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BA 경고 1).jpg

커먼웰스 은행(Commonwealth Bank)의 매트 코민(Matt Comyn. 사진) 최고경영자. 그는 이달 둘째 주 의회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상승 및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담보대출 고객들이 부담을 느끼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젊은 임차인들이 더 큰 재정적 압박에 직면해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 : Commonwealth Bank

 

CBA 최고경영자, 온라인을 통한 의회위원회 회의서 경고... 극심한 재정 부담 직면

 

주택담보대출(mortgage)을 갖고 있는 가정에 비해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이들이 더 큰 재정적 압박에 직면에 있다는 금융 관계자의 의견이 제기됐다. 특히 모든 연령층 가운데 30~34세 사이 젊은이들이 가장 큰 부담을 안고 있으며 60~74세 사이 노년층의 부담은 가장 적다는 것이다.

이달 둘째 주 커먼웰스 은행(Commonwealth Bank. CAB) 매트 코민(Matt Comyn) 최고경영자는 온라인 화상으로 출석한 의회위원회에서 호주 가정이 향후 6개월 동안 더 많은 재정 부담을 느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호주 중앙은행(RBA)이 단행한 급격한 금리인상의 완전한 효과가 아직은 경제 전반에 작용한 것은 아니며 에너지 가격과 임대료는 올해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돼 가계 재정에 또 하나의 부담을 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민 CEO는 CBA 자체 데이터를 언급하면서 대부분의 가구가 분명 지출을 줄이고 있지만 특정 그룹은 다른 이들에 비해 더 큰 압박을 받고 있음을 지적했다. “많은 가구에서 비필수 품목의 지출을 줄이고 있으며 누적된 저축액에 손을 대고 있다”는 게 그의 말이다.

 

임차인들이 느끼는

압박감, 가장 큰 편

 

 

이와 함께 코민 CEO는 모기지를 갖고 있는 가구들이 RBA의 통화정책으로 타격을 받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가장 큰 부담을 갖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이들보다 현재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세입자들이 더 많은 압박을 받고 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CBA 고객 가운데 모기지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의 수는 과거의 사례를 기준으로 볼 때 여전히 낮은 편이지만 젊은 주택구입자의 경우에는 재정적 어려움이 큰 편이다.

코민 CEO는 “한 예로, 대유행 기간 동안 내집을 마련한 젊은 첫 주택구입자 가운데 대다수가 현재 지출을 줄이고 있으며 특히 3분의 1에 해당하는 이들의 지출 감소는 전년도 대비 30% 이상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RBA의 급격한 현금금리 인상에 대해 60% 이상의 가구가 이의 영향을 체감하고 있으며, 올해 말쯤 이 비율은 85%에 달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종합(CBA 경고 2).jpg

CommBank iQ가 비교한 2023년 3월 분기와 전년도 같은 기간의 소비자 지출. 현재 호주에서는 25세에서 29세 사이 연령층의 지출이 가장 크게 감소하고 있다. Source : CommBank iQ

   

지난해 4월까지 0.1%의 사상 최저 수준을 이어오던 기준금리는 14개월 사이 4.1%로 높아진 상황이다.

코민 CEO는 “따라서 이자율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고 해도 앞으로 6개월가량은 가계재정에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질 것”이라며 “우리(CBA)는 고객들이 실제로 재정상의 어려움이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들의 지출 패턴 등을 예리하게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젊은 연령대에서

가장 큰 지출 감소 보여

 

코민 CEO는 “현재 재정 압박을 가장 크게 느끼는 그룹은 30세에서 34세 연령층이며, 60세 이상 고령층이 이의 부담에서 가장 여유롭다”고 말했다.

반면 데이빗 코헨(David Cohen) 부회장에 따르면 25세에서 29세 연령층에서 가계지출의 가장 큰 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CBA는 지난 5월 여러 연령그룹의 지출을 보여주는 보고서를 내놓은 바 있다. 이 은행의 초기 관찰에 따르면 25~29세 연령층의 경우 임대료 인상 및 새로운 기타 비용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았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코헨 부회장은 “이 집단의 경우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할 계층”이라며 “35세 이하의 또 다른 연령 그룹에서도 소매, 여행 분야에서 상당한 지출 감소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신용카드사용에 따른 월 상환액 연체 측면에서는 상당히 양호한 편이다. 코민 CEO에 따르면 새 회계연도 초, 신용카드 연체율은 50bp(basis point) 이하로 떨어졌다. 그는 “이 수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연체율 가운데 하나일 것”이라며 “신용카드 부채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고객이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는 측면에서 우려할 이유가 안 된다”고 진단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BA 경고 1).jpg (File Size:54.4KB/Download:15)
  2. 종합(CBA 경고 2).jpg (File Size:51.5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57 호주 연간 수십 만 명 달하는 이민자 유입... 호주, 수년간 높은 임대료 이어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56 호주 HSC 2023- ‘Success Rate’ 최고 성적, North Sydney Boys High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55 호주 HSC 2023- 남녀 학생간 학업성적 격차, 지난 5년 사이 크기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54 호주 “스마트폰, 재난상황에서 생명 구하는 데 도움 될 수 있다”...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53 호주 시드니서 내집 마련?... 지난해 비해 연간 9만 달러 더 많은 소득 올려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52 호주 올해 NAPLAN 평가 데이터 분석... 공립 초등학교, ‘상위 우수성적’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51 호주 호주 여권 갱신비용, 거의 400달러로... 내년도 두 차례 오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50 호주 Pretty extraordinary... 시드니 등 주요 도시 주택가격 상승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49 호주 아침에 커피를 거르면 두통이 온다구? ‘카페인 금단’, 그 과학이론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48 호주 주택구매, 보다 수월해질까... 올 11월 시드니 지역 경매 낙찰률 하락세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47 호주 NSW 주 정부, 28개 펍과 클럽 대상 ‘cashless gaming trial’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5146 호주 연방정부, 이민자 제한 ‘10개년 계획’ 발표... 순이민, 2년 내 절반 수준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12.14.
5145 호주 NSW 주 정부, Metro West 프로젝트 ‘지속’ 확인... 수만 채 주택 건설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12.14.
5144 호주 시드니 도심-동부 지역, ‘주거지 공간’에 대한 높은 프리미엄 지불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12.14.
5143 호주 지나친 욕심을 가졌다고?... ‘세상 악의 희생양’, 베이비부머들은 억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2.14.
5142 호주 주택가격 반등-이자율 상승, 대출제한 강화로 ‘모기지 보증금’도 ‘껑충’ file 호주한국신문 23.12.14.
5141 호주 대학교육 인기 하락? University Admissions Centre 지원,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12.14.
5140 호주 시드니 시의 ‘New Year's Eve’ 이벤트, 핵심 주제는 ‘호주 원주민’ file 호주한국신문 23.12.14.
5139 호주 Time for me to leave... QLD 팔라슈추크 주 총리, ‘깜짝’ 사임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3.12.14.
5138 호주 근로자 인금인상? 높은 이자율-세금으로 실질소득은 ‘사상 최저 수준’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3.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