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OVID 영향 1).jpg

지난해, 약 400만 명의 퀸즐랜드(Queensland) 거주민이 한 번은 COVID-19에 감염되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높은 백신접종률로 이 질병에 의한 사망률은 상당히 낮은 편이다. 사진 : Unsplash / CDC

 

퀸즐랜드 보건부 최고 의료 책임자 분석... 사망률은 계절성 독감보다 낮아

 

약 400만 명의 퀸즐랜드(Queensland) 거주민이 지난 한 해, 최소 한 번은 COVID-19에 감염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QLD 보건부 최고 의료 책임자인 존 제러드(John Gerrard) 박사는 “2022년 한 해에만 QLD 거주민들이 COVID-19에 감염되어 주 역사상 그 어떤 바이러스보다 많은 이들에게 전파됐다”고 말했다.

제러드 박사는 “하지만 코로나바이러스 발병 이후 대부분 사람들이 주 경계(State border)를 재개하기 전, 백신접종을 받음으로써 지난해 COID-19로 인한 사망 비율은 미국의 약 10분의 1 수준에 머물렀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올해 1월 31일까지 QLD 거주민 1,757명이 사망한 근본적인 원인은 COVID-19”라고 덧붙였다. 이는 인구 10만 명 당 33.9명의 사망률이다.

제러드 박사의 이 같은 분석은 퀸즐랜드 보건부(Queensland Health)가 매 2년마다 내놓는 COVID-19 데이터 보고서에 언급된 것으로, 제러드 박사가 이 보고서를 작성한 것은 지난 2021년 말 자넷 영(Jeannette Young) 박사의 뒤를 이어 QLD 최고 의료 책임자로 임명된 후 처음이다.

 

종합(COVID 영향 2).jpg

지난 6개월 사이 퀸즐랜드 주 COVID-19 입원 및 사망자 수치를 보여주는 그래프. Source : Queensland Health

   

제러드 박사는 지난 4월 4일(화)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1년 동안 그렇게 많은 이들을 감염시킨 전염병은 없었다”며 “아마도 (현 상태에서는) 기대수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지만 미국 등과 비교해 그 영향은 같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제러드 박사는 QLD 거주민의 높은 백신접종 비율이 감염자 2,000명 당 사망자를 한 명 미만으로 제한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COVID-19에 인한 사망률에 대해 “대부분의 호흡기 바이러스와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이라며 “실제 QLD의 감염 사망률은 계절성 독감보다 높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가장 큰 관심사는 65세 이상 고령층 및 면역력이 약화된 이들”이라며 추가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OVID 영향 1).jpg (File Size:73.5KB/Download:14)
  2. 종합(COVID 영향 2).jpg (File Size:30.8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97 호주 호주 현지인들도 잘 모르는 시드니 하버의 섬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4796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고공행진 이어가... 3침실 주택 15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4795 호주 ABS, 올 8월 센서스에 지역사회 협조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4794 호주 무서운 10대들, 대낮 길거리서 패싸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4793 호주 야데나 쿠룰카, 올해 ‘Blake Art Priz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4792 호주 NSW 노동당 의원, ‘Lockout Laws’ 재고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4791 호주 불법 마약 ‘택배’로 2주 만에 15만 달러 챙겨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4790 호주 과격 테러리스트 샤로프 아내, 시리아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4789 호주 호주 국민당, 바나비 조이스 의원 새 대표 선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4788 호주 시드니 경기 호황, 호주 국가 경제 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4787 호주 연립 여당 지지도 ‘시들’, 말콤 턴불 인기도 식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4786 호주 호주 인구 빠르게 늘어, 16일 새벽 2400만 명 돌파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4785 호주 NSW 아핀 로드(Appin Road), 호주 최악의 위험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4784 호주 전문가들, “시드니는 여전히 좋은 부동산 투자 지역”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83 호주 시드니 마약 조직, 하루 120명에 마약 판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82 호주 수천의 저소득 가정, 원활한 인터넷 사용 어려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81 호주 “새 슈퍼감염 모기, ‘지카’ 바이러스 치료에 도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80 호주 호주 젊은이들에게 ‘평생 직업’ 개념 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9 호주 “시드니 ‘Lockout Laws’, ‘라이브 업소’에도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8 호주 ‘Sydney, 1788-2014, Taken before its ti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