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드니 인구 1).jpg

NSW 주는 높은 주택가격, 낮은 임금인상 등으로 향후 5년 동안 거주민 유출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시드니 중심가, Pitt Street Mall에 자리한 한 아케이드에서 쇼핑을 즐기는 사람들.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새 회계연도 예산계획의 향후 인구 예측... NSW, 가장 많은 인구 손실 예상

 

호주 전역에서 주택가격이 가장 높고 또한 빠르게 상승하는 반면 낮은 임금성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NSW 거주민들의 경우 다른 주(State and Territory)로의 주간 이주(interstate)가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팬데믹 사태 이후 퀸즐랜드(Queensland) 주가 인기 있는 새 거주지로 더욱 부상, 이미 상당수 인구가 이동한 가운데 향후 5년 동안 NSW는 다른 주에 비해 가장 높은 이주 비율을 보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달 둘째 주, 연방 예산계획(연방정부는 매년 5월 둘째 주 화요일에 새 회계연도 예산안을 발표한다)에 업데이트 된 인구 예측에 따르면 NSW 주는 이주로 인해 향후 몇 년 동안 12만4,000명 이상의 인구손실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특히 지난 3월 집권한 NSW 주 노동당 정부의 크리스 민스(Chris Minns) 주 총리가 “필수 부문 근로자를 유지하고자 고군분투 하고 있다”는 발언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민스 주 총리는 지난 3월 주 선거 캠페인 기간, 교사와 간호사 등 필수 분야 근로자들이 공공부문 인금인상 상한선과 인력부족으로 인한 업무상의 어려움을 이유로 NSW 주를 떠나고 있다고 거듭 주장한 바 있다.

연방 예산안의 업데이트 자료를 보면, 향후 5년 동안 NSW 주는 매년 약 2만3,000명의 거주민을 잃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올 회계연도(2022-23년)에만 NSW 주를 떠나 다른 주(또는 테러토리)로 이주한 이들은 3만 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올 회계연도, 빅토리아(Victoria) 주를 떠나는 인구는 2,000명으로 예상되며, 내년도에는 소폭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런 가운데 퀸즐랜드는 호주 전역에서의 유입으로 매년 2만1,000명의 인구 증가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 또한 주간이주자 유입이 더 많을 것으로 예측되며 남부호주(South Australia)와 노던 테러토리(Northern Territory)는 약간의 인구손실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0월 예산계획(2022년 5월 선거에서 승리, 집권한 연방 노동당 정부는 지난해 10월, 이전 정부가 내놓은 예산안을 업데이트 하여 10월에 발표했다)에서 예측한 것보다 더 많은 거주민이 NSW 주를 떠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통계청(ABS)의 주간이주(interstate) 수치도 상향 조정됐다.

이처럼 NSW 주의 거주민 유출이 높은 반면 정부 예측에 따르면 출생 및 해외 이민자 유입으로 인해 NSW 전체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올해 연말까지는 830만 명, 2026년에는 860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빅토리아 주 또한 전체 인구는 올해 680만 명에서 2026년에는 72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3월 25일 주 선거에서 승리한 NSW 노동당 주 정부가 시행한 첫 번째 정책 중 하나는 간호사들의 업무량 완화를 위해 적정 수준의 인력을 확보한다는 것이었다.

NSW 주와 마찬가지로 간호 인력 부족을 겪는 빅토리아 주는 NSW 주 간호사를 유치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간호사 대 환자 수에 대한 비율을 입법화했다. 이전 NSW 연립(자유-국민당) 정부에서는 환자에 맞춰 일정 수의 간호사가 있어야 한다는 의무 비율이 마련되지 않았으며, 이는 해당 노동조합의 주요 요구사항 중 하나였다.

NSW 노동당 정부는 또한 지난 2011년, 전 연립 정부가 정한, 40만 명에 달하는 공공부문 근로자의 임금인상 상한선을 폐지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 각 주 인구변화(예상)

(State : 2023년 / 2027년 / 4년간 추정 증가율)

Australia : 26.5m / 28.2m / 6.2%

New South Wales : 8.3m / 8.7m / 5.2%

Victoria : 6.8m / 7.3m / 7.9%

Queensland : 5.4m / 5.8m / 6.3%

Western Australia : 2.9m / 3.0m / 6.4%

South Australia : 1.9m / 1.9m / 4.2%

Tasmania : 0.6m / 0.6m / 5.0%

ACT : 0.5m / 0.5m / 8.4%

Northern Territory : 0.3m / 0.3m / 6.3%

 

■ 호주 인구 변화(예상)

(2023-2027년 사이)

2022 : 26m

2023 : 26.52m

2024 : 26.98m

2025 : 27.38m

2026 : 27.78m

2027 : 28.17m

Source: Federal budget 2023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시드니 인구 1).jpg (File Size:198.8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77 호주 던컨 게이 장관, “올림픽 파크에 경전철 건설” 암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76 호주 정치적 의리와 권력, 그리고 은밀한 수상 교체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75 호주 ‘스마트 도시’ 지향의 시드니가 본받을만한 도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74 호주 한국문화원, ‘한국문화 워크숍’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73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호주 교사들 대상 ‘독도 홍보’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72 호주 이민자 정착 서비스에서 노인 복지까지... 한인복지회 26년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71 호주 시드니 경매시장, 12월 첫 주 낙찰률 57.5%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70 호주 라이카트 지역, 구매자 움직임 여전히 ‘활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69 호주 어번 카운슬, 지역 업소 대상 서비스 평가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68 호주 루시 턴불, 광역시드니위원회 위원장에...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67 호주 주택가격 상승, 구입시 부모 도움 더욱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66 호주 파라마타-올림픽 파크 경전철, 2019년 공사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65 호주 호주인들, 2014년 자선단체에 68억 달러 기부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64 호주 흡연-음주량 줄었지만 운동부족-과체중 문제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63 호주 맥팔레인 의원 ‘당적 변경’ 시도, 집권당 ‘당혹’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62 호주 턴불 정부, 미래 비전 아이디어에 11억 달러 투자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61 호주 NSW 주 교육부 직원 1천800명, 파라마타 배치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4860 호주 총영사관, 한호 친선의 밤 행사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4859 호주 한인 스몰 비즈니스 대상 '재무전력‘ 워크숍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2.17.
4858 호주 호주 유일 ‘이중언어’ 학교 캠시초등, 내년도 유치원생 모집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