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NAB 분석 1).jpg

National Australia Bank가 자사 고객 570만 명을 대상으로 접촉한 결과 이자율 상승과 높은 인플레이션이 아직은 주택담보대출 가계에 ‘온전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NAB personal banking 최고책임자, “모기지 부담 고객 거의 없는 편” 밝혀

 

지난 1년 사이 단행된 기준금리의 급격한 상승으로 주택담보대출(mortgage)을 상환해야 하는 이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은 이들의 가계재정이 탄력적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이는 National Australia Bank가 최근 밝힌 것으로, NAB는 “50만 명 이상의 고객과 접촉한 결과 14명의 고객만이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강한 노동시장이 모기지 고객을 급격한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자율 상승으로 매월 상환해야 할 모기지 부담 또한 크게 증가한 상황에서 각 은행들이 어려움을 겪는 고객에 대비하는 가운데, NAB personal banking 부문 최고 책임자인 레이첼 슬레이드(Rachel Slade) 최고경영자는 “모기지를 갖고 있는 가정들이 아직은 금리인상의 영향을 완전히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대출금 상쇄계좌(offset account) 또는 예금계좌에 높은 잔액을 가진 고객 비율도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4월까지 0.1%의 사상 최저 금리를 이어오던 호주 중앙은행(RBA)은 5월부터 현재까지 12차례의 이자율 인상을 단행, 현재 목표금리를 4.1%까지 올려놓았으며, 이로써 각 은행들은 현금금리 움직임에 민감한 모기지 및 스몰 비즈니스 고객들 가운데 더 많은 악성부채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슬레이드 CEO에 따르면 NAB는 전체 고객의 약 10%인 57만 명 고객에게 연락을 취했으며, 이들 가운데 단 14명의 모기지 고객만이 재정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지난 18개월 동안 약 36만 명의 모기지 고객과 접촉해온 ANZ 은행을 비롯해 모기지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은행들도 모기지 고객들에게 연락을 취하고 있다.

NAB는 올해 적어도 두 차례의 금리 인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슬레이드 CEO는 “호주 가계들이 (금리 상승의) 완전한 범위를 느낄 것 같지는 않다”고 진단하면서 그 배경으로 ‘노동시장 강세’를 언급했다. 또한 “높은 인플레이션에 따라 더 많은 이들이 비필수 항목의 지출을 줄이는가 하면 약 절반은 소비습관을 바꾸고 있다”고 덧붙였다.

 

종합(NAB 분석 2).jpg

NAB personal banking 부문 최고 책임자인 레이첼 슬레이드(Rachel Slade. 사진) CEO. 그녀는 이전의 유사한 상황과 달리 현재 대다수 호주 가정이 재정적 어려움을 온전히 느끼지 못하는 배경으로 ‘강한 노동시장’을 언급했다. 사진 : New Payment Platform

   

이어 “각 가계는 확실히 금리 상승과 높은 인플레이션의 부담으로 느끼고 있지만 이전에 호주가 겪었던 유사한 상황과 달리 직업을 유지할 수 있는 경제 상황에 대해 확신한다”는 슬레이드 CEO는 “아직은 (월 모기지 상환이) 연체 또는 지연된 고객이 많지 않고 이 같은 어려움에 처한 고객 수도 급증하지는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자율이 모기지를 가진 가정에 영향을 미칠 시간이 더 남아 있는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전 상황을 보면, 주택담보대출 고객들은 평균적으로 대출금 전액을 상환을 약 3년 반 정도 앞당겨 왔다. 하지만 슬레이드 CEO는 이제 더 많은 모기지 고객들이 지원을 요청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녀가 언급한 위험에 처할 수 있는 고객에는 지난 몇 년 동안 이자율이 사상 최저 수준일 때 대출을 받은 이들, 높은 LTV 비율(loan-to-value ratios)을 가진 이들이 포함된다.

약 2천 명을 대상으로 한 NAB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대다수가 소비를 줄이고 가장 필요하고 가치 있는 것에 (지출을) 집중함으로써 평균적으로 월 286달러를 절약하고 있다.

이들 중 절반 이상(55%)은 외식비용을 줄여 매월 약 115달러를, 커피와 점심식사, 영화관람 등에서 매월 약 55달러를 줄인 상황이다. 또 응답자의 약 40%는 휘발유 비용을 절약하고자 자동차를 덜 이용하며 음식배달 서비스를 중단함으로써 월 60~90달러를 절약했다.

슬레이드 CEO는 고객에 대한 은행 측의 접촉도 중요하지만 재정 문제를 겪고 있는 모기지 고객의 경우 가능한 이른 시간에 은행과 연락을 시도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 “우리는 고객들이 느끼는 이 벽을 넘어 고객이 안심하고 어려움을 밝힐 수 있도록 하고 싶다”는 게 그녀의 말이다.

NAB 측에 따르면 힘든 상황의 대출 고객들이 ‘NAB Assist’ 신속히 연락한 경우 90% 이상이 90일 이내 재정 상황을 극복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NAB 분석 1).jpg (File Size:85.6KB/Download:11)
  2. 종합(NAB 분석 2).jpg (File Size:43.9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37 호주 캐나다베이 카운슬 ‘페라고스토 축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9.04.
4936 호주 어번 카운슬, ‘Festival of All Abilities’ 공동 주관 호주한국신문 15.11.05.
4935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낙찰률, 올 들어 최저 호주한국신문 15.11.05.
4934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1840년대 코티지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05.
4933 호주 시드니 주말시장의 상징, ‘로젤 마켓’ 종료 호주한국신문 15.11.05.
4932 호주 시드니 도심 초등학교, 교실 부족 사태 직면 호주한국신문 15.11.05.
4931 호주 네드 켈리 수감됐던 빅토리아 주 감옥, 매물로 나와 호주한국신문 15.11.05.
4930 호주 올해 멜번컵, 예상치 못한 ‘Prince Of Penzance’ 우승 호주한국신문 15.11.05.
4929 호주 NSW 주 정부, 강화된 대테러 정책 발표 호주한국신문 15.11.05.
4928 호주 노틀담 대학 시드니 캠퍼스, IB 교수 과정 도입 호주한국신문 15.11.05.
4927 호주 50세 이상 호주 고령층,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05.
4926 호주 카운슬 합병, “확고한 계획 없다는 게 이상하다” 호주한국신문 15.11.05.
4925 호주 턴불 수상의 세제개혁안에 일부 자유당 의원들 ‘반발’ 호주한국신문 15.11.05.
4924 호주 투자의 귀재, 호주판 ‘워렌 버핏’은 누구일까 호주한국신문 15.11.05.
4923 호주 한국문화원, 현대미술 세미나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1.12.
4922 호주 힘내라 청춘, 당신의 꿈을 응원합니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4921 호주 광복회, 국정교과서 ‘왜곡’ 부분 적극 대응 천명 호주한국신문 15.11.12.
4920 호주 “북한 인권 개선은 통일의 로드맵” 호주한국신문 15.11.12.
4919 호주 지난 10년간 주택가격 상승 톱 10 시드니 지역은... 호주한국신문 15.11.12.
4918 호주 지난 주말 시드니 경매 낙찰률, 60% 이하로 호주한국신문 15.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