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QLD 도로사망 1).jpg

팬데믹 이후 퀸즐랜드(Queensland) 주를 비롯해 NSW, 빅토리아(Victoria) 주에서 도로교통 사고로 목숨을 잃는 이들이 이전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관계자들은 경찰 업무가 팬데믹 봉쇄에 집중됨으로써 단속이 느슨해짐에 따라 일부 운전자들의 규정 미준수 행동이 사고발생 비율을 높인 것으로 진단한다. 사진은 QLD의 한 지방 도로. 사진 : Queensland Government

 

경찰의 ‘lockdown’ 집중 틈타 일부 운전자들, 과속운전-휴대전화 사용 증가

QLD-NSW-VIC 등 도로교통 사망자 늘어, 팬데믹 이후 사고발생 비율 높아져

 

전염병 관련 규제 조치가 대부분 해제되고 자동차 여행이 증가하는 가운데 도로교통 사고를 우려하는 자료가 나왔다. 관계자들은 COVID 록다운이 운전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면서 올 들어 퀸즐랜드를 비롯해 NSW, 빅토리아 주에서도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는 이들의 수가 늘어났다고 경고했다.

QLD의 경우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도로 상에서의 사고 사망자는 20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83명에 비해 8% 증가했다. 또한 지난 5년간의 평균 사망자에 비해 21% 높은 수치이다.

QLD 경찰청의 자넬 앤드류스(Janelle Andrews) 부청장은 “운전자들이 규정을 준수했다면 202명의 사망 사례 대부분을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앤드류스 부청장은 “도로 현장에서 우리가 확인하는 것은 운전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제한속도를 지키지 않은 채 산만하게 운전을 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약물이나 술이 취한 상태에서 운전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 한해 통틀어 QLD 전역의 도로에서는 총 30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지난 2009년 331명이 사망한 이후 최악의 수치였으며, 8월 현재까지 사망자 수를 감안할 때 올해는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NSW 주에서도 지난해 1월부터 8월까지 270명에서 올해 같은 기간에는 283명으로 도로교통 사망자가 늘어났다. 빅토리아 주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 144명에서 올해에는 164명으로 13%가 증가했다.

 

‘록다운’에의 안주

 

도로사고 및 교통안전을 연구하는 퀸즐랜드 공과대학교(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Centre for Accident Research & Road Safety’의 테레사 센세릭(Teresa Senserrick) 교수는 COVID-19 봉쇄가 운전자 행동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종합(QLD 도로사망 2).jpg

교통사고의 대부분은 과속, 음주운전, 산만한 상태에서의 운전에서 발생되며, 그로 인한 심각성도 크다. 사진은 속도위반을 단속하는 QLD 주의 한 경찰. 사진 : Queensland Police Service

  

센세릭 교수는 “지난 2년여 동안 QLD 경찰이 주 경계(State Border) 봉쇄에 집중했다는 점은 운전자들의 운전습관이 바뀌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 예로, 미디어를 통해 경찰의 업무가 주 경계의 통행 차단을 강화하는 쪽으로 집중되었음이 알려지면서 운전자들은 경찰의 도로교통 단속이 느슨해졌음을 알게 됐고, 이로써 규정을 위반하여 운전하는 행동이 증가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동 센터는 봉쇄 전후의 운전자 행동을 조사했으며 이를 통해 COVID-19 제한 조치가 강화됐던 시기, 운전자들의 습관이 나빠졌고 위험하게 운전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센세릭 교수는 “조사 결과 예전에 음주 상태에서 운전을 하지 않았던 이들도 (경찰 단속이 거의 사라짐에 따라) COVID 기간에는 술을 마시고 운전을 하기도 했다는 답변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팬데믹 사태 이후 사람들이 대중교통(많은 이들이 운집한)을 이용하기보다 자동차 운전을 선택하는 경향이 증가했음도 도로교통 사고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안전벨트 미착용,

의외로 많이 적발

 

QLD의 도로교통 피크 단체인 RACQ(Royal Automobile Club of Queensland)가 이달 초 내놓은 ‘교통안전 조사’는 운전자의 거의 74%가 규정 속도를 넘어 과속을 했음을 보여준다.

