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범죄인 자녀 1).jpg

범법 행위로 교도소에 수감 중인 가정의 아동들이 겪는 심각하고 복합적인 불이익과 우려될 수준의 정신건강 문제 등에 대한 적나라한 실태가 최근 전국 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사진 : Pixabay / WOKANDAPIX

 

아동보호단체 ‘SHINE for Kids’ 전국 조사, 정신건강 부문 등 실질적 지원 촉구

 

가족의 잘못이 아동들에게도 전가되는 안타까운 현실이 한 단체의 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최근 아동보호단체 ‘SHINE for Kids’는 전국 조사를 통해 가족 구성원의 범죄 행위로 인해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아동들의 실태를 밝힌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부모 중 누군가가 범죄 행위로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는 4만 명의 어린 자녀들이 겪는 심각하고 복합적인 불이익과 우려될 수준의 정부지원 부족에 대한 분명한 스냅샷을 제공했다는 평가이다. 조사에 참여한 보호자(수감 중인 범죄자 외 가족 등) 중 30%는 아이가 정학(suspended from school) 처분 또는 퇴학(expelled)을 당했다고 밝혔으며, 절반(50%)은 아이가 정기적으로 결석을 한다는 답변이었다.

또한 범죄인 가족을 둔 아이들은 또래 아동에 비해 훨씬 더 높은 비율로 장애를 겪고 있으며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와 불안증은 지역사회 평균치에 비해 3배 더 높은 비율로 보고됐다. 다만 우울증은 지역사회 평균과 유사한 수치였다. 아울러 설문조사 응답자의 3분의 1만이 ‘돌보는 아동이 지원 서비스를 받으며 스포츠 또는 취미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SHINE for Kids는 모나시대학교(Monash University),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및 그리피스대학교(Griffith University)에 조사를 의뢰했으며, 전국적으로 4개월에 걸쳐 조사를 진행했다.

이 아동보호단체의 줄리 호리건(Julie Hourigan) 최고경영자는 “이번 조사 결과는 형사 사법제도 하에서 제재 상태에 있는 부모를 둔 아이들의 곤경에 대한 기소이며, 정부는 즉각적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호주 정책입안자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라며 “우리는 이미 부모의 감금으로 인해 개별 아동이 받는 차별, 낙인, 정서적 피해를 짐작하고 있었지만 해당 가족이 직면한 진짜 어려움과 복잡한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본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거의 또는 전혀 지원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호리건 CEO는 “범죄자 가족을 둔 아이들은 우리 사회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요구사항을 가진 가장 불우하고 소외된 아동들로, 지금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이 어린이들에게 평생 심각한 결과를 남기게 될 것”이라며 “이 아이들은 본질적으로 부모의 범죄에 대해 처벌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모나시대학교 보건과학부 캐서린 플린(Catherine Flynn) 부교수는 불우한 환경과 스트레스를 받는 가정의 어린들에 대한 명확한 그림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현재 호주 전역에는 4만 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교도소에 있는 가족을 두고 있으며, 이번 조사는 그들이 실질적-정서적으로 상당한 범위의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는 플린 부교수는 “이들(교도소 수감)의 대부분 가족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처지이며 학교 공동체에 참여하는 아동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집단 괴롭힘과 반사회적 행동 발생에 기여한다”고 우려했다.

플린 부교수는 이어 “특히 고통스러운 것은 정신건강 문제와 장애진단을 받은 아동의 비율이 높다는 것”이라며 “조사에 참여한 어린이 중 상당수가 경찰이나 청소년법 담당자와 접촉한 적이 있다”고 전했다.

한편 ‘SHINE for Kids’는 이번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가족의) 수감기간 및 이후 해당 가정의 어린이와 남은 가족을 위한 전문적이고 접근 가능한 지원 제공, △수감자 방문 전과 이후 어린이와 가족을 위한 필요사항 지원, △수감기간 동안 남은 가족과의 연결을 위한 더 많은 서비스와 리소스 제공, 그리고 △수감자 가족을 둔 아동의 학교 및 교사를 대상으로 더 많은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범죄인 자녀 1).jpg (File Size:125.6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97 호주 시드니 한인회관 무단 침입 사건 발생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6 호주 봄 시즌 경매시장 둔화 ‘뚜렷’... 일부 지역 여전히 ‘강세’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5 호주 연말까지 시드니 지역서 6천여 채 경매 예정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4 호주 마틴 플레이스 크리스마스 트리, 26일(목) 점등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3 호주 학업-인격형성 등 교육 성취를 일궈낸 학교들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2 호주 부유층 중국인 구매자, 멜번 부동산 시장으로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1 호주 파리 테러 관련, “호주도 적극적 대비 필요”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0 호주 커먼웰스 은행, 시드니 서부 기반 비즈니스 축소 호주한국신문 15.11.19.
4889 호주 호주인들, 일부 부문 세금 인하하면 GST 인상 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5.11.19.
4888 호주 김봉현 대사, 대양주 한국학 총회 참석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7 호주 호주 한국어 교사들, 전국 단위 연합회 창립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6 호주 “장애인도 커뮤니티 일원으로 장벽 없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5 호주 주시드니 총영사관, 한인 차세대들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4 호주 마리아 윅 작가, 올해 ‘KAAF Art Prize’ 1등상 영예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3 호주 “부동산 시장, 내년에도 완만한 성장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2 호주 지난 주말 경매, 올 봄 시즌 매물 ‘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1 호주 에타놀 혼용 휘발유 판매, 의무 규정 강화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0 호주 시드니 무슬림들, 타 소수민족 비해 인종차별 3배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79 호주 “시드니 주택부족, 테라스 주거지가 정답?”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78 호주 젊은층의 ‘이슬람 급진화’ 차단, 핵심 과제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