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초과 사망자 1).jpg

2022년 한해 동안 호주에서는 예상보다 거의 2만 명에 이르는 초과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이들의 절반 이상은 COVID 질병에 의한 것으로 분석됐다. 사진은 한 병원의 COVID 환자 병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Actuaries Institute’ 데이터... 심장질환 및 암, COVID에 이은 초과사망 주요 요인

 

지난해 호주에서는 예상보다 거의 2만 명에 이르는 인구가 더 사망했으며, 초과사망자 수의 절반 이상은 COVID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보험계리사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Actuaries Institute’가 최근(3월 6일) 내놓은 새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COVID로 인해 1만300명의 초과사망자에 이어 추가로 2,900명이 사망함에 따라 초과사망은 12%가 급증했다.

사망진단서에 COVID-19 언급이 없는 초과 사망자는 6,600명으로, 이중 심장마비로 이어지는 허혈성 심장질환(2,020명)과 암(970명)이 초과사망의 가장 큰 원인이었다.

동 연구원, COVID-19 사망률 실무그룹의 카렌 커터(Karen Cutter) 대변인은 “2만 명에 가까운 초과사망은 매우 중요한 수치”라며 우려를 표했다. 그녀는 “팬데믹이 아닌 시대에 이 같은 수준의 초과사망률을 보는 것은 정상이 아니다”면서 “정상적인 수치는 1~2%인 반면 12%의 초과 사망률은 매우 큰 수치로, 이런 수준의 초과사망을 보려면 2차 세계대전 시대로 돌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의 경우 뒤늦게 주 경계를 개방함으로써 초과사망 급증을 피할 수 있었지만 노던 테러토리(Northern Territory)를 제외한 모든 정부관할구역에서는 초과사망이 골고루 반영됐다.

또한 초과사망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했으며 44세 미만 여성 그룹에서 눈에 띄게 증가했지만 65세 이상 연령층에서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COVID-19로 인한 사망 위험이 젊은 계층에 비해 더 가파르다는 점을 감안할 때 충분히 예상되는 부분이다.

지난해의 경우 호주에서 인플루엔자가 다시 유행했음에도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예상보다 10% 낮았다. 반면 암, 치매로 인한 사망은 2%가 증가했다. 또한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및 당뇨로 인한 사망 또한 예상보다 8~17% 높았다.

커터 대변인은 이 세 가지 사망 원인 또한 COVID-19와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연구 결과 COVID에 감염된 이들의 위험이 높아졌다”며 “특히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이 매우 높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커터 대변인은 “COVID로 인한 사망자 발생이 높았던 기간, COVID가 아닌 다른 요인으로 인한 사망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이 같은 요인의 일부는, COVID-19 환자로 병실이 가득 찼기에 다른 질병으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설명한 뒤 “COVID 환자 발생이 절정에 이르면 앰뷸런스와 응급실 대기시간 또한 길어지게 마련”이라며 “우리는 이것이 COVID 이외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가 많았던 이유 중 하나로 본다”고 말했다.

 

종합(초과 사망자 2).jpg

심장질환, 뇌혈관, 당뇨에 의한 초과사망 비율도 상당히 높은 편으로, 이는 COVID 환장 급증으로 인해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한 것이 한 요인으로 추정된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또한 의료 혜택을 받지 못한 이들의 또 다른 측면은, 2020년과 2021년에 받아야 할 치로나 선별검사를 (COVID-19 환자에 밀려) 받지 못했기에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더 나쁜 건강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는 게 커터 대변인의 설명이다.

초과사망 증가의 원인을 분석한 내용을 보면, COVID-19와 이의 장기적 영향, 심장질환과 같은 다른 건강 문제와의 상호작용이 응급치료 지연과 마찬가지로 큰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보건, 병원 및 노인 간병 시스템 압박으로 앰뷸런스 폭주와 병실 부족이 발생했고, 사람들이 필요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했으며, 실제로 COVID 감염이 가장 높았던 시기에 COVID가 아닌 이유로 사망한 이들이 많았다는 것은 이 가설을 뒷받침한다.

기회 부족으로 일상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지연됨에 따라 COVID 이외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기회를 놓쳤다는 일부 증거도 있다. 이는 암, 심장질환 및 당뇨로 인한 사망아 높아진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분석 결과 전염병 영향 하에서 알코올 섭취가 더 늘어나고 신체운동이 줄어드는 등 생활방식의 변화는 초과사망에 미친 영향이 적었으며, 백신과 관련된 사망의 영향도 미미했다.

Actuaries Institute의 일레인 그레이스(Elayne Grace) 최고경영자는 이번 보고서 결과에 대해 “COVID-19가 호주 전역에 준 엄청난 영향을 극명하게 상기시킨다”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방역차원의 봉쇄 및 국경 폐쇄 속에서 제한된 일상을 살아냈지만 사실상 COVID-19는 호주인 초과사망 비율의 주요 원인으로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동 연구소의 COVID-19 사망률 실무 그룹은 통계청(ABS)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사했지만 이전 연도 평균 사망률을 통해 초과사망 추정치를 산출하는 것과는 다른 방법을 사용했다.

Actuaries Institute의 예상 사망 기준 수준은 고령화를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변화요인으로 매년 증가한다. 이는 또한 COVID 상황을 무시한다. 즉 기준 추정치가 전염병이 없는 상황을 가정하는 것이다. 이는 초과사망 수치가 ABS에서 산출한 것보다 낮지만 실제와 더 가까울 수 있음을 의미한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초과 사망자 1).jpg (File Size:83.4KB/Download:19)
  2. 종합(초과 사망자 2).jpg (File Size:48.3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77 호주 ‘앵무새 죽이기’ 저자 하퍼 리, 8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6 호주 동성애자 탄압... NSW 정부, 38년만에 공식 사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5 호주 “100달러 고액권, 범죄자들의 탈세로 이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4 호주 호주 프리랜서 보도사진가, ‘세계 보도사진 대전’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3 호주 주말 시드니 경매, 일부 지역 낙찰가 폭등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72 호주 “호주인들, 비만 관련해 탄산음료 업계에 불만 제기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71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둔화, “성급한 전망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70 호주 고령자 케어-보건 분야, 향후 새 직업군 창출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9 호주 AFP, 향후 10년 내 경찰 인력 절반 ‘여성’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8 호주 호주 젊은층에서 불법 ‘아이스’ 복용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7 호주 의료 목적의 대마초 재배 법안, 연방의회 통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6 호주 원주민 출신 정치인 린다 버니의 ‘역사 만들기’는 진행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5 호주 다량 유통 50달러 위조지폐, 은행도 속을 만큼 정교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4 호주 전 세계 ‘Powerful Passports’ 순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3 호주 NSW, VIC에 비해 주정차위반 벌금액 3배 비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2 호주 The books that changed 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최대 화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4760 호주 시드니 자산가 늘어, 초호화 저택 수요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4759 호주 NSW 주, 모든 공무원에 탄력근무제 적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4758 호주 시드니 남서부 잉글번서 총기 난사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