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생활비 위기 1).jpg

높은 인플레이션과 현금금리로 각 가계의 생활비 부담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으며, 예상치 못하게 발생한 비용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들의 비율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한 슈퍼마켓 신선식품 코너에서 구매를 망설이는 고객. 사진 : Nine Network 뉴스 화면 캡쳐

 

‘Resolve Strategic’ 조사, ‘예상치 못한 가계비 부담 난관’, 2월 41%→7월 51%

 

호주인들이 느끼는 전반적인 생활비 압박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대한 7월 조사에 따르면 절반 이상이 치솟은 금리와 전기사용료, 식료품 가격으로 인한 재정적 폭풍에 대처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으며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한 가계비용으로 심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가전제품 교체 또는 가족용 자동차 수리비를 충당하기 어렵다는 이들의 비율은 올해 초 조사와 비교해 10%포인트 증가했으며, 상위 소득계층에서도 재정 압박을 느끼고 있다.

이달(7월) 12일(수)에서 15일(토) 사이, 호주 전역 1,61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기관 ‘Resolve Strategic’의 정기 유권자 모니터링인 ‘Resolve Political Monitor’ 결과는 급격하게 상승한 인플레이션 책임에 대한 노동당 및 연립(자유-국민당) 지지자들 사이의 균열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립 야당은 생활비 부담을 적절하게 처리하지 못한 노동당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고, 이를 지난 7월 15일(토) 치러진 퀸즐랜드 파든 선거구(Division of Fadden) 보궐선거로 이어가 승리를 챙겼다. 하지만 이 같은 야당의 공세에도 불구, 대다수 유권자들은 알바니스(Anthony Albanese) 총리 및 찰머스(Jim Chalmers) 재무장관에 등을 돌리지 않았다. 현 집권 여당(노동당)은 지지도 면에서 여전히 큰 격차로 연립 야당을 앞서고 있다.

올해 첫 조사인 지난 2월 Resolve Political Monitor에서 응답자의 41%는 예상치 못한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는 답변이었다. 하지만 이 비율은 이번 조사(7월)에서 51%로 증가했다.

이 조사 항목은 소비자가 실제로 느끼는 경제적 압박감에 대한 좋은 지표이기에 재정 스트레스를 알아보는 조사에서 자주 사용되는 질문이다.

 

종합(생활비 위기 2).jpg

예상치 못하게 발생하는 가계비용 처리에 어려움을 겪거나(‘Agree’) 아직은 그렇지 않다(‘Disagree’)는 이들의 비율을 보여주는 그래프. 설문은 ‘가령, 새 냉장고를 구입하거나 자동차 수리가 필요한 경우와 같이 몇 천 달러의 큰 비용이 든다면 감당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이에 동의하십니까, 동의하지 않습니까?’였다. Source: Resolve Political Monitor

   

조사 결과 저소득층의 경우 예상하지 못한 청구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64%에 달했다. 이는 중간소득 및 고소득 계층에서도 각각 49%, 46%로 높게 나타나 호주인 대부분이 직면한 재정적 고통의 증거는 더욱 분명해졌다.

이 부문에서, 현재 직장을 갖고 있는 이들의 절반은 어려움이 있을 것(예상치 못한 비용 해결)이라는 반응이었으며 실업 상태의 응답자 가운데 같은 답변은 62%였다.

아울러 이번 Resolve Political Monitor 결과는 또한 대개의 유권자들이 ‘호주 경제 상황이 조만간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극히 일부인 전체의 5%만이 ‘다음 달이면 경기가 나아질 것’으로 믿고 있으며 47%는 ‘더욱 악화’라는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28%는 ‘내년도 개선을 기대한다’는 반응을 보였으나 40%는 ‘악화에 대비하고 있다’는 답변이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유권자들의 생각도 드러났다. 전체 응답자의 3분의 1은 물가지수 관리가 중앙은행(RBA)의 책임이라고 여기며 2~3%대 인플레이션 수치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42%는 정부 책임이라는 반응이었으며 4분의 1은 정부와 RBA 모두의 역할이라고 보았다.

정당 지지자 별로 보면, 연립 지지자의 51%는 인플레이션 관리가 집권정부의 일이라고 답한 반면, 노동당 지지자의 이 같은 답변은 34%였다.

한편 호주 신용조사기관 중 하나인 ‘Credit Bureau Illion’ 분석 또한 호주인이 느끼는 고통을 확인케 한다.

‘Illion’이 호주 소비자 1,800만 명의 신용 수준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1월 이후 신용 부도(credit default) 위험이 9%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위험 상승의 대부분은 중앙은행이 2.85%의 현금금리를 결정한 지난해 11월 이후 이루어졌다. 기준금리 상승의 영향이 컸던 것이다.

