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노동당 정책 1).jpg

12년 만에 정부에 복귀한 NSW 노동당은 팬데믹 이후의 높은 생활비 문제, 각 공공 부문의 많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사진은 지난 3월 25일 선거가 끝난 몇 시간 후, 승리가 확정되자 브라이튼 르 상드(Brighton-Le-Sands)의 한 호텔에 설치된 NSW 노동당 선거본부에서 연설을 하는 크리스 민스(Chris Minns) 대표.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공공 부문 임금 인상 상한선 폐지-임차인 보호법-교사 및 간호사 부족 해결 주력

ICAC 자금지원 보장 ‘입법화’, Net Zero Commission 설립... 병원 업그레드 추진

 

이달 마지막 주(3월 25일) 치러진 2023년 NSW 주 선거는 대부분의 예상을 깨고 노동당의 압도적 승리로 끝났다. 양대 정당 모두 자체적으로 정부를 구성할 수 있는 마지노 의석인 47석 확보가 어려워 크로스벤처에 의존해야 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선거 때마다 나오는 것이지만, 이 때문에 최대한 많은 의석을 차지하고자 두 정당 모두 캠페인 기간 중 수십 억 달러의 지출을 약속했다.

이제 노동당이 12년 만에 주 정부를 구성하게 되었고, 주 총리가 된 크리스 민스(Chris Minns) 대표 앞에는 해야 할 일들이 산적해 있다. 치솟는 가계 공과금 청구서, 높은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이 NSW 유권자들에게 더 많은 압박을 가하면서 ‘생활비 사안’은 이번 선거 캠페인의 최전선에 있었다. 주택 문제 또한 주요 선거 쟁점이었으며 의료, 교육, 도박 개혁, 교통 및 인프라 부문에서도 중요한 정책 약속이 제시됐다.

이번 선거 캠페인을 통해 노동당이 제시했던 정책은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 생활비

-간호사, 교사의 급여를 인상할 수 있도록 공공 부문 임금 상한선 폐지(자유-국민 연립은 이 부문에서 3% 상한선을 두었다)

-신선식품 업계의 요구를 위한 ‘Dairy and Fresh Food Commissioner’ 임명

-스몰 비즈니스 지원을 위해 중소기업청 격인 ‘NSW Business Bureau’ 설립

 

■ 주택

-임차인 권리 옹호를 위해 ‘Rental Commissioner’를 두고, 임차인이 한 부동산에서 다른 부동산으로 보증금(bonds)을 직접 양도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임차인을 대상으로 임대 입찰을 금지하고 합리적 근거 없이 세입자에게 퇴거 명령을 할 수 없도록 한다(부당 퇴거 명령 금지).

-최대 80만 달러의 주택을 구입하는 첫 주택구입자에게는 인지세 폐지

-정부의 잉여 부지에 30% 저렴한 주택공급 목표 도입

 

종합(노동당 정책 2).jpg

NSW 노동당은 자유-국민 연립과는 반대로 공공 부문 인금인상 상한선을 없애겠다고 약속했다. 사진은 공공 부문 임금 상한선에 반대하는 시민단체 ‘Green left’ 회원들. 사진 : Facebook / Public Service Association of NSW

   

■ 도로교통 및 인프라

-시드니 서부(western Sydney) 및 지방 지역 도로 개선에 11억 달러 지출

-Tangara 대체 기차 건설

-유료도로 통행료로 주(week) 60달러 이상을 지출하지 않도록 하는 상한선 도입, Allan Fels 전 ACCC 의장을 임명해 NSW 도로 통행료 점검, Sydney Harbour Tunnel 및 하버브릿지에서 발생하는 통행료를 주 전역 통행료 경감으로 반환, 트럭 및 대형 차량의 통행료 인하, 정부와 민간 부분의 수백 만 달러에 달하는 통행료 거래 조건 해제

-논란이 되는 Transport Asset Holding Entity(TAHE) 폐지

-Northern Beaches Link 터널 계획 취소

-노약자, 장애인을 위해 각 기차역의 계단을 줄이거나 없애는 기차역 업그레이드를 위해 9억9,400만 달러 지출

-버스 서비스 개선 권장 사항을 제시하기 위한 타스크포스 구성

 

■ 교육

-Gledswood Hills and Gregory Hills, Leppington, Medowie, Melrose Park 지역에 신규 하이스쿨 설립, Sydney Olympic Park 지역에 신규 초등학교 설립

-1만 명의 임시 교사를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새 교사 및 카운슬러에 투자할 4억 달러의 미래 기금 마련