또 약 41%의 운전자는 아주 피곤한 상태에서, 13%는 잠재적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초과한 상태에서 운전을 했다. 뿐 아니라 거의 30%는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주의가 산만해진 상태에서 운전했음을 시인했다.

센세릭 교수는 운전자들의 과속은 여전히 계속되는 문제이지만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의 경우 주 정부가 이를 탐지해내는 감시 카메라를 도입함으로써 이미 성공적인 억제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종합(QLD 도로사망 3).jpg

퀸즐랜드(QLD) 주 경찰청이 새로 도입한 특수 카메라는 안전벨트 미착용, 운전 중의 휴대전화 사용을 적발해낸다. 사진 : QLD 주 교통 및 주요 도로부(Transport and Main Roads)

   

하지만 안전벨트 미착용 문제가 계속 대두되고 있다. 센세릭 교수에 따르면 수십 년 전 호주는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의무를 법으로 도입하는 데 있어 전 세계를 주도했지만 감시 카메라 도입 후를 보면 이를 착용하지 않은 채 운전하는 이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QLD 경찰청의 앤드류스 부청장은 “이 새로운 카메라는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던 안전벨트 미착용 운전자 및 탑승자를 정기적으로 적발해내고 있다”고 말했다.

 

신체적 부상 사례,

크게 늘어나

 

도로교통 사고로 다행히 목숨을 잃지는 않지만 부상을 입는 사례 또한 더욱 증가했다. 지난해 QLD 전역의 도로에서는 총 7,863건의 충돌사고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가 병원에 입원했다. 이는 2020년에 비해 12% 증가한 수치이다.

앤드류스 부청장은 “심한 충돌, 치명적 사고를 조사하는 우리의 법의학 부서는 문제의 심각성을 분명하게 느끼고 있다”면서 “사고를 입은 피해자들의 이후 영향을 감안해 운전자들에게 규정 준수와 안전운전을 호소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교통사고에서, 사망자에 비해 심각한 부상과 관련한 영향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가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센세릭 교수도 “도로에서의 안전운전을 상기시키는 데 있어 사망자 수치가 주로 활용되었지만 이제는 국가적 관심이 ‘교통사로로 인한 심각한 부상의 영향’을 알리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QLD 도로사망 1).jpg (File Size:135.8KB/Download:13)
  2. 종합(QLD 도로사망 2).jpg (File Size:88.5KB/Download:12)
  3. 종합(QLD 도로사망 3).jpg (File Size:70.1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517 호주 NSW 주립미술관 ‘2016 아치볼드’ 전시회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16 호주 도심 인근 주택 ‘프리미엄’, 낙찰가 강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15 호주 치솟는 주택가격... 시드니 아파트도 ‘100만 달러’ 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14 호주 ‘미니루스’, 5개국 청소년 여자축구교실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13 호주 80년 역사 목조 에스컬레이터, 사라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12 호주 미국 노선 호주 항공사들, ‘좌석 업그레이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11 호주 12월부터 ‘P’ 면허증 소지자 운전 규정 강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10 호주 17년 이래 인플레 최저 수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09 호주 지방대학들, 연방정부의 HECS 상환 제안 ‘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08 호주 호주 ‘Child Prosperity Index’ 순위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07 호주 ‘2016 Houses Magazine Awards’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06 호주 노동당 플리버세크 부대표, 교육부 담당 겸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05 호주 Australia's bloodiest WWI... ‘Fromelles’, ‘Pozieres’ 전투 1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4504 호주 겨울 시즌 시드니 경매시장, ‘셀러스 마켓’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4503 호주 RBA, 기준금리 추가 인하 단행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4502 호주 호주, 전 세계 여행자들의 ‘최고 선호 여행지’ 꼽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4501 호주 글로벌 추세 따라 호주인 중국 유학,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4500 호주 “시드니 주거지 개발 붐, 공급과잉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4499 호주 연방 정부, 새로운 메디케어 계획안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4498 호주 2016 호주 인구조사, 어떻게 진행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