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겨울 독감 1).jpg

이번 겨울, COVID-19를 비롯해 독감,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가 기승을 부리며 ‘트리플 위협’이라는 말까지 나오는 가운데 보건 전문가들은 이 호흡기 질환에 대한 경계와 빠른 대처를 강조한다. 사진 : Pexels / Karolina Grabowska

 

세 바이러스 모두 유사한 증상 보여, 조속한 검사 통해 바이러스 증상 파악 ‘필요’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다소 약화됐던 독감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보건 당국은 올 겨울 시즌, 7번째 COVID 감염 파동이 나타나고 있다고 경고한다. 여기에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라는, 다소 생소한 바이러스까지 확산되는 등 호흡기 질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번 겨울, ‘트리플 위협’(triple threat)이라 불리는 이 세 가지 질환은 매우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보건 전분가들은 경미한 증상이라도 중증으로 번질 가능성을 우려하는 상황이다.

 

▲ RSV는 어떤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의 약자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며, 매우 흔한 감기를 일으키는 약 200여 바이러스 가운데 하나이다.

RSV로 인한 질환의 대부분은 경미한 편이다. 하지만 어린이, 노인, 면역억제 상태에 있는 이들의 경우에는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기관지염이나 폐렴과 같은 흉부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귀 감염의 원인이 되는가 하면 이 질병과 관련된 기침은 천식 증상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 RSV 증상=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발열, 콧물, 기침, 불편해 보이는 숨소리(호흡기 곤란), 식욕감소 등이다.

RSV의 경우 대부분은 약 2주 후 사라진다. 하지만 NSW 주 보건부는 바이러스와 관련된 기침이 4주 동안 지속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 COVID-RSV-독감의 차이= 세 바이러스 모두 겹치거나 유사한 증상이 있다. 디킨대학교(Deakin University) 면역학자 하산 밸리(Hassan Vally) 교수에 따르면 이들 세 가지 바이러스 모두 호흡기 질환이지만 이 각각의 바이러스가 유발하는 질병의 특성, 전파 방식 및 영향에는 차이가 있다.

 

종합(겨울 독감 2).jpg

COVID, 독감, RSV는 거의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비교적 심각성도 경미한 편이지만 영유아, 노인, 면역력 저하 등의 경우에는 위험 상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사진 : Pexels / Andrea Piacquadio

   

그는 “이 질병들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누가 각 질환에 가장 취약한가’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밸리 교수에 따르면 COVID의 경우 고령층에게 가장 큰 위험을 초래하며 RSV는 어린 아이들에게 가장 큰 위협이 된다. 또 인플루엔자, 즉 독감은 어린이와 노인은 물론 임산부에게 매우 위험하다.

이어 밸리 교수는 이들 각 바이러스를 구별하는 핵심은 증상이 얼마나 빠르게 증가하는가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각 증상의 차이점=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모든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이 각각의 바이러스에 의한 광범위한 증상은 대부분 사람들에게 매우 유사하다. 밸리 교수는 “콧물, 기침, 목아픔, 재채기 및 두통이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런 증상에 따라 어떤 질병에 걸렸는지를 확인하는 유일한 방법은 검사를 받는 것이다.

 

▲ 검사에는 어떤 차이가 있나= 각각의 바이러스 감염 검사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일부 검사기관은 여러 바이러스를 검사한 뒤 RSV, 인플루엔자, COVID-19 검사 결과를 동시에 보낼 수 있다. 다만 이는 각 주(State and Territory)에 따라 다르다.

 

-COVID : 빠른 항원검사(Rapid Antigen Tests. RAT)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검사 키트는 약국에서 구입하면 된다. 일부 주 및 테러토리 정부는 여전히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검사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주 또는 테러토리 보건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RSV : 일반의(GP)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NSW 보건부에 따르면 이 바이러스는 PCR 검사(코 또는 인후 면봉)로 확인할 수 있다.

 

-Flu : COVID와 마찬가지로 독감 또한 RAT 검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바이러스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키트는 지난해 9월 승인됐으며, 몇 가지 제품이 시중에 나와 있다.

 

이 검사 키트로 △두 가지 유형(influenza A and B)의 독감 감염 여부, △COVID-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SARS-CoV-2) 감염여부를 동시에 알아볼 수 있다. 온라인 판매에서의 이 키트 가격은 8.95달러에서 59달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 취약한 연령대

-COVID-19 : 전문가들에 따르면 높은 연령은 중증 질환 및 사망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특히 60~70대 연령층에서 위험이 가장 크게 증가한다. 백신접종을 받은 이들 또한 큰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중증 질환 위험이 높은 이들을 보면 △여러 질병 또는 심각한 동반 질환자, △면역력이 저하된 이들, △장애인, △본래 신체가 약한 이들,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도서민, △임산부 등이다.

