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가격 변화 1).jpg

2020년 3월 이후 주택시장 호황기 당시 시드니 대부분 교외지역(suburb)에서 가격이 급등했으나 지난해 침치를 겪으면서 많은 지역에서 당시의 상승폭이 사라진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달링허스트 중심가 메인 도로. 이 교외지역은 시장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올 1월 현재 16.7%의 하락을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 : Visit Sydney Australia

 

‘CoreLogic’ 보고서, 부동산 붐 당시의 가격 상승률, 침체 시기 하락에 비해 높아

 

전염병 사태 이후의 부동산 붐 당시 기록한 엄청난 가격 상승이, 시드니 대부분 교외지역(suburb)에서 지워졌다는 분석이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구매자의 담보대출(mortgage) 차입 능력이 감소하고 주택가치 또한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관련 보고서를 보면 바이러스 대유행과 함께 시작된 가격 상승률이 이후의 침체기에 기록한 하락 비율보다 높은 시드니 교외지역은 절반이 넘는다.

이달 셋째 주, 부동산 컨설팅 사 ‘코어로직’(CoreLogic)이 내놓은 새로운 수치에 따르면 유닛 가격이 2020년 3월 이전의 중간가격 수준으로 돌아간 광역시드니 교외지역은 거의 절반에 이르지만 단독주택(house)은 약 10%만이 이에 해당된다.

‘코어로직’ 보고서는 올해 1월 시드니 지역 유닛 가격이 정점을 기록한 2021년 11월에 비해 10.5% 하락했으나 2020년 3월 이전에 비해서는 여전히 0.2%가 높다. 또 단독주택 가격은 2022년 1월 정점에서 15% 떨어졌지만 팬데믹 이전에 비해서는 10.6% 높은 수준임을 보여준다.

‘코어로직’의 팀 로리스(Tim Lawless) 선임연구원은 “구매자의 주택 유형 선호도가 고밀도에서 멀어짐에 따라 전염병 대유행 시기의 시장 호황 당시 유닛 가격은 단독주택에 비해 덜 증가했다”고 말했다. 때문에 “이후 침체기에 접어들면서 단독주택에 비해 더 빠른 속도로 하락했다”는 것이다.

이어 로리스 연구원은 “다만 더 많은 완충을 감안할 때 시드니 지역 중간 주택가격의 상당한 급등이 지워질 가능성은 낮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고 진단했다. “일각에서는 주택가격이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기도 하지만 최악의 상황은 지난 것으로 보인다”는 그는 “구매자들이 연속된 이자율 충격에 적응하고 있으며 낮은 수준의 매물 공급은 가격 하락을 제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가격 변화 2).jpg

도심 인근 서리힐(Surry Hills. 사진)의 단독주택 중간가격은 16.6% 하락을 기록했다. 사진 : Brady Marcs Buyers Advisory

   

단독주택은 유닛에 비해 가격 손실이 덜 광범위했지만 도심 일부 지역의 단독주택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서리힐(Surry Hills)과 달링허스트(Darlinghurst)의 주택은 2020년 3월에 비해 거의 17%(약 35만 달러)가 떨어졌으며 레드펀(Redfern),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뉴타운(Newtown)도 10% 넘게 하락했다.

시장 호황기, 주택가격이 30% 이상 급등했던 북부 해안의 콜라로이(Collaroy)와 맨리(Manly)도 2020년 3월 이전 수준보다 약간 낮았다. 맨리의 경우 중간 주택가격은 2021년 10월 정점 이후 금액으로는 약 128만 달러 이상 하락했다.

‘코어로직’의 이번 보고서는 연간 최소 20건 이상의 주택거래가 이루어진 교외지역을 가격 분석에 포함시켰다.

로리스 연구원은 가격 면에서 상단에 있는 시장이 먼저 정점을 찍었고, 모기지 차입 능력이 감소하여 더 많은 구매자들이 보다 낮은 가격대의 주택에 눈을 돌림에 따라 중간가격 및 그 이하 가격대 주택의 경우 시장 침체기에 영향을 덜 받았다고 설명했다.

유닛 시장은 혼합된 모습을 보였다. 에핑(Epping)과 라켐바(Lakemba)의 유닛 가격은 10% 이상 하락했지만 이들 교외지역은 호황기에도 사실상 상승이 거의 없었던 곳이다. 반면 시드니 동부 센테니얼 파크(Centennial Park)와 브론테(Bronte)의 경우에는 호황기의 가격 성장 부분이 지난해 침체기 동안 상당 부분 사라졌다.

NBA 은행 가레스 스펜스(Gareth Spence) 선임연구원은 COVID 이후의 가격 상승 부분이 지워지는 것에 놀랍지 않다는 반응이다.

“우리는 전국적으로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 약 18% 대의 감소를 예측하기도 했으며, 약 9%를 목격했다”는 스펜스 연구원은 “이 같은 예측을 하게 된 배경은 (이자율 상승에 따른) 모기지 차입 능력의 감소”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주택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구매 능력이 악화되었으며, 대출금 차용 능력이 가격하락보다 더 많이 감소했기에 앞으로 금리가 올라감에 따라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NAB는 최소한 5월까지, 호주 기준금리는 4.1%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부동산(가격 변화 3).jpg

부동산 컨설팅 사 ‘코어로직’(CoreLogic)의 집계 결과 유닛 가격이 가장 크게 하락한 교외지역은 에핑(Epping)으로, 하락폭은 12.9%에 달했다. 사진은 에핑의 한 신축 아파트. 사진 : Homely

   

그런 반면 스펜스 연구원은 강한 노동 수요 및 임대시장, 여기에다 해외에서의 유입 인구가 증가하면서 주택가격 하락을 제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부동산 중개회사 ‘BresicWhitney’ 사의 토마스 맥글린(Thomas McGlynn) 최고경영자는 구매자가 잠재적 위험이나 기회에 빠르게 반응하기에 도심 및 고가의 주택 지역이 시장 호황과 침체를 이끄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맥글린 CEO는 “주택가격은 많은 교외지역에서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지만 대부분 구매자의 구입 능력은 더 악화됐다”고 진단했다. “이는 모기지 차입 능력 감소, 부담이 높아진 모기지 금리와 생활비, 아직은 부진한 임금 상승 등이 구매자 심리를 누르고 있다”는 그는 “또한 시장에 나오는 양질의 부동산이 적어 중간 가격에 더 많은 하향 압력이 가해졌다”고 덧붙였다.

