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공화제 1).jpg

“호주인들이 가까운 장래, 공화국 전환 연부를 두고 국민투표를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생각이다.” 호주 출신의 헐리우드 스타로, 호주와 영국 이중국적을 갖고 있는 휴 잭맨(Hugh Jackman)이 호주의 공화제 전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사진 : BBC 방송 화면 캡쳐

 

영국 BBC 방송 ‘Sunday Morning’ 프로그램서... “국가 진화의 자연스러운 부분”

 

호주 출신의 헐리우드 스타로, 호주 및 영국 두 국가 국적을 갖고 있는 휴 잭맨(Hugh Jackman. 54)씨가 호주의 공화제 전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잭맨씨는 “호주인들이 가까운 장래, 공화국 전환 연부를 두고 국민투표를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찰세 3세 왕에 대해 “결코 악의는 없다”(absolutely no ill will)고 전제한 뒤 (호주가) 영국 군주제에서 벗어나는 것은 “국가 진화의 자연스런 부분처럼 보인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는 그가 지난 2월 19일(일. 런던 현지시간), BBC 방송의 대표적 프로그램 중 하나인 ‘Sunday Morning’ 진행자 로라 쿠엔스버그(Laura Kuenssberg)씨와의 대담에서 자신의 의견을 밝힌 것으로, 그는 먼저 “영국과 호주 이중국적을 갖고 있으며 왕실을 지지하는 가정에서 자랐다”는 점을 밝힌 뒤 “호주가 언젠가는 공화제가 될 것이라 생각하며, 자연스럽게 느껴진다”면서 “이는 불가피한 일이라 생각되고 또한 국가 발전의 자연스러운 부분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영화 ‘X-Men’ 시리즈를 비롯해 ‘Kate & Leopold’, ‘Van Helsing’, ‘Australia’, ‘The Greatest Showman’ 등 수많은 영화를 통해 헐리우드의 톱스타 대열에 선 그는 1968년 시드니에서 태어나 성장했다. 그의 부모는 그가 태어나기 1년 전, ‘Ten Pound Poms’ 이민 계획(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호주와 뉴질랜드로 이주한 영국 시민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어체 용어로, 호주로의 이민을 원하는 이들은 업무 처리 수수료로 10파운드를 청구했기에 ‘Ten Pound Poms’라는 말이 생겨났다)에 따라 영국에서 호주로 건너왔다.

이날 대담에서 그는 영국 왕실에 대해 그의 가족이 견지해온 애정을 언급하며 “내 아버지는 Lady Di(작고한 다니애나 왕세자비)와 찰스 왕세자의 결혼식을 모든 가족이 함께 보기 위해 우리가 하던 일을 멈추게 했다”고 말했다.

호주가 영국 왕실을 벗어나 공화국으로 전환될 것이라 생각하면서도 그는 영국 왕실에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갖고 있다는 점도 덧붙였다. “작고한(late)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작고한 다이애나 왕비, 찰스 왕세자(현 찰스 3세 왕)를 여러 번 만났으며, 대중을 위해 봉사하고자 하는 그분들의 진정한 열망을 느꼈다”고 회상했다.

 

여왕 서거 이후 호주

공화제 지지 비율 높아져

 

현 알바니스(Anthony Albanese) 총리는 지난해 5월 연방선거에서 승리한 후 두 번째 노동당 집권(3년 후 연방선거에서 승리한 경우) 때 이를 위한 국민투표를 계획한다고 밝힌 바 있다.

