.0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37 호주 외국인 소유 농지, 빅토리아 주 넓이의 두 배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836 호주 IS, 오페라하우스 등 호주 주요 지역 테러공격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835 호주 NRMA와 손잡은 스타트업 회사 ‘Camplify’의 성공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834 호주 시드니 서부 개발 위한 ‘시티 딜’, 내년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833 호주 60년대 풍자잡지 ‘Oz’ 창간, 리차드 네빌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832 호주 도심 중심가 주택, 높은 가격에도 예비 구매자 유혹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831 호주 Top 10 Most Misunderstood Road Rules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830 호주 연방 노동당 여성 의원, 자유당 비해 2배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829 호주 ‘Father's Day’... 아버지들이 진정 원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828 호주 호주인 100만 명 이상 불량주택 거주, ‘슬럼화’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827 호주 NSW 주 180개 학교, 학생 수용 한계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826 호주 시드니사이더들, 주거지역 선택 우선 고려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825 호주 NSW 경찰, 운전-보행자 대상 1만3천 건 위반 적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824 호주 ‘학대’ 신고 1천여 건, 가해자 기소는 18건 불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823 호주 SMS에 ‘테러 계획’ 게시한 10대에 보석 불허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822 호주 ‘크라운 그룹’, 시드니 서부에 새 호텔 브랜드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821 호주 ‘시드니 메트로’, ‘뱅스타운 라인’ 신규 공사 앞두고 ‘고민’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820 호주 20대 첫 주택구입자, 테라스 주택에 14만 달러 더 지불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819 호주 The 9 most epic bike rides you can ever do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818 호주 시드니, 전 세계 ‘톱 10 살기 좋은 도시’에서 밀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