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Queen's Birthday 1).jpg

호주에서 Queen's Birthday는 공식 휴일이다. 물론 각 주(State and Territory)마다 날짜는 다르다. 이 명칭을 가장 먼저 ‘King's Birthday’로 공식 변경한 곳은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와 빅토리아(Victoria)이며 일부에서는 ‘Birthday of the Sovereign’(비공식으로는 여왕 생일)으로 표기한다. '국왕 생일'이라는 명칭 변경은 각 주 정부의 결정에 달려 있다. 사진은 한 왕실 공식 행사장에 입장하는 찰스 왕세자와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사진 : Facebook / The Royal Family

 

WA-VIC, ‘국왕 생일’로 이미 명칭 변경... NSW, ‘Public Holiday Act’ 법 수정 필요

 

지난 9월 22일(목)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을 추모하는 임시 공휴일이었다. 그리고 며칠 뒤인 9월 26일(월),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 주는 또 한 번의 휴일을 가졌다. 바로 ‘여왕 생일’(Queen's Birthday) 휴일이었다.

여왕 생일 휴일은 각 주(State and Territory)마다 달라 WA와 퀸즐랜드(Queensland)를 제외한 주에서는 매년 6월 둘째 주 월요일을 휴일로 하고 있으나 WA는 매년 9월 마지막 주, 또는 10월 첫째 주 월요일을 ‘여왕 생일’로 기념하고 있다(QLD는 매년 10월 첫주 월요일).

지난 9월 8일(런던 현지시간) 여왕이 서거한 뒤 WA와 빅토리아(Victoria)는 호주 각 정부관할 구역에서 ‘여왕 생일’이라는 명칭을 ‘국왕 생일’로 가장 먼저 변경한 주이다. 이제 WA의 공식 명칭은 ‘King's Birthday’이다.

하지만 다른 주 및 테러토리는 아직 공식적으로는 명칭이 변경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언제쯤 바뀌며, 찰스 3세 국왕의 실제 생일은 언제일까.

 

▲ Queen's Birthday Holiday는 언제 ‘King's Birthday’로 바뀌나= WA와 VIC는 이미 이 공휴일의 공식 명칭을 ‘왕의 생일’로 변경했다. ‘여왕 생일’ 휴일을 갖던 QLD, ACT 및 타스마니아(Tasmania)에서는 ‘Queen's Birthday’라는 공식 명칭 대신 ‘Birthday of the Sovereign’이라 했으며, 비공식적으로는 ‘여왕 생일’이다.

노던 테러토리(Northern Territory)와 남부호주(South Australia)는 NSW와 같은 6월 둘째 주 월요일을 휴일로 이어오고 있으며, 이 날짜에 대한 공식 명칭은 아직 ‘Queen's Birthday’라고 되어 있다.

 

종합(Queen's Birthday 2).jpg

여왕 국장 후 시민들과 만나는 찰스 3세 국왕. 앞으로 ‘King's Birthday’가 될 이 휴일의 날짜 변경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 : Facebook / The Royal Family

     

NSW는 NT, SA와 같은 날을 휴일로 정하고 있지만 ‘여왕 생일’을 포함하여 공휴일 일정은 공휴일 법(Public Holiday Act, 2010)에 명시되어 있다. 때문에 ‘Queen's Birthday’라는 명칭 자체를 ‘King's Birthday’로 변경하려면 이 법을 수정해야 한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그러했듯, 찰스 3세 국왕 또한 이 공휴일 공식 명칭을 내년쯤으로 예상되는 대관식(coronation) 이후로 미룰 수도 있다.

 

▲ 날짜는 그대로 유지되나= 호주의 각 정부관할 구역에서의 ‘여왕 생일’ 휴일은 1938년 이후 동일했기에 ‘King's Birthday’가 된다 하더라도 이 날짜가 변경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하지만 주 정부에서 다른 날짜를 정할 수도 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부친이었던 조지 6세 국왕(King George VI)은 대관식을 하던 5월 12일을 휴일로 정했다. 그의 뒤를 이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6월 2일, 대관식과 생일(실제 생일은 4월 21일)을 기해 공휴일로 했다. 따라서 찰스 3세 국왕이 대관식을 갖는 날짜에 따라 호주의 각 주 및 테러토리는 ‘King's Birthday’ 휴일을 다른 날로 옮길 수도 있다.

 

▲ 각 주마다 휴일이 다른 이유는= WA와 QLD를 제외하고 모든 주와 테러토리에서는 6월 둘째 주 월요일을 기념한다. WA에서 6월이 아닌 다른 날로 정한 것은 ‘여왕 생일’에 앞서 이미 정해진 ‘Foundation Day’(지금은 ‘Western Australia Day’로 명칭이 바뀌었음)를 매년 6월 첫 주 월요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종합(Queen's Birthday 3).jpg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실제 생일은 4월 21일(1926년)이며 찰스 3세 국왕은 11월 14일(1948년)이다. 현재 호주의 대부분 주에서 지내는 'Queen's Birthday'(앞으로 ‘King's Birthday’가 될. 매년 6월 둘째 주 월요일)와 가장 가까운 실제 생일을 가진 군주는 여왕의 할아버지인 조지 5세 국왕(King George V. 사진)으로, 그의 출생일은 1865년 6월 3일이다. 사진 : Wikimedia

   

