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B 카운슬).jpg

가정용 재활용 쓰레기통의 오염을 줄이기 위한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City of Canterbury Bankstown)의 획기적인 기술이 최근 열린 ‘2023 National Waste Conference’에서 호주 전국 ‘Excellence in Innovation Award’를 차지했다. 사진 : City of Canterbury Bankstown 제공

 

쓰레기 처리 트럭에 AI 기술 적용해 잘못 처리된 재활용 폐기물, 획기적으로 줄여

 

가정용 재활용 쓰레기통에 잘못 처리된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City of Canterbury Bankstown)의 새로운 기술이 호주 전국 ‘Excellence in Innovation Award’를 차지했다.

재활용 쓰레기통의 잘못된 폐기물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을 폐기물 처리 트럭에 적용한 이 기술은 전국 지방의회에서는 최초로 시도한 것으로, 이 프로그램이 최근 열린 ‘2023 National Waste Conference’에서 ‘Outstanding Council Project’ 카테고리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것이다.

이 상은 2020-22년 사이, 뛰어난 폐기물 관리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이를 구현한 지방의회를 대상으로 표창한다.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의 빌랄 엘-하예크(Bilal El-Hayek) 시장은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 자원 회수를 개선하기 위한 시 의회의 노력이 국가 차원에서 인정받게 되어 감격스럽다고 밝혔다.

시장은 “이 상은 시 의회의 폐기물 및 정화팀, 지속가능 미래팀간의 엄청난 노력과 협력에 대한 증거”라면서 “이들이 추진한 폐기물 처리 혁신 프로그램은 우리 지역민들로 하여금 재활용 자원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도록 한, 진정한 게임체인저였다”고 평가했다.

최근 열린 National Waste Conference’에서 CB 카운슬 폐기물 시스템 코디네이터인 트로이 리덤(Troy Leedham)씨는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지역민들이 재활용 쓰레기통에 잘못된 폐기물을 넣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되었다”면서 “폐기물 트럭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트럭에 담긴 쓰레기 물품들을 사진으로 촬영, 재활용품에 있어서는 안 되는 것들을 감지하도록 조정된 AI를 통해 이를 가려내는 방식”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그는 “초기 테스트 후 재활용 트럭에 비워진 모든 쓰레기통을 스캔하는, 완전하게 작동하는 AI로 진행되었다”며 “이 인공지능은 오염 유형, 위치 및 히트맴에 대한 정보를 우리에게 제공한다”고 것붙였다.

“결국 이 데이터는 시 의회가 특정 지역에서 다수 발생하는 오염 유형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을 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AI 프로그램은 카운슬이 210만 달러를 투입한 신기술 주도의 ‘Closing the Loop on Waste’ 프로그램 일환으로 개발된 것이다.

한편 CB 카운슬의 Closing the Loop on Waste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카운슬 웹사이트 해당 페이지(cb.city/ClosingLoop)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B 카운슬).jpg (File Size:91.4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97 호주 시드니 한인회관 무단 침입 사건 발생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6 호주 봄 시즌 경매시장 둔화 ‘뚜렷’... 일부 지역 여전히 ‘강세’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5 호주 연말까지 시드니 지역서 6천여 채 경매 예정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4 호주 마틴 플레이스 크리스마스 트리, 26일(목) 점등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3 호주 학업-인격형성 등 교육 성취를 일궈낸 학교들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2 호주 부유층 중국인 구매자, 멜번 부동산 시장으로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1 호주 파리 테러 관련, “호주도 적극적 대비 필요”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0 호주 커먼웰스 은행, 시드니 서부 기반 비즈니스 축소 호주한국신문 15.11.19.
4889 호주 호주인들, 일부 부문 세금 인하하면 GST 인상 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5.11.19.
4888 호주 김봉현 대사, 대양주 한국학 총회 참석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7 호주 호주 한국어 교사들, 전국 단위 연합회 창립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6 호주 “장애인도 커뮤니티 일원으로 장벽 없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5 호주 주시드니 총영사관, 한인 차세대들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4 호주 마리아 윅 작가, 올해 ‘KAAF Art Prize’ 1등상 영예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3 호주 “부동산 시장, 내년에도 완만한 성장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2 호주 지난 주말 경매, 올 봄 시즌 매물 ‘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1 호주 에타놀 혼용 휘발유 판매, 의무 규정 강화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0 호주 시드니 무슬림들, 타 소수민족 비해 인종차별 3배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79 호주 “시드니 주택부족, 테라스 주거지가 정답?”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78 호주 젊은층의 ‘이슬람 급진화’ 차단, 핵심 과제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