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Thomas Keneally 1).jpg

호주에서 가장 유명한 작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토마스 케닐리(Thomas Keneally. 사진)씨가 지난해 출간한 ‘Corporal Hitler’s Pistol’로 호주 및 뉴질랜드 작가들에게 수여하는 올해 ‘ARA 역사소설상’(ARA Historical Novel Prize)을 수상했다. 사진 : Sydney Mechanis' School of Art

 

지난해 출간 ‘Corporal Hitler's Pistol’로... “최종 후보자들과 상금 나누겠다” 밝혀

 

호주에서 가장 유명한 작가 중 하나이자 고령의 역사 소설가가 올해 ‘ARA 역사소설상’(ARA Historical Novel Prize)을 수상자로 선정된 가운데, 이 상금을 최종 후보들과 나누겠다고 밝혀 또 한 번 화제가 됐다.

올해 10월로 꼭 87세가 된 토마스 케닐리(Thomas Keneally) 작가가 지난 10월 20일(목) 발표된 올해 ARA 역사소설상을 수상했다. 케닐리 작가는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유명 영화 중 하나인 ‘쉰들러 리스트’(Schindler's List)의 원작 ‘Schindler's Ark’의 작가이자 여러 유명 문학상을 수상한 호주 최고 반열의 작가 중 하나로 꼽힌다.

‘ARA Historical Novel Prize’는 호주 및 뉴질랜드 역사소설 작가들에게 주어지는 문학상으로, 작가들에게 그들의 클라스를 인정받는 기회를 제공하는 유명 문학상이다.

이날(10월 20일) 수상자 선정이 발표된 후 그는 5만 달러의 상금을 “요실금 패드에 사용하기보다는(그는 87세의 고령이다) 이를 올해 준우승 작가들과 나누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는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후보 명단에 오른 다른 작가들을 돌보고 싶다”며 “사람들을 위한 글쓰기는 종종 생계를 위해 작은 돈을 모아야 하는 문제가 되기도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나 자신을 위해 상금을 비축하고 노년의 위험을 대비하고 싶지 않다”는 말도 곁들였다.

이에 따라 그는 올해 이 문학상 롱리스트(longlist)에 이름을 올린 6명의 작가들에게 각 4,000달러를 제공할 예정이다.

그는 자신의 수상자 선정에 대해 “스스로를 아직도 소설 작가라고 믿는 확인이었다”고 말했다. “87세의 나이에 작품을 만들어가는 것은 25세에 소설을 쓰는 것과 똑같은 과정”이라는 그는 “하지만 가끔은 문학상을 받아야 소설가라는 망상(delusion that we're a novelist)을 유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종합(Thomas Keneally 2).jpg

토마스 케닐리 작가의 소설 ‘Corporal Hitler’s Pistol’(Penguin Books 발간). 이 작품은 제 1, 2차 세계대전 사이의 트라우마가 호주의 한 농촌사회에 미친 영향을 그려낸 것이다. 사진 : Penguin Books Australia

 

케닐리 작가는 1967년 호주 최고 권위의 ‘마일즈 프랭클린 문학상’(Miles Franklin Award), 1982년에는 ‘영어권 작가들의 노벨문학상’으로 일컫는 ‘맨부커상’(Man Booker Prize)을 비롯해 다수의 문학상 수상 및 최종 후보에 올라 명성을 얻은 소설가이다.

지난해 8월 출간한 ‘Corporal Hitler's Pistol’(히틀러 상병의 권총)은 NSW 중북부, 미드 노스코스트 지역(Mid North Coast region)에 있는 그의 고향 켐시(Kempsey)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1933년을 배경으로 제 1, 2차 세계대전 사이의 트라우마가 호주 시골 마을에 미치는 영향을 파고든다.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으로 시작된 ‘끝나지 않은 전쟁’ 이야기이다. 1차 세계대전 직후 호주 농촌 커뮤니티는 용광로와 같았으며 많은 이들은 다양한 사람들을 받아들였다. 작가는 자신에게 익숙한 고향을 배경으로 20세기 초 흑인(원주민)과 백인 사이의 상호작용 및 관계에 대해 설득력 있는 이야기를 담아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Thomas Keneally 1).jpg (File Size:84.8KB/Download:15)
  2. 종합(Thomas Keneally 2).jpg (File Size:61.6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577 호주 “불명예 전역 간부후보생 자살은 교육대 가혹행위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4576 호주 ATO, 업무용 경비 세금환급 부문 집중 조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4575 호주 이너 웨스트 카운슬 행정관, ‘조기선거 가능’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4574 호주 광역 시드니 주택부족 심화... 공급 한계 이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457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실업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4572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 주택정책이 판세 가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4571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의 시드니 서부 관련 공약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4570 호주 NSW Budget- 기반시설 투자 집중... 취약계층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4569 호주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 개장 2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456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브렉시트 불안감’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67 호주 왕립위원회, “군 내 성범죄는 국가적 망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66 호주 시드니 동부 역사적 건축물, 매각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65 호주 리드 지역구 후보들, 연방 정부 교육정책 토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64 호주 시드니 남서부 워윅팜 기차역서 승객 사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63 호주 “공립 교육 확대를 위한 예산-변화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62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61 호주 호주 가정 음식 폐기물, 연간 8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60 호주 대중교통 시설의 갖가지 세균에 대한 불편한 진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59 호주 호주 정부의 총기환매 이후 자살-살인율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4558 호주 연방 이민부 내부 부정 내부 고발... 거센 후폭풍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