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GDP 성장 1).jpg

지난해 2.7% 성장에 그쳤던 호주 경제가 올해 첫 3개월에도 0.2% 성장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연간 2.3%의 낮은 성장을 이어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높은 생활비 압박으로 각 가계의 재량(비필수) 지출도 눈에 띄게 감소했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통계청 자료... 2008년 6월 이후 가장 저조, 가계저축도 4.4%→3.7%로

 

경제둔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Bureau of Statistics. ABS)이 이달 둘째 주 내놓은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호주 경제 성장은 올해 첫 3개월 사이 0.2% 성장에 그쳤다.

이는 호주 경제가 2022년도 말 2.7%에서 현재 연간 2.3%로 낮은 성장을 이어가고 있음을 의미하며 또한 전반적인 경제 활동에 현저하게 둔화되었음을 나타낸다. 앞서 경제학자들은 이 수치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예측한 바 있다.

ABS 국가 계정(National Accounts) 책임자인 캐서린 키넌(Katherine Keenan) 국장은 “이는 분기별 GDP가 여섯 번째 연속 증가했지만 2021년 9월 전염병 대유행으로 인한 봉쇄조치 이후 가장 느린 성장 속도”라고 말했다.

가계저축률도 이전 분기 4.4%에서 3.7%로 떨어졌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6월 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저축률 하락은 상승한 기준금리에 따른 주택담보대출(mortgage) 이자 상환액 증가, 크게 치솟은 상품 및 서비스 가격에 의해 발생했다. 키넌 국장은 “가계저축률은 거의 15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1인당 GDP 감소,

주택투자도 위축

 

1인당 경제활동 수준은 올해 들어 3개월 연속 악화됐다. 인구증가가 경제성장을 앞질렀기에 1인당 경제 활동량을 측정하는 1인당 GDP는 3월 분기 0.2% 감소했다. 1인당 GDP는 지난해 9월 및 12월 분기, 0.1% 증가에 그쳐 이미 약세를 보인 바 있다.

 

종합(GDP 성장 2).jpg

호주 중앙은행(RBA)의 급격한 금리 인상 결정으로 부동산 시장 활동의 낮은 수준을 반영하는 소유권 이전 비용이 떨어짐 (-5%)에 따라 올해 3월 분기 주택투자는 2%가 감소했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프로그램 화면 캡쳐

   

올 3월 분기, 주택투자 또한 감소했다. 이는 호주 중앙은행(RBA)의 급격한 금리 인상 결정으로 부동산 시장 활동의 낮은 수준을 반영하는 소유권 이전 비용이 떨어짐 (-5%)에 따라 2%가 감소했다. 주택 개조작업 수요도 1.2%가 줄었다. 지속적인 노동력 부족으로 신규 프로젝트가 지연되고 완료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기존 작업 파이프라인에도 불구하고 신규 및 거주 중인 주택에 대한 투자 활동이 줄어든 것이다.

다만 기업 투자는 3월 분기 3.4% 증가했으며 특히 제조, 운송 및 광업이 주도한 기계 및 장비 부문에서 투자가 늘어났다.

 

연방 재무부, “경제둔화는

놀라운 게 아니다”

 

ABS의 이번 경제 지표에 대해 연방 재무부 짐 찰머스(Jim Chalmers) 장관은 경제활동 둔화가 높은 현금금리와 세계경제 위축의 영향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장관은 “기준금리 인상은 분명 타격이 크다”며 “우리(호주인들)는 가계지출을 줄이고 있기에 저축이 감소하고 (모기지 등) 이자는 더 많이 지불하고 있음을 수치에서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종합(GDP 성장 3).jpg

연방 재무부 짐 찰머스(Jim Chalmers. 사진) 장관. 그는 통계청(ABS)의 경제지표에서 드러난 경제활동 둔화는 높은 현금금리와 세계경제 위축의 영향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사진 : Nine Network 방송 화면 캡쳐​ 

 

찰머스 장관은 이어 “가계지출은 3분기 연속 완화되었고 올 3월 분기에는 0.2% 증가에 그쳤다”면서 “이는 각 가정이 가계예산에서 필수 항목을 위해 재량(비필수 품목) 지출을 줄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장관은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도 임금이 상승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고 말했다. “이 수치(임금 상승)의 반가운 측면 중 하나는 물가 압박이 완화되는 것과 동시에 가계소득이 견고하게 증가했다는 것”이라는 찰머스 장관은 “최저임금 및 일반급여 수치를 보면 이번 분기 2.4%, 전년 대비 10.8% 증가했고, 이는 더 많은 이들이 일자리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GDP 성장 1).jpg (File Size:78.9KB/Download:14)
  2. 종합(GDP 성장 2).jpg (File Size:73.0KB/Download:12)
  3. 종합(GDP 성장 3).jpg (File Size:43.7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97 호주 시드니 한인회관 무단 침입 사건 발생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6 호주 봄 시즌 경매시장 둔화 ‘뚜렷’... 일부 지역 여전히 ‘강세’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5 호주 연말까지 시드니 지역서 6천여 채 경매 예정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4 호주 마틴 플레이스 크리스마스 트리, 26일(목) 점등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3 호주 학업-인격형성 등 교육 성취를 일궈낸 학교들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2 호주 부유층 중국인 구매자, 멜번 부동산 시장으로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1 호주 파리 테러 관련, “호주도 적극적 대비 필요”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0 호주 커먼웰스 은행, 시드니 서부 기반 비즈니스 축소 호주한국신문 15.11.19.
4889 호주 호주인들, 일부 부문 세금 인하하면 GST 인상 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5.11.19.
4888 호주 김봉현 대사, 대양주 한국학 총회 참석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7 호주 호주 한국어 교사들, 전국 단위 연합회 창립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6 호주 “장애인도 커뮤니티 일원으로 장벽 없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5 호주 주시드니 총영사관, 한인 차세대들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4 호주 마리아 윅 작가, 올해 ‘KAAF Art Prize’ 1등상 영예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3 호주 “부동산 시장, 내년에도 완만한 성장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2 호주 지난 주말 경매, 올 봄 시즌 매물 ‘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1 호주 에타놀 혼용 휘발유 판매, 의무 규정 강화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80 호주 시드니 무슬림들, 타 소수민족 비해 인종차별 3배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79 호주 “시드니 주택부족, 테라스 주거지가 정답?”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4878 호주 젊은층의 ‘이슬람 급진화’ 차단, 핵심 과제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