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entral Station 1).jpg

시드니 센트럴 기차역 및 주변 일대가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될 것으로 보인다. NSW 주 정부는 현 기차역을 중심으로 주변 24헥타르에 이르는 정부 소유 부지에 새로운 문화 허브를 조성한다는 계획안을 내놓았다. 사진은 Transport for NSW가 공개한 기차역 개발 가상도.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NSW 주 정부, 계획안 공개... 34층 이상 15개 새 건물-6헥타르의 공공 공원 조성도

10~15년에 걸친 장기 프로젝트로, 주거 및 사무 공간-소매점-다양한 문화시설 마련

 

호주에서 가장 크고 가장 많은 이들이 이용하는 시드니 센트럴 기차역(Sydney Central Station)의 재개발 계획안이 공개됐다. 이 계획은 기차노선 위에 주거지, 사무용 공간과 함께 레스토랑, 소매점, 각 문화시설을 조성한다는 내용이다.

지난 8월 22일(월) NSW 주 정부가 밝힌 바에 따르면 10년에서 15년에 걸쳐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는 시드니 록스(Rocks) 인근의 바랑가루(Barangaroo)에 이은 또 하나의 ‘문화 허브’로 비유된다. 또한 주변 교외지역을 잇는 대규모 공공 공원도 조성된다.

이날 재개발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도미닉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주 총리는 “센트럴 기차역의 새로운 모습이 금방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This won't be transformed next week)며 “하지만 몇 년 후 이곳은 시민 공간으로 완전히 변모되어 아름다운 문화 공간으로 탄생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 정부 계획안에는 850채의 신규 주택이 포함되며, 이 주거지 가운데 15%는 저소득층을 위한 저렴한 주택으로, 15%는 학생이나 싱글 직장인을 위한 임대주택 등 다양한 유형으로 개발된다. 아울러 24헥타르의 정부 소유 부지 위에 34층 이상 규모의 15개 건물이 기차 노선을 따라 남쪽으로 이어져 들어서게 된다.

 

종합(Central Station 2).jpg

지난 8월 22일(월), 센트럴 기차역 재개발 계획을 발표하는 도미닉 페로테트(Premier Perrottet. 왼쪽) 주 총리와 인프라부 롭 스톡스(Rob Stokes. 오른쪽) 장관. 사진 : 트위터 / Dom Perrottet

 

종합(Central Station 3).jpg

재개발 계획안에 따르면 34층 이상 15개 건물에 주거지와 사무공간, 레스토랑 및 소매점이 들어서게 된다. 사진 : NSW government

 

종합(Central Station 4).jpg

센트럴 기차역은 광역시드니 기차노선뿐 아니라 지방 지역을 연결하는 NSW TrainLink, 경전철, 버스 등 시드니 교통의 핵심이다. 사진은 새로 조성될 기차역사 내부 가상도. 사진 : NSW government

 

종합(Central Station 5).jpg

주 정부 계획안에는 6헥타르 규모의 공공 공원 조성도 포함되어 있다. 사진 : NSW government

   

페로테트 주 총리는 “센트럴 기차역은 호주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곳”이라고 전제한 뒤 “이곳을 보다 활기 있게 만들고 시드니 CBD의 더 밝은 미래를 제시하고자 한다”는 말로 재개발 계획 배경을 설명했다.

NSW 주 정부의 센트럴 기차역 재개발은 지난 2013년 논의됐던 계획이다. 이날 페로테트 주 총리와 함께 개발 계획을 발표한 롭 스톡스(Rob Stokes) 인프라부 장관은 “6헥타르가 넘는 규모의 공공 공원 조성이 정부 계획에 포함되어 있다”고 밝혔다.

주 정부의 이 계획안에 대한 지역사회 의견 제시는 9월 19일까지 열려 있다.

시드니 센트럴 기차역은 지난 1855년, 시드니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역으로, 지방 지역을 연결하는 NSW TrainLink, 시드니 지역 기차 서비스, 경전철 및 버스 서비스, 개인 사업자 버스 운송 등 시드니 교통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기차역을 이용하는 승객은 연간 약 9천 만 명에 이른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entral Station 1).jpg (File Size:134.1KB/Download:11)
  2. 종합(Central Station 2).jpg (File Size:69.0KB/Download:11)
  3. 종합(Central Station 3).jpg (File Size:89.6KB/Download:12)
  4. 종합(Central Station 4).jpg (File Size:111.9KB/Download:15)
  5. 종합(Central Station 5).jpg (File Size:112.2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17 호주 은밀히 진행되는 대동맥 협착증, 향후 5년 내 5만 명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6 호주 정부, 첫 주택구입자 지원으로 205억 달러 지출했으나 그 효과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5 호주 5세 미만 영유아에 COVID-19 백신접종 승인 및 권장, 6개월 미만 신생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4 호주 호주 최고 소득자들, 퍼스에 거주... 연소득 최저는 NSW 주 일부 지방 지역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3 호주 NSW 주 의회 업무 환경 조사- 성추행 및 폭행, 광범위한 ‘괴롭힘’ 만연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2 호주 NSW 주 의회 업무 환경 조사- 조사 대상자들, “It's a boys' club...”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1 호주 부동산 시장 최고의 ‘핫스폿’ 바이런 베이, 6월 분기 성장률 둔화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10 호주 3년 만에 개최된 ‘Ferragosto Festival’, 이전의 활기 다시 살아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9 호주 ‘JobTrainer’ 기금 지원, 2022-23년도 말까지 연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8 호주 NSW 주 정부, 심장병 환자 보호 위한 새 ‘앰뷸런스 패키지’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 호주 시드니 센트럴 기차역, 바랑가루 이은 또 하나의 ‘문화 허브’로 재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6 호주 코카인, 시드니사이더들의 ‘메뉴’에 다시 등장... 적발 건수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5 호주 아직 COVID-19에 감염된 적이 없다? ‘운이 좋아서’ 만은 결코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4 호주 ‘클럽 비즈니스’ 쇠퇴... 호주 밀레니엄 세대의 밤 문화 트렌드 변화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3 호주 태양광 에너지, 특정 순간 호주 전역의 가장 큰 전력 공급원 되기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2 호주 실업률, 다시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하락 원인, 좋은 소식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1 호주 전 세계 최고의 현역 사이클링 선수들, 다음달 울릉공에 집결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0 호주 호주 커플들의 이혼 신청 급증... ‘divorce coach’, 새 직업으로 떠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799 호주 9월 예정된 ‘Jobs Summit’, 호주의 숙련기술 인력 수용에 변화 있을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798 호주 NSW 주 정부, 메도뱅크 TAFE NSW에 ‘Multi-Trades Hub’ 개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