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땅콩).jpg

제2형 당뇨 위험이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땅콩 섭취 및 비섭취를 비교, 연구 결과 이들 모두에서 체중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났지만 특히 저지방 식단에 땅콩을 섭취한 그룹은 혈압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사진 : Pixabay / Grigorijkalyuzhnyj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연구팀, ‘땅콩 섭취→체중 증가’ 오해 불식

 

한줌의 땅콩은 많은 이들이 즐기는 간식 가운데 하나이다. 이 땅콩이 단순히 약간의 허기를 채워주는 정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체중 감량은 물론 심장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나왔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UniSA) 연구팀이 텍사스 공과대학교(Texas Tech University)와 공동으로 실시한 관련 연구에 따르면 매일 두 끼의 정식 식사 전 가볍게 볶은 땅콩 35그램을 섭취하는 경우 체중 감소, 혈압 저하 및 공복의 혈당수치 개선에 도움을 된다.

제2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중간 정도 또는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호주 성인 두 그룹을 평가한 연구원들은 전통적인 저지방 체중감량 식단과 이 식단에 땅콩 70그램(섬유질 15그램 추가)을 섭취한 효과를 테스트했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6개월 후 6.7kg의 체중이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땅콩을 섭취한다 해도 체중이 불어나는 게 아니었던 것이다.

특히 저지방 식단에 땅콩을 먹은 이들은 혈압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그 수준은 심혈관 질환 위험이 10% 감소하는 것과 관련된 낮은 혈압(5mmHg)을 기록했다.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땅콩 그룹’은 하루 두 차례 메인 식사 30분 전에 땅콩 35그램을 섭취했다. 대조군(땅콩을 먹지 않은 그룹)은 하루 두 차례의 주요 식사에 땅콩 또는 땅콩버터를 먹지 않았다. 아울러 두 그룹 모두 에너지 섭취량을 여성은 5500킬로줄(kilojoule, kJ. 음식을 통해 얻게 되는 에너지 단위), 남성은 7000kj로 제한하고 연구가 이어지는 내내 운동 패턴을 일정하게 유지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UniSA의 영양학과 피터 클리프턴(Peter Clifton) 교수와 제니퍼 키오(Jennifer Keogh) 부교수, 텍사스 공과대 크리스티나 페터슨(Kristina Petersen) 부교수는 “건강에 미치는 땅콩의 몇 가지 오해를 해소했다”고 말했다.

피터슨 부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건강한 불포화 지방이 많이 함유된 땅콩이 효과적인 체중 감량 식단의 일부가 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면서 “사람들은 종종 땅콩이 너무 많은 킬로줄을 함유하고 있다고 여겨 체중 감량을 시도할 때 이를 피하지만 땅콩은 실제로 포만감을 높이고 또 오래 유지할 수 있어 과체중인 이들이 다이어트를 시도할 때 진정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단백질 또는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이 포만감을 준다는 것을 인식하면 간식이나 과식하려는 충동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그녀는 “땅콩은 이런 음식 중 하나”라며 “견과류를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확실히 반가운 소식”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땅콩).jpg (File Size:81.3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497 호주 “호주 직장인들, 새로운 기술 흐름에 적응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4496 호주 광역 시드니, ‘가장 살기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4495 호주 9 of the most incredible places to sleep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4494 호주 하버 전망의 달링포인트 아파트, 178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4493 호주 호주가 배출한 최고의 서퍼, 파렐리씨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4492 호주 지난 2월 이후 시드니 도심 노숙자 18%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4491 호주 2011 센서스 통해 본 호주의 희귀 직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4490 호주 ‘인구조사’ 관련, “위반 따른 벌금은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4489 호주 UTS, ‘애니메이션 시각학’ 석사과정 개설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4488 호주 일과 후의 직장인들 대상, 문화 활동 장려 논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4487 호주 Domain Liveable Sydney 2016- 최고의 해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4486 호주 Domain Liveable Sydney 2016- 적정 주택가격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4485 호주 심화되는 부의 불평등... “호주는 더 이상 공정사회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4484 호주 14 of the world’s most expensive homes on sale right now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4483 호주 MHAHS, 다문화 사회 간염 인식 제고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4482 호주 봄 시즌, 시드니 부동산 경매시장 다시 불붙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4481 호주 태양열 전력 생산, 새로운 아이디어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4480 호주 ‘길거리 도서관’ 통한 독서 운동, 학교들 동참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4479 호주 NSW 주, 전년 대비 소비자 불만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4478 호주 Domain Liveable Sydney 2016- 젊은 전문직 종사자 최고 거주 지역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