이 휴일은 제임스 스털링(Captain James Stirling RN)이 이끄는 첫 유럽 정칙민이 서부호주를 식민지화 하고자 지금의 퍼스 스완 강(Swan River)에 도착한 날을 기념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King's Birthday’(며칠 전까지만 해도 ‘Queen's Birthday’)는 다른 날로 옮겨졌고, 퍼스의 연례 농작물 품평회(Sydney Royal Easter Show와 같은)인 ‘Perth Show’ 휴일이 언제로 결정되는지에 따라 매년 9월 마지막 주 또는 10월 첫 주 월요일로 정해졌다. 이렇게 함으로써 WA 주의 각 지방정부(local government)는 공휴일 대체 날짜를 선택해 각 지역의 농산물 쇼 날짜와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QLD 주의 ‘여왕 생일’ 휴일은 보다 많은 주민들이 이 날을 즐기도록 한다는 취지로 2012년 10월로 옮겼으나 2013년 주 정권이 바뀌면서 다시 6월로 변경됐고, 노동절(Labour Day)을 10월에 갖는 것으로 했다.

이어 2015년 들어선 새 주 정부가 다시 공휴일을 변경, 노동절을 5월로, ‘Queen's Birthday’를 10월로 바꾸었다.

 

▲ 여왕과 찰스 3세 국왕의 실제 생일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출생 일자는 1926년 4월 21일이다. 그리고 찰스 3세 왕은 1948년 11월 14일 태어났다. 하지만 여왕 생일(현재 또는 앞으로 ‘왕의 생일’이 될)이 6월로 된 것은 1938년 조지 6세 국왕(King George VI)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정해진 것이 그대로 이어졌던 것이다. 물론 조지 6세 국왕의 실제 탄생은 1895년 12월 14일이다.

‘6월’ 날짜와 가장 가까운 왕실 군주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할아버지인 조지 5세 국왕(King George V)으로, 그의 출생일은 1865년 6월 3일이다.

 

▲ 찰스 3세 국왕 대관식 날은 임시휴일이 될까= 아버지 조지 6세 국왕(5월 12일 대관식)과 마찬가지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 날(6월 2일)은 여왕 생일을 겸해 공휴일로 정해졌다. 영국에서 왕(또는 여왕)의 대관식은 대체로 임시 휴일을 갖는다.

 

종합(Queen's Birthday 4).jpg

90세 생일 당시, 왕실의 어린 후손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사진 : UK Royal Archives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은 아버지가 사망하고 1년 넘은 시간이 지난 후에 거행됐다. 찰스 3세 국왕 또한 내년쯤 대관식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날 호주에서 추가로 임시 휴일을 가질 것인지는 아직 단정할 수 없다.

 

▲ 공휴일은 누가 정하나= 각 주 및 테러토리 정부는 공휴일을 선언한 책임과 권한이 있다. 크리스마스, 안작데이(ANZAC Day), Australia Day처럼 전국적으로 같은 날짜에 발생하는 국가적 기념일이 있지만 ‘Western Australia Day’처럼 일부 주에서는 자체 공휴일을 갖는다.

VIC에서는 AFL 결승전, 멜번 컵(Melbourne Cup day)과 같은 추가 공휴일이 있으며, SA에서는 Queen's Birthday와 같은 날을 ‘National Volunteers Day’로 지정해 기린다. NT는 매년 8월 첫 주 월요일을 ‘Picnic Day’로 정해 놓았다.

그런 한편 각 주 및 테러토리 정부는 지역 농산물 쇼와 일치하기 위해 추가로 임시 휴일을 지정하기도 한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Queen's Birthday 1).jpg (File Size:118.3KB/Download:21)
  2. 종합(Queen's Birthday 2).jpg (File Size:113.0KB/Download:18)
  3. 종합(Queen's Birthday 3).jpg (File Size:69.1KB/Download:19)
  4. 종합(Queen's Birthday 4).jpg (File Size:92.5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알바니스 총리, 차기 호주 총독에 법조인 겸 사업가 사만타 모스틴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6 호주 NSW 운전자 대상, 도로 통행료 환급신청 접수 시작... 클레임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5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 계획에서 가계 재정부담 완화 방안 제시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4 호주 유닛을 구입하고 투자 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주요 도시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3 호주 새로 적용된 학생비자 입안자, ‘노동당 정부의 대학 단속’으로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2 호주 심각한 주택부족 상황 불구, 시드니 지역 ‘빈 집’ 2만 가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1 호주 시드니 전역 유명 사립학교 학부모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0 호주 ‘Hambledon Cottage’ 200년 주년... 파라마타 시, 관련 기념행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9 호주 ‘주택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어려움, ‘baby boomers의 고령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8 호주 파라마타 시, ‘Arthur Phillip Park’ 재개장 기해 야외 영화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7 호주 계속된 생활비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 저축액 1천 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6 호주 Express. Empower. Get Loud!... CB City, ‘청년주간’ 행사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5 호주 팬데믹 이후 호주 인구 ‘급증’ 속, 가장 큰 영향 받는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4 호주 투자 부문의 최고 ‘인플루언서’, “고령화 위기 대비하려면 호주 본받아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3 호주 주택을 구입할 때 침실 하나를 추가하려면 얼마의 급여가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2 호주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적 확산 추세 따라 해당 비자 제공 국가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1 호주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대학원 과정은 ‘건강’ 및 관련 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0 호주 늘어나는 신용카드 사기... 지난해 호주인 손실, 22억 달러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9 호주 월별 CPI 지표, 3개월 연속 3.4% 기록... “하향 추세 판단, 아직 이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8 호주 주택시장, ‘인상적 성장세’ 지속... 1년 사이 중간가격 6만3,000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