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의회 성추행 10).jpg

NSW 주 의회 사무처 및 각 의원 사무실의 근무 환경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 결과 성희롱과 성폭력, 따돌림 등이 만연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조사 대상자들이 털어놓은 소위 ‘왕따’ 사례의 52%는 현직 의원들이 의해 자행된 것이었다. 사진은 매콰리 스트리트(Macquarie Stree)에 자리한 주 의회의 상원 회관. 사진 : Parliament of NSW

 

NSW Parliamentary Executive Group 주도로 전 ‘반 성차별위원장’ 조사 결과

직원 3명 중 1명 성희롱 및 ‘왕따’ 경험... 일부 최악의 행위 가해자는 현직 의원들

 

NSW 주 의회 사무처 및 각 의원 사무실 내 근무 문화에 대한 획기적인 조사에서 성희롱과 성폭력, 속칭 ‘왕따’로 통하는 따돌림 등이 만연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 같은 파괴적 행위들의 주요 가해자는 현직 의원들이라는 게 조사에 응한 대부분 직원들이 털어놓은 내용이었다.

이는 호주인권위원회의 반 성차별위원(Sex Discrimination Commissioner)으로 일했던 엘리자베스 브로데릭(Elizabeth Broderick) 전 위원장이 조사, 지난 8월 12일(금) 브리핑을 통해 밝혀진 것으로, NSW 주 의회 직장 문화에 대한 조사를 맡은 ‘NSW Parliamentary Executive Group’은 지난해 7월, 이를 담당할 위원으로 브로데릭 전 성차별위원장을 지명한 바 있다.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따돌림이나 괴롭힘(bullying) 사례의 52%는 현직 의원에 의해 자행된 것이다.

또한 각 사무실 근무자의 2%는 성폭행을 당했거나 이 같은 행동 시도를 경험했다고 밝혔으며, 거의 10%는 한 번 이상 ‘성 폭행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거나 목격했다’는 답변이었다. 아울러 보고서는 “성폭행을 당했거나 시도를 경험했던 직원은 여성 및 남성 모두에게서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주 의회 현직 의원 및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도미닉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주 총리는 “의회 내 직장 문화에 많은 독소적 요소들이 있으며, 변화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고 밝혔다.

조사 내용과 관련하여 “이는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한 주 총리는 “우리 주 전역의 모든 직장에서 괴롭힘, 성희롱 및 성폭력 행위가 없어야 하고, 또 그렇게 되어가지만 NSW 주 의회는 그렇지 않다”며 “현직 의원들이 의회 내 직장을 안전한 환경으로 이끌지 못한다면 모든 직장의 안전에도 희망을 가질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조사에는 NSW 주 의회에서 근무하는 전체 직원의 27.7%, 거의 450명이 참여했다. 조사는 대부분 온라인을 통해 진행되었지만 100명 이상은 일대일 비밀 인터뷰를 가졌고 7차례의 비밀 그룹 세션이 진행됐다. 또한 조사위 측은 58건의 비밀 서면 제출을 받았다.

보고서는 주 의회 사무처 및 각 사무실에서 자행되는 ‘왕따’에 대해 ‘아주 체계적이고 다각적으로 이루어지는’(systemic and multi-directional) 심각한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결국 이런 점으로 인해 ‘괴롭힘을 사전에 방지한다거나 일단 사례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중단시키기 위한 구조적-문화적 보호조치’에 대한 의회 직원들의 신뢰도는 상당히 낮았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핫스폿’은 시드니 도심, 매콰리 스트리트(Macquarie Street) 상의 의회 내 각 사무실이었으며, 이 곳은 성희롱이나 특정 직원에 대한 괴롭힘으로 가장 높은 이직률을 보인 곳으로 분류됐다. 아울러 성희롱 등 사건의 약 절반은 의회 내 사무실에서 발생했으며 이외 선무관리사무소, 업무 관련 여행이나 업무와 연장된 사교 모임 등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알코올은 이 같은 직장 내 불미스런 사건 발생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종합(의회 성추행 11).jpg

