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드니 주택 1).jpg

지난 2005년 이래 시드니의 평균 수준 사람들이 본인의 재정 능력으로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지역은 점차 줄어들어 현재는 일부 지역만 남아 있을 뿐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NSW 대학 조사... 주택가격, 일반인 구입능력 넘어서

 

내집을 갖지 못한 시드니사이더(Sydneysider)들이 주택을 마련하는 일은 실제로 어려운 상황이라는 조사가 나왔다.

NSW 대학 도시미래연구센터(City Futures Research Centre. CFRC)의 최근 조사 결과 광역시드니 4분의 3 지역의 주택가격이 평균 수준의 예비 주택 구입자의 구매 능력 밖에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와 한숨을 자아내게 하고 있다.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주택 구입 희망자들은 시드니 서부, 남부 및 북서부 지역에서 여러 옵션과 구매 능력 이내에서 안정적으로 내집을 마련할 수 있었다.

하지만 광역 시드니에서 평균 수준의 사람들이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지역은 서부 외곽 펜리스(Penrith), 도심에서 보다 가까이로는 캔터베리-뱅스타운(Canterbury-Bankstown) 내 일부일 뿐이다.

하지만 CFRC의 책임연구원인 빌 랜돌프(Bill Randolph) 박사에 따르면 이마저도 남서부 지역 철도 라인이라는 새로운 인프라 구축 계획이 나오고, 투자자들이 이 지역에 관심을 가지면서 조만간 보통 사람들의 주택구입 권역을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

남서부 새 철도 라인은 뱅스타운 라인과 함께 주변에서 향후 20년간 3만6천 세대의 대규모 아파트 개발이 예정되어 있다.

랜돌프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와 관련, “‘임대 세대’(Generation Rent )가 영구히 '임대세대'로 남는 시작점에 있다”고 진단했다.

CFRC는 이번 조사에 착수하면서 가구당 주택담보대출 상환으로 소득의 30% 이상이 소비되는 시점을 ‘주택구매 능력 없음’(unaffordability) 수준으로 간주했다.

담보대출 상환액이 가구 소득의 30%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 2015년 가구당 소득을 10만 달러로 가정했을 때, 일반 주택 구매자의 최대 주택 구매가는 51만3,180달러가 된다.

시드니의 평균 가구당 소득이 71,700달러에 달했던 지난 2005년, 광역 시드니 절반 이상의 지역(suburb)에서 적정한 가격에 거래된 주택은 20% 이상에 달했다.

하지만 2015년 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광역 시드니 4분의 3 지역(suburb)에서 적정가로 거래된 주택은 20%에 미치지 못했다.

랜돌프 박사는 “일반적으로 본인의 주택 구매력 내에서 내집을 마련하려는 이들은 ‘역세권 밖 외곽지역으로 밀려나는’ 경향이 있었다”면서 “그러나 이제는 도심에서 먼 외곽지역 주택들조차 구입 가능 가격대에서 멀어졌다”고 덧붙였다.

첫 주택구입자들이 본인의 능력에 맞추어 뱅스타운 등 서부 지역으로 눈을 돌렸음에도 2015년 기준, 단지 25~30%만이 적정한 주택구입 가능 지역이었으며, 이는 2005년 70~75% 수준과 크게 비교됐다.

부동산 분석회사 ‘도메인 그룹’(Domain Group)의 수석 경제학자 앤드류 윌슨(Andrew Wilson) 박사도 주택가격이 턱없이 높다는 점에 공감했다. 그는 “시드니에서 내집을 마련하려면 엄청난 자금이 필요하다”며 “시드니 도심(CBD)에서 10킬로미터 반경의 주택을 갖기 위해서는 100만 달러 이상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도메인 그룹 자료에 따르면 시드니 도심에서 반경 10킬로미터 이내 지역 가운데 가장 저렴한 곳은 이너 웨스트의 템페(Tempe. 단독주택 중간가격 $1,065,000)이며 30킬로미터 거리 중에서는 야구나(Yagoona, 단독주택 중간가격 $800,000)이다.

윌슨 박사는 “이 같은 주택가격 편차는 시드니가 얼마나 붐비고 밀집된 도시인지를 보여주는 증거”라면서 도심에서 60킬로미터가량 벗어날 경우 신축 주택도 60만 달러 선에서 구입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커튼 대학교 내 ‘호주 주택 및 도시연구원’(Australian Housing and Urban Research Institute. AHURI)의 스티븐 로울리(Steven Rowley) 교수는 “일반적으로 주택을 구입할 경우 직장까지의 접근성과 출퇴근 상의 안전성을 고려한다”면서 “급격한 주택 가격 상승에 맞추어 신축 물량들이 공급되고 있으나 국내뿐 아니라 해외 투자자, 게다가 주택가격 상승 흐름에 뒤처지지 않으려는 이들의 수요로 인해 현재의 주택시장은 더욱 달아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로울리 교수는 이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토지 수유주들을 대상으로 개발 허가나 구역 재지정 등을 통해 발생된 부동산 가치 증가분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고 이를 통해 발생된 세수를 주택공급 사업에 사용하는 것도 한 가지 옵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강세영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시드니 주택 1).jpg (File Size:48.9KB/Download:4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17 호주 인터넷-자본주의-왜곡된 진실... 이 시대에서 ‘풍자’는 어떻게 변하고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6 호주 호주 현지에서 태어난 이들, 대부분 이민자 그룹 비해 ‘만성질환’ 가능성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5 호주 임금상승 계속되고 있지만... “향후 몇 개월간은 인플레이션에 묻힐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4 호주 NSW 주 2022-23 회계연도 전반기 예산 검토... 적자 규모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3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은 이성간 데이트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2 호주 심각한 교사부족 상황... 사립학교들, 높은 연봉 내세워 공립 교사들 ‘유혹’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1 호주 NSW 주 경찰의 마약 관련 수색 대상, 청소년-원주민 비율 더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0 호주 모든 성인에 5차 COVID-19 접종 제공... 감염사례 없는 이들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09 호주 런던 자연사박물관 주관, 팬들이 뽑은 ‘올해 최고의 야생동물’ 이미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08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주택가격 하락-상승한 광역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07 호주 시드니 거주자들, ‘삶의 만족도’ 회복 중... 생활비 고통은 ‘uncharted waters’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706 호주 시드니 학부모들, 자녀의 공립 Boys' High School 등록 기피 ‘뚜렷’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705 호주 COVID-19의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 선포 3년... 향후 바이러스 예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704 호주 NSW 주 정부, 도박 산업 개혁 위해 향후 3억4천만 달러 투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703 호주 호주 ‘민주주의 수준’ 평가... 8.71점으로 전 세계 167개 국가 중 15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702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3.35%로... 로우 총재, “추가인상 필요”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701 호주 NSW 주 하이스쿨, 교내 휴대전화 ‘사용 제한’ 확대... 전년대비 60%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700 호주 ‘Hi Mum 사기’와 함께 구직자 노린 ‘Recruitment Scams’ 주의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699 호주 2023 Women's World Cup 개막 경기, ‘Stadium Australia’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698 호주 NSW 경찰, ‘커뮤니티 온라인 포털’ 이용한 성폭력 신고 옵션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