 

■ 호황기 가격 상승이 지워진 교외지역

(Suburb : 중간가격 / 상승률-2020년 3월에서 2023년 1월 사이)

▲ Houses

Darlinghurst : $2,031,885 / -16.7%

Surry Hills : $1,799,045 / -16.6%

Redfern : $1,616,482 / -14.0%

Alexandria : $1,706,853 / -12.5%

Newtown : $1,525,198 / -12.1%

Chippendale : $1,543,861 / -11.8%

Forest Lodge : $1,983,235 / -11.3%

Camperdown : $1,624,702 / -11.1%

Erskineville : $1,482,331 / -10.9%

Birchgrove : $2,727,928 / -10.3%

Darlington : $1,574,738 / -8.7%

Parramatta : $1,247,369 / -8.3%

Balmain East : $3,233,911 / -8.3%

Rosebery : $1,828,272 / -7.5%

St Peters : $1,430,847 / -7.2%

Waverley : $3,126,971 / -6.9%

Glebe $2,123,507 / -6.8%

Lilyfield : $1,984,840 / -6.5%

Annandale : $1,878,144 / -6.4%

Enmore : $1,589,218 / -6.4% 

 

부동산(가격 변화 4).jpg

호황기의 상승한 주택가격이 2020년 3월 수준으로 하락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전체의 약 10%에 이른다. 사진은 하버필드(Haberfield)의 한 매물 주택. 사진 : BresicWhitney Balmain

   

▲ Units

Epping : $748,716 / -12.9%

Lakemba : $403,506 / -11.0%

Waverley : $1,058,373 / -10.8%

Berala : $436,713 / -10.8%

Pennant Hills : $750,044 / -10.5%

Northbridge : $1,157,978 / -9.4%

Wiley Park : $409,010 / -9.3%

Rockdale : $634,118 / -9.2%

Beecroft : $930,547 / -9.1%

St Leonards : $1,023,526 / -9.0%

Arncliffe : $691,527 / -8.8%

Hurstville : $642,577 / -8.5%

Paddington : $994,434 / -8.4%

Centennial Park : $786,195 / -8.3%

Pymble : $963,079 / -8.1%

Harris Park : $467,770 / -8.0%

Bronte : $1,257,658 / -8.0%

Punchbowl : $445,975 / -8.0%

Fairlight : $1,429,351 / -7.9%

Roseville : $903,882 / -7.7%

Note: Median data is at January 2023

Source: CoreLogic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가격 변화 1).jpg (File Size:105.5KB/Download:18)
  2. 부동산(가격 변화 2).jpg (File Size:155.5KB/Download:17)
  3. 부동산(가격 변화 3).jpg (File Size:140.3KB/Download:19)
  4. 부동산(가격 변화 4).jpg (File Size:126.5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57 호주 기상청, 올 여름 ‘엘니뇨 선포’... 일부 도시들, 극심한 여름 더위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6 호주 연방정부, 구직자들에게 디지털 ID 제공하는 ‘국가 기술여권’ 시행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5 호주 시드니 BTR 임대주택 건설, ‘높은 토지가격-실행 가능한 부지 부족’이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4 호주 각 주택의 확산되는 전기 생산 태양열 패널, 발전회사의 전기가격 ‘잠식’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3 호주 ‘Voice to Parliament’ 국민투표 ‘가결’된다면, 호주 헌법 변경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2 호주 이제는 ‘$2 million club’... QLD 남동부 해안 주택, 200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1 호주 “호주 근로자들, 생산성 둔화로 연간 2만5,000달러의 ‘몫’ 잃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50 호주 원자재 가격 강세-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연방정부, 220억 달러 ‘예산 흑자’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49 호주 네 번째 감염파동 오나... ‘고도로 변이된’ COVID 변종, 호주 상륙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5048 호주 ‘현금 없는 사회’로의 전환... 개인정보 보호-안전 문제 ‘우려’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7 호주 매일 2천 명, 입국 러시... 호주 인구, 역사상 최대 기록적 속도로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6 호주 Age Pension-JobSeeker-Youth Allowance 등 정부 보조금 ‘인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5 호주 연방정부의 100억 달러 ‘Housing Australia Future Fund’, 의회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4 호주 NSW budget 2023-24; 올해 예산계획의 Winner와 Loser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3 호주 NSW budget 2023-24; 늘어난 주 정부 세수, 올해 예산계획에 ‘반영’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2 호주 8월 호주 노동시장, 6만5천 명 신규 고용... 실업률 3.7%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1 호주 ‘Online Fitness to Drive’, 고령층 ‘운전면허 유지’ 결정에 도움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5040 호주 만성적 주택 부족 겪는 시드니, ‘매년 100억 달러의 경제적 타격’ 입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5039 호주 NSW 주 정부, 의료부문 인력 확보 위해 학생 대상 ‘보조금’ 대폭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5038 호주 NAPLAN 데이터, 학업성취 측면에서 단일성별 학교의 이점 ‘부각’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