호주인권위원회의 반 성차별위원회에서 일했던 엘리자베스 브로데릭(Elizabeth Broderick. 사진) 전 위원장. 그녀는 NSW 주 의회 내 직장에서 벌어지는 불미스런 관행(?)에 대한 조사를 주도했다. 사진 : Australia Human Rights Commission

 

이번 조사 보고서를 통해 ‘NSW Parliamentary Executive Group’은 주 정부에 제기하는 권장 사항으로 △내부 정책 및 행동 강령 강화, △알코올 사용 제한, △직원들이 혼자 남겨지는 것을 피하기 위한 심야 근무 중의 사무실 배치 변경, △불평등한 권력 분배와 여성 대표 부족의 균형 재조정, △문제 발생 핫스폿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등을 포함시킨다는 계획이다.

페로테트 주 총리는 이번 조사 보고서가 NSW 주 의회의 직장문화 개혁을 알리는 것이며, 권고 사항을 따를 것임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주 총리는 “이제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며 “이번 보고서가 끝이 아니고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NSW 여성부의 브로니 테일러(Bronnie Taylor) 장관은 현직 위원들 및 의회 고위 간부직들에게 모범적 행동을 보여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장관은 “이번 보고서를 읽은 이들 가운데는 특정 행위에 대해 양심이 찔릴 것”이라며 “그런 당신은 NSW 주 의회에 속해 있지 않아야 한다는 게 나의 강력한 조언”(For those particular people that may be reading this report today, you know who you are, and my very strong advice to you is that you do not belong in the Parliament of NSW)이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아울러 장관은 “나는 당신에게 이 문제를 오래도록 진지하게 생각하기를 당부하며, (불미스런 사례와 관련해) 언급된 이가 당신이라면 주 의회에서 떠나기를 바란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번 조사 보고서에 대해 야당인 NSW 노동당의 크리스 민스(Chris Minns) 대표는 “정치의 모든 측면에서 진정 어두운 면을 보여준다”면서 “우리 모두가 의회 내 각 근무 현장을 안전한 직장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민스 대표는 “의회 사무실 내에서 이런 문제를 진정으로 제기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길이 없음을 드러낸다”며 “정치인, 의원, 장관 사무실 직원에 대한 혐의를 처리하기 위한 독립 기구 요구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무소속의 알렉스 그린위치(Alex Greenwich) 의원 또한 “이번 조사 내용은 NSW 주 의회 내의 용납할 수 없고 안전하지 않은 근무 문화를 그렸다”면서 “특히 여성과 LGBTIQA+ 직원들의 경험은 참혹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는 보다 명확한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의회 성추행 10).jpg (File Size:108.3KB/Download:15)
  2. 종합(의회 성추행 11).jpg (File Size:64.1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477 호주 Domain Liveable Sydney 2016- 범죄발생과 주거 적합성 평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4476 호주 올해 ‘독감’ 기승... NSW 주서 45명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4475 호주 호주 원주민 청년 자살률, 전 세계서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4474 호주 호주 국세청, 허위 세금 환급 신청 사례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4473 호주 루시 턴불, ‘헤리티지 주택’ 파괴에 대해 “몰랐다” 일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4472 호주 The 10 best crowd-free roads worth a drive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4471 호주 8월 최고 낙찰률 기록, 도심 인근 주택가격 ‘강세’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70 호주 시드니 최대 이탈리안 축제, 10만여 인파 운집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69 호주 소비자 가격 저렴한 주유소, 시드니 남부 지역에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68 호주 뉴질랜드인들, 타 이민자보다 호주생활 더 ‘불만족’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67 호주 대부분 사립학교들, “전학? 학비 내고 가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66 호주 IPART, 연금수령자 대상 지원제도 변경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65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폭력에 강도 높은 대처...”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64 호주 심장 전문의들, 고령층 ‘심장박동’ 정기 검진 강조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63 호주 시드니 지역 가구당 교통비 지출, 연간 2만2천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62 호주 호주인들, 도박으로 연간 230억 달러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61 호주 정규직 줄고 비정규 늘어, 호주 노동시장 ‘적신호’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60 호주 시드니, 전 세계 ‘톱 10 살기 좋은 도시’에서 밀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59 호주 The 9 most epic bike rides you can ever do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4458 호주 20대 첫 주택구입자, 테라스 주택에 14만 달러 더 지불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