 

종합(공화제 2).jpg

지난 2월 19일(일, 런던 현지시간), BBC 방송의 인기 프로그램 중 하나인 ‘Sunday Morning’에 출연한 잭맨씨는 “호주의 공화제 전환은 국가 발전의 자연스러운 부분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사진은 이 프로그램 진행자 로라 쿠엔스버그(Laura Kuenssberg. 오른쪽)씨와 대담하고 있는 휴 잭맨(왼쪽). 사진 : BBC 방송 화면 캡쳐

   

호주는 지난 1999년 ‘공화제 전환’ 여부를 놓고 국민투표를 실시한 적이 있다. 당시 공화제를 지지하는 이들이 우세했지만 선거권을 가진 모든 호주인이 직접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하지 않고 하원위원이 여왕이 후임자를 결정한다는 계획에 반대해 공화제를 지지하는 이들조차 국민투표에서 ‘공화제 반대’에 표를 던짐에 따라 영국과의 헌법 관계를 끊으려는 운동가들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었다.

알바니스 총리는 지난해 5월 집권 후 공화제 전환을 위한 부서를 신설했으며, 책임자로 차관급 인사를 임명한 바 있다. 하지만 그해 9월, 엘리자베스2세 여왕이 96세를 일기로 서거하자 총리는 찰스 3세 왕의 국가 원수 지위를 옹호하면서 “(본인이) 호주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다할 책임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편 시드니 기반 일간지 ‘Sydney Morning Herald’와 멜번에서 발행되는 ‘The Age’가 실시한 지난 달 여론조사에 따르면 해리 왕자(Prince Harry)와 왕실의 결별 이후 호주에서는 공화제에 대한 지지가 높아졌다. 공화제로의 전환에 처음 지지를 보인 이들의 대부분은 해리 왕자의 폭로가 영향을 미쳤다는 반응이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당시만 해도 호주의 선거권을 가진 유권자 사이에서 공화제 지지 비율은 36%에 머물렀지만 여왕 서거 이후 4개월 사이, 이 비율은 39%로 높아졌다. 아울러 입헌군주제 포기를 반대하는 이들은 37%에서 31%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공화제 1).jpg (File Size:92.1KB/Download:17)
  2. 종합(공화제 2).jpg (File Size:65.3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77 호주 The best places to watch the sunrise and sunset in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5076 호주 호주 작가 플레러 맥도널드, “미국 ‘Books3’가 작품 내용 도용”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5075 호주 ‘Comedy Wildlife Photo Awards’, 올해의 수상 후보작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5074 호주 “2024년 Australia Dat Awards, 후보자 추천을 바랍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5073 호주 높은 생활비 압박 때문?... 지난 12개월 사이 NSW 소매점 절도, 47%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5072 호주 지난 3년간의 HSC 점수 기준으로 한 새로운 평가... 성적 우수 학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5071 호주 “광역시드니 대부분 교외지역 주택가격, 일반 구매자 감당 어려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5070 호주 이번 세기에 실시되는 첫 국민투표, ‘Voice to Parliament’의 모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5069 호주 NSW 공립 하이스쿨, 휴대전화 ‘금지’... 정신건강 전문가들, ‘우려’ 표명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5068 호주 Royal Australian Mint, 찰스 3세 왕 새긴 1달러 동전 디자인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5067 호주 싱가포르 당국, 창이 공항의 자동화된 출입국 심사 시스템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5066 호주 “Do not lose your licence!”... CB 카운슬, 학교 주변 ‘도로안전’ 캠페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5065 호주 호주 대학들, 전 세계 순위에서 점차 밀려... 12개월 전 비해 ‘낮은 위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5064 호주 ‘The third places’ 측면에서의 시드니, “Probably more than you think...”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5063 호주 소셜미디어의 범죄 관련 게시물 영향, NSW 주 ‘자동차 절도’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5062 호주 이자율 상승-추가 인상 압력 불구, 전국 대도시 주택가격 상승세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5061 호주 “2자녀 호주 가구의 보육비용, 대부분 OECD 국가에 비해 훨씬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5060 호주 미셸 불록 RBA 신임 총재, 첫 통화정책 회의서 ‘안정적 금리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5059 호주 부동산 시장 회복세라지만... 시드니 일부 지역 유닛, 5년 전 가격보다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5058 호주 '극단기후' 덮친 호주…빅토리아주 대형산불 후 이젠 홍수경보 file 라이프프라자 23.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