-공립학교 내에 100개의 공립 프리스쿨(유치원) 설립

-비공립 학교에 있는 50개의 신규 유치원 또는 유치원 업그레이드를 위해 6천만 달러 지출

-하이스쿨에서의 휴대전화 사용 금지, 국제 학사학위를 제공하는 공립학교 대상의 제한 해제

-기술 자금의 70%를 TAFE에 지원, ‘TAFE Manufacturing Centres of Excellence’ 설립

 

■ 보건

-Fairfield Hospital 업그레이드(1억1,500만 달러), Canterbury Hospital 업그레이드(2억2,500만 달러), Western Sydney Aerotropolis 병원 설립 계획 시작(1,500만 달러)

-NSW 공립병원에 1,200명의 신규 간호사 고용 등 안전한 수준의 인력 확보 제공

-500명의 신규 응급대원 확보를 위한 기금 제공

 

■ 환경

-탄소배출 및 에너지 가격 문제 해결을 위한 재생에너지 투자 기구로 ‘NSW Energy Security Corporation’ 설립에 10억 달러 투자

-시드니 홍수 피해 복원을 위해 2억2,500만 달러 지출

-NSW 주의 탄소배출 감소 목표를 입법화하고 ‘Net Zero Commission’ 설립

-Mid-North Coast 지역의 ‘Great Koala National Park’ 조성을 위해 8,000만 달러 지출

 

종합(노동당 정책 3).jpg

NSW 주 노동당은 집권 후 교사 부족 문제 및 카운셀러 확보 등을 위해 4억 달러의 기금을 마련할 것임을 밝혔었다. 사진은 이번 주 선거 캠페인 기간 중 시드니 서부, 파라마타(Parramatta)의 한 초등학교를 방문, 학생들과 만나는 민스 대표. 사진 : Facebook / Chris Minns

   

■ 도박 개혁

-(포커머신 게임룸을 운영하는) 클럽이 제공하는 정치자금 수용 금지, ‘혐금 없는 게임 카드’의 시범 실시, 포커게임을 알리는 외부 간판 금지

 

■ 청렴성

-논란의 여지가 있는 무역 및 투자 부문 고위 위원 역할 폐지

-독립 기구인 반부패위원회(Independent Commission Against Corruption. ICAC)에 대한 자금지원 보장 입법화

-(유권자 지역 대상의) 선심성 공세 금지, 정부 자금조달 접근법 규정 마련

 

■ 예술 부문 및 지역사회

-공공 자금을 받는 상업 이벤트의 경우 뮤지션에게 최소 250달러의 수수료 시행

-광역시드니 및 지방 지역 음악인구 조사

-신년을 축하하는 시드니 하버 불꽃놀이(Sydney Harbour New Year's Eve fireworks) 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인근 지역 공원 입장료 면제

-신앙 단체가 주 정부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공식 채널 기구로 ‘NSW Faith Affairs Council’ 설립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노동당 정책 1).jpg (File Size:48.7KB/Download:17)
  2. 종합(노동당 정책 2).jpg (File Size:98.5KB/Download:16)
  3. 종합(노동당 정책 3).jpg (File Size:139.0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최대 화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516 호주 The books that changed 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15 호주 NSW, VIC에 비해 주정차위반 벌금액 3배 비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14 호주 전 세계 ‘Powerful Passports’ 순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13 호주 다량 유통 50달러 위조지폐, 은행도 속을 만큼 정교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12 호주 원주민 출신 정치인 린다 버니의 ‘역사 만들기’는 진행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11 호주 의료 목적의 대마초 재배 법안, 연방의회 통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10 호주 호주 젊은층에서 불법 ‘아이스’ 복용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09 호주 AFP, 향후 10년 내 경찰 인력 절반 ‘여성’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08 호주 고령자 케어-보건 분야, 향후 새 직업군 창출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07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둔화, “성급한 전망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06 호주 “호주인들, 비만 관련해 탄산음료 업계에 불만 제기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05 호주 주말 시드니 경매, 일부 지역 낙찰가 폭등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04 호주 호주 프리랜서 보도사진가, ‘세계 보도사진 대전’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503 호주 “100달러 고액권, 범죄자들의 탈세로 이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502 호주 동성애자 탄압... NSW 정부, 38년만에 공식 사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501 호주 ‘앵무새 죽이기’ 저자 하퍼 리, 8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500 호주 ‘Sydney, 1788-2014, Taken before its ti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99 호주 “시드니 ‘Lockout Laws’, ‘라이브 업소’에도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98 호주 호주 젊은이들에게 ‘평생 직업’ 개념 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