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임대료 상승 지역 1).jpg

지난 1년 사이 시드니 지역 주택 임대료가 급격하게 치솟았다. 특히 인기 주거지역인 도심 및 인근, 일부 해안 지역의 경우에는 한 주(a week) 500달러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임대를 알리는 광고판.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Domain’ 임대보고서, 유닛 Eastlakes-단독주택 North Curl Curl 35% 이상 올라

 

지난해 하반기부터 오르기 시작한 주택 임대료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시드니 일부 교외지역 임대료는 지난해 같은 시기와 비교해 한 주(a week)에 수백 달러가 높아져 세입자들이 저렴한 주택을 구하는 데 더욱 큰 어려움에 직면한 상태이다.

시드니 도심 인근 및 해안 교외지역의 경우 한 주 최대 500달러가 인상된 가운데, 대부분 지역에서도 1년 사이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최근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이 내놓은 분기별 임대보고서(‘Domain Rent Report’)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유닛은 이스트레이크(Eastlakes, 37.5%), 헤이마켓(Haymarket, 35.7%), 이스트가든스(Eastgardens, 34.3%), 제트랜드(Zetland, 33.8%)로 가장 큰 오름세를 보였다.

또 단독주택의 경우 노스컬컬(North Curl Curl. 39.6%), 클로벌리(Clovelly, 37%)와 로즈베이(Rose Bay, 33.3%)는 30%를 훌쩍 넘는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들 지역의 이 같은 상승은 주 500달러 인상에 해당한다.

이전까지 비교적 저렴한 임대료를 보였던 패스토 헤이츠(Padstow Heights), 매콰리파크(Macquarie Park), 아핀(Appin) 또한 임대료 인상이 비교적 높은 교외지역에 포함됐다.

올 6월 분기 자료를 보면 시드니 전역의 아파트 임대료는 평균 27.6% 올라 현재 중간 임대료는 주 670달러에 달하며 단독주책은 12.9% 오른 주 700달러로 집계됐다.

‘도메인’ 선임연구원인 니콜라 파월(Nicola Powell) 박사는 새로운 주택공급 및 투자자 활동이 부진한 가운데 강한 이민자 유입과 국제학생들의 학업 복귀, 가구당 인구 감소가 높은 임대수요를 불러왔다고 말했다.

임대료 상승폭이 가장 큰 일부 교외지역은 해외에서 유입된 이민자들로부터 인기 거주 지역으로 꼽히는 곳이었다. 이들 교외지역은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국경 폐쇄가 단행되었을 당시 급격한 임대료 하락을 보였다가 다시 상승했으며, 현재는 팬데믹 이전 수준을 훨씬 뛰어넘었다. 파월 박사는 “경제성 제약과 CBD 재활성화 또한 (임대료 상승의) 한 요인”이라고 설명하면서 “특히 이너-시티(inner-city) 지역의 유닛은 이민자, 국제학생들의 수요로 압력 포인트가 되기에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부동산(임대료 상승 지역 2).jpg

지난 2016년 이후 시드니 지역 중간 임대료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단독주택은 물론 유잇 임대료는 2022년 이후 급격한 상승 곡선을 보인다. Source: Domain Rent Report, June quarter 2023

   

전국 체인 부동산 중개회사 ‘PRD Real Estate’의 선임 경제학자 디아스와티 마디아스모(Diaswati Mardiasmo) 박사는 높은 건축비용과 노동력 부족으로 신규 주택건설 프로젝트가 연기 또는 포기되면서 임대주택 부족이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마디아스모 박사는 “(이민자 유입이 증가하면서) 수요가 증가한 데 반해 공급은 회복되지 않았다”며 “모기지 지불비용이 높아지고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투자자들도 주택 부문에서 손을 떼게 된다”고 말했다.

그녀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이 둔화되는 동안 임대료 상승 속도가 최근의 소비자 물가지수를 넘어서고 있다. 다만 임대료는 더 높아질 수 있지만 조만간 최대치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마디아스모 박사는 “이제 곧 경제성 한도에 도달할 것으로 본다”며 “(높아진 임대료를 감당할 만큼) 소득이 충분하지 않으면 사람들은 기꺼이 더 멀리 주거지를 옮기거나 더 작은 규모 또는 공유 주택을 찾으려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임대주택 수요가 이미 감소하고 있으며 일부 부동산 관리 에이전트들은 임대 매물로 나온 주택이 임대계약에 이르기까지, 소요시간이 더 길어지고 있다고 말한다.

한편 NSW 임차인 지원단체인 ‘Tenants's Union of NSW’에는 임대계약 기간 만료가 가까워진 상황에서 저렴한 비용의 임대주택을 찾을 수 없는 이들의 지원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이 민간기구의 레오 패터슨 로스(Leo Patterson Ross) 최고경영자는 “이는 사람들을 특정 지역사회에서 몰아내는 것이며, 그들에게 큰 고통을 주고 있다”고 우려했다.