 

종합(생활비 위기 3).jpg

경제 전망에 대한 유권자 응답을 보여주는 그래프. 설문은 ‘미래에 대해 생각할 때, 다음 기간 동안 경제가 나아질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악화될 것입니까, 아니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생각하십니까?’였다. Source: Real Political Monitor

 

현재 RBA의 목표금리는 4.1%로, 대개의 경제학자들은 RBA가 최소한 한 차례는 더 금리인상을 단행, 4.35%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신용카드 및 기타 신용융자제도를 이용한 소비자 가운데 최소 30일 이상 연체된 이들의 비율도 9%가 증가했으며 주택융자 상환을 연체한 고객 또한 1년 전에 비해 5% 높아졌다. 이런 가운데 지난 1년 사이 신용융자 신청 건수는 40%가 늘어났다.

재정 문제로 고군분투하는 이들은 채무자뿐 만이 아니다. 이번 분석에서 Illion은 저축이 가능한 이들의 수가 크게 감소했음을 확인했다. 호주인의 저축 잔액은 지난해 10월 이후 40%가 줄었다.

Illion의 통계분석 책임자인 마이클 랭그라프(Michael Landgraf) 연구원은 “이제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일반 청구서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같다”고 진단하면서 “가계 재정 부담, 임대료 상승, 신용수요 증가, 신용 연체, 저축 감소 등의 퍼펙트 스톰(perfect storm. 최악의 시나리오)은 임박한 신용 손실을 의미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달 Resolve Political Monitor는 또한 다수의 유권자가 내년 7월 1일부터 시작되는 3단계 감세(stage 3 tax cuts. 12만 달러에서 18만 달러의 과세 등급을 제거, 최고 과세 등급을 20만 달러로 높이고 4만5천 달러에서 20만 달러 사이의 소득을 가진 모든 사람에 대한 한계 세율을 30%로 낮추는 계획)을 지지하지만 더 많은 이들이 이를 반대하거나 이 제도의 긍정적인 면을 확신하지 못하는 것을 드러냈다.

 

종합(생활비 위기 4).jpg

인플레이션 관리 책임 소재에 대한 유권자 답변을 보여주는 그래프. 설문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데 가장 큰 책임이 있는 사람은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였다. Source: Real Political Monitor

   

이에 대해 38%는 4만5,000달러 이상 연소득자의 세금감면을 지지한다는 반응이었다. 하지만 이 감면제도는 운영 첫 해, 정부 예산에서 200억 달러 이상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연립 지지자(46%)는 노동당(35%)이나 기타 정당(33%)에 비해 더 높은 비율로 이 제도를 옹호(이는 연립이 집권하던 당시 만들어진 세금 삭감 계획이다)했다.

전체적으로 세금 삭감을 반대한 응답자는 26%였으며, 이 가운데 기타 정당 지지자들(32%)은 노동당(28%)이나 연립(21%) 지지자들에 비해 이를 반대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이런 가운데 여전히 많은 이들(36%)은 지난 2018년 모리슨(Scott Morrison) 정부에서 내놓은 이 감세 계획을 확신하지 못하거나 중립적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생활비 위기 1).jpg (File Size:110.7KB/Download:11)
  2. 종합(생활비 위기 2).jpg (File Size:48.2KB/Download:12)
  3. 종합(생활비 위기 3).jpg (File Size:56.6KB/Download:16)
  4. 종합(생활비 위기 4).jpg (File Size:29.2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57 호주 이민부, 난민 아동에 임시보호비자 발급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8.21.
4956 호주 그린필드 파크서 칼에 찔린 남성 사망 호주한국신문 14.08.21.
4955 호주 캔버라 지역, 호주에서 평균 임금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4.08.21.
4954 호주 ‘국제적 비난’ 칼레드 샤로프, 그는 누구인가 호주한국신문 14.08.21.
4953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가담 관련 법안 추진 설명 호주한국신문 14.08.21.
4952 호주 부동산 투자 비자 정책으로 주택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8.28.
4951 호주 취재수첩-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총회? 호주한국신문 14.08.28.
4950 호주 텔스트라 ‘콜센터’, 5년 이내 사라질 것 호주한국신문 14.08.28.
4949 호주 클리브 팔머 대표, 중국 정부에 대한 ‘막말’ 사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4948 호주 시드니 시티, ‘인종차별 규탄안’ 만장일치로 통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4947 호주 “아시안컵 성공 개최 위해 한인사회 적극 협력...” 호주한국신문 14.08.28.
4946 호주 “이너 시드니 아파트, 공급 과잉 불러올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8.28.
4945 호주 ‘크리스마스 섬 난민신청자 처우’에 집단소송 호주한국신문 14.08.28.
4944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 억제 위해 6천400만 달러 배정 호주한국신문 14.08.28.
4943 호주 정부법률가, 총기소지 및 마약거리 혐의로 기소 호주한국신문 14.08.28.
4942 호주 “마리화나, 젊은 층 정신질환 치료 이용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8.
4941 호주 NSW 새 음주법 도입 6개월, 뚜렷한 변화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8.28.
4940 호주 올 겨울 기간, 시드니 부동산 가격 5% 급등 호주한국신문 14.09.04.
4939 호주 소비자 보호기관, 휴가예약시 주의사항 권고 호주한국신문 14.09.04.
4938 호주 한국문화원, 2014 한국어도서 독후감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