 

-RSV : 퀸즐랜드 보건부(Queensland Health) 대변인은 “대부분의 어린이는 두 살이 되기 전, 적어도 한 번은 RSV에 감염된다”며 “이 감염은 재감염에 대한 약간의 면역력을 제공하므로 5세 미만 어린이, 특히 6개월 미만 유아의 경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위험이 가장 높다”고 설명한다. 이외에도 △만 65세 이상 연령층, △여러 질병 또는 심각한 동반 질환자, △면역력이 떨어진 이들도 위험이 높다.

 

-Flu : 독감의 경우 위험 상황은 COVID-19와 유사하다. 특히 5세 미만 어린이, 65세 이상 성인의 경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위험이 가장 크다.

 

종합(겨울 독감 3).jpg

COVID-19와 독감 감염여부는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하나의 키트로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 사진은 현재 약국에서 판매되는 두 질환의 동시 검사용 키트. 사진 : 트위터 / Amy Coopes

   

▲ 바이러스 감염을 피하려면= 이들 세 바이러스를 피하는 길은 동일하다. 연방 보건부 대변인은 “대부분의 경우 이들 질병은 경미하고 자기 제한적(self-limiting)”이라고 설명한다.

연방 보건부는 △증상이 있을 경우 직장 또는 학교에 가지 말고 집에 머물 것,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가능한 얼굴을 마주한 채 대화하는 것을 피하며, △파라세타몰(paracetamol)이나 이부프로펜(ibuprofen)으로 통증 및 발열을 관리하고, △노인요양시설 등 더 큰 위험이 있는 이들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밸리 교수는 또한 “최신 예방접종을 받는 것도 중요하다”고 권고하면서 “COVID와 인플루엔자에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이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그는 “증상이 악화되거나 심해지면 긴급 치료를 받아야 한다”면서 “이는 특히 고위험군에 있는 사람들에게 아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각 증상 비교

(신호 또는 증상 : COVID-19 / RSV / Flu)

발열 : Sometimes / Sometimes / Common

기침 : Common / Common / Common

목아픔 : Common / Sometimes / Sometimes

숨가쁨 : Sometimes / Sometimes / Rarely

피로 : Common / Sometimes / Common

미각 또는 후각 상실 : Sometimes / Rarely / Sometimes

몸살 또는 통증 : Sometimes / Rarely / Common

두통 : Common / Sometimes / Common

코막힘 또는 콧물 : Common / Common / Sometimes

설사 : Rarely / Rarely / Sometimes (in children)

재채기 : Common / Sometimes / No

구토 : Sometimes / Rarely / Common in children, Rare in adults

Source: healthdirect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겨울 독감 1).jpg (File Size:74.8KB/Download:17)
  2. 종합(겨울 독감 2).jpg (File Size:53.8KB/Download:14)
  3. 종합(겨울 독감 3).jpg (File Size:77.7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17 호주 섹스산업 관련 조폭 단속 요구 목소리 높아져 호주한국신문 15.11.12.
4916 호주 경찰, 200만 달러 규모 대마초 재배지 적발 호주한국신문 15.11.12.
4915 호주 유엔 사무총장의 꿈을 키워가는 케빈 러드 호주한국신문 15.11.12.
4914 호주 이민부 장관, 시리아 난민 수용 확대 가능성 남겨 호주한국신문 15.11.12.
4913 호주 대학 졸업 후 정규직 찾는 데에 5년 걸린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4912 호주 호주 10대 청소년 출산 여성 수치, 크게 낮아져 호주한국신문 15.11.12.
4911 호주 가톨릭 여학교 학생들, 대학진학 가능성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12.
4910 호주 시리아-이라크 지역 호주인 테러리스트 수치 ‘감소’ 호주한국신문 15.11.12.
4909 호주 중앙은행,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필요” 호주한국신문 15.11.12.
4908 호주 호주 최대 두 도시가 직면한 문제, “너무 크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4907 호주 턴불 정부, 의료보험 제도 과감한 개혁 예정 호주한국신문 15.11.12.
4906 호주 호주 사상 최대 미스테리 중 하나, ‘누간핸드 은행’ 호주한국신문 15.11.12.
4905 호주 이휘진 총영사, 한인 입양아 한글학교 학생 격려 호주한국신문 15.11.19.
4904 호주 12월 퀸즐랜드(골드코스트, 브리즈번) 순회영사 호주한국신문 15.11.19.
4903 호주 ‘호주 한글학교의 날’ 기해 학생들 격려 호주한국신문 15.11.19.
4902 호주 재외동포재단, 내년도 지원 사업 수요 조사 호주한국신문 15.11.19.
4901 호주 총영사관, 호주 참전용사 초청 오찬행사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1.19.
4900 호주 광복회 호주지회, 순국선열 기념 행사 마련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9 호주 시드니 재외선관위, 선거인등 신고-신청 시작 호주한국신문 15.11.19.
4898 호주 6개국 확대, 2015 베넬롱컵 국제 탁구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5.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