 

부동산(임대료 상승 지역 3).jpg

팬데믹 사태 하에서 건축비용 상승, 노동력 부족으로 신규 공급이 크게 줄어든 반면 이민자 유입이 늘어남에 따라 임대주택 수요 또한 빠르게 증가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주택 임대료가 조만간 정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임대주택을 인스펙션하는 세입자들. 사진 : 7 News 화면 캡쳐

   

이어 패터슨 로스 CEO는 “임대료 위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입자를 위한 보다 강력한 보호 규정, 더 많은 주택공급 및 임대료 안정화 조치(ACT의 임대료 인상 제한과 유사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임대료 상승 높은 시드니 교외지역

(Suburb : 주 임대료 요구액 / 연간 상승률)

▲ Units

Eastlakes : $550 / 37.5%

Haymarket : $950 / 35.7%

Eastgardens : $900 / 34.3%

Zetland : $870 / 33.8%

Panania : $700 / 33.3%

Hillsdale : $600 / 33.3%

Rosebery : $800 / 33.3%

St Leonards : $800 / 33.3%

Turrella : $690 / 32.7%

Chippendale : $720 / 30.9%

Burwood : $680 / 30.8%

Mascot : $850 / 30.8%

Lavender Bay : $630 / 30.6%

Hurstville : $600 / 30.4%

Arncliffe : $650 / 30%

Matraville : $650 / 30%

Burwood Heights : $570 / 29.5%

Millers Point : $900 / 29.5%

Wolli Creek : $720 / 28.6%

Darlington : $650 / 27.5%

 

▲ Houses

North Curl Curl : $1675 / 39.6%

Clovelly : $1850 / 37%

Padstow Heights : $750 / 36.4%

Rose Bay : $2000 / 33.3%

Ultimo : $900 / 33.3%

Rosebery : $1148 / 32.7%

South Coogee : $1625 / 30%

Appin : $650 / 30%

Greenfield Park : $593 / 28.8%

Kensington : $1150 / 27.8%

Belmore : $700 / 27.3%

Allambie Heights : $1175 / 26.3%

Collaroy Plateau : $1250 / 26.3%

Kingsford : $1000 / 25%

Zetland : $1150 / 25%

Mascot : $885 / 24.6%

Macquarie Park : $685 / 24.5%

Revesby Heights : $828 / 24.4%

Marsfield : $650 / 24.4%

Rosehill : $620 / 24%

Source: Domain Rent Report, June quarter 2023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임대료 상승 지역 1).jpg (File Size:99.5KB/Download:11)
  2. 부동산(임대료 상승 지역 2).jpg (File Size:33.7KB/Download:11)
  3. 부동산(임대료 상승 지역 3).jpg (File Size:56.5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7 호주 중앙은행 미셸 블록 부총재, 차기 총재 선임... 금리 인하 시작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16 호주 대다수 호주인들, “이민자 유입 너무 많다”... ‘적다’는 이들은 극히 일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15 호주 호주 실업률 다시 하락... RBA, 8월 통화정책 회의서 금리인상 가능성 ↑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314 호주 호주와 뉴질랜드 모두 인플레이션 수치 하락 중... 일부 주요 국가들 비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313 호주 시드니 지역에서의 ‘은밀한’ 코카인 사용량,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수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312 호주 심화되는 이상기후... 시드니 다수 교외지역, 더 많은 ‘tree canopy’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311 호주 ‘파워풀 여권’ 순위... 호주 186개국-한국 189개국 무비자 방문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310 호주 Auction theory... 경매 통한 거래방식이 부동산 시장에 암시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309 호주 스리랑카와 호주의 국가정체성 탐구 소설, 올해 ‘마일즈 프랭클린 문학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308 호주 12년 만에 가장 무더웠던 북반구의 7월, 올 여름 호주의 예상되는 기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307 호주 ‘School zones’ 속도위반 적발 가장 많은 시드니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306 호주 정부 예산, 200달러 흑자 전망되지만... “올해 ‘생활비 경감’ 추가 조치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305 호주 연방정부 최초의 ‘Wellbeing budget’, 호주인들 ‘더 부유하고 장수’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304 호주 ‘주거 스트레스’, 지방 지역으로 확산... 민간단체들, “정부 행동 필요”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303 호주 Year 12 학생들, 대학 입학시 원격 수업보다는 ‘캠퍼스 활기’ 원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302 호주 시드니 주택 시장의 ‘FOMO’ 심리, 3개월 사이 7만 달러 가격 폭등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301 호주 기후변화와 관련된 극한의 날씨, “세계유산 위협하는 공통의 적...”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 호주 올해 6월까지 12개월 사이, 광역시드니의 임대료 최다 상승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299 호주 새로운 계열의 알츠하이머 치료제, 초기 단계 환자에 ‘효과 가능성’ 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298 호주 호주에서 가장 외로움을 느끼는 이들은 누구...? 노년층 아닌 중년의 남성들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