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사무실 빈 책상 1).jpg

호주는 물론 전 세계 기업 사무실의 업무용 데스크 3개 중 1개는 한 주 내내 비어 있다는 새로운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팬데믹 사태 이후 늘어난 재택근무를 보여주는 것이며 또한 사무 공간의 효율적 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사진은 전염병 대유행 이전의 칸막이 업무 공간. 사진 : Pixabay / 12019

 

멜번 기반 센서 제공회사 ‘XY Sense’ 조사... 사용 중인 책상 29%, 하루 3시간 미만

 

최근 한 조사 결과 전 세계 사무실의 업무용 책상 가운데 3분의 1 이상이 일주일 내내 비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염병 대유행 이후 크게 확산된 원격(또는 재택)근무 이후 기업들이 이들 직원을 사무실로 복귀시키고자 애쓰는 가운데, 이번 조사 결과와 관련해 기업들의 이전 사무 공간이 얼마나 잘 설계되어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멜번(Melbourne) 기반의 직장 센서 제공업체 ‘XY Sense’가 내놓은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작업 공간(칸막이 공간 및 업무용 데스크)의 36%는 직원이 전혀 차지하지 않고 있다. 이는 ‘전반적인 공급 과잉’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된 공간의 29%도 실제 활용 시간은 하루 3시간 미만이었다.

이번 조사는 호주, 미국, 영국, 홍콩, 싱가포르 등 9개 지역에서 2만4,855개의 고유한 업무 공간을 추적한 것으로, 전반적으로 하루 5시간 이상 활용한 사무 공간 비율은 14%에 불과했다.

이 같은 결과는 기업 조직이 사무용 공간의 필요성을 평가할 때 직면하는 어려움을 잘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Boston Consulting Group) 조사를 보면 근로자와 관리자 모두 근무시간의 3분의 1 이상을 현장에 있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업무에 참여하는 시간의 대부분은 더 이상 책상에 묶여 있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소규모의 사적 모임을 위한 공간, 개방적인 공동 작업 공간, 개개인이 업무에 집중하도록 방음 장치가 된 밀폐 공간은 이전 시대의 칸막이 공간과 비교했을 때 오늘날 더 중요하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여전히 개별 작업 공간이 80%를 차지하며 공동 작업을 위한 공간은 20%에 불과하다는 게 XY Sense의 설명이다.

XY Sense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인 알렉스 버치(Alex Birch) CEO는 “이제 초라한 책상은 다시 생각해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것(초라한 책상들)이 우리의 사무 공간을 장악하고 있으며, 우리는 팬데믹 사태 이전처럼 그것들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는 그는 “이제 사람들이 대부분의 집중 업무를 집에서 수행하므로 이제 회사에서 공간을 차지하는 인력이 덜 필요하기에 더 나은 업무 경험을 위해 책상 공간을 재배치하거나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종합(사무실 빈 책상 2).jpg

불과 수년 전까지만 해도 기업들은 정적인 칸막이 공간 또는 길게 이어진 업무용 데스크에 직원을 배치했지만 전염병 대유행 이후 다수 기업들의 원격근무 조치로 업무 방식에서 상당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진은 집에서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한 근로자. 사진 : Ninenetwork 방송 화면 캡쳐

 

또 다른 데이터도 점차 사무 공간의 업무 데스크에서 벗어나는 변화를 뒷받침한다. 사무용 가구 제조업체 ‘Haworth’ 조사에 따르면 2020년 이전까지만 해도 기업 조직의 직원 85%가 개인 업무용 데스크를 갖고 있었지만 현재 이를 보유한 직원 비율은 절반 미만이다. 이전에는 기업이 정적인 칸막이 공간 또는 길게 이어진 업무용 데스크에 직원을 배치했지만 전염병 대유행 이후 다수 기업들의 원격근무 조치로 이미 상당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건축 및 실내 디자인 회사 ‘HOK’의 실무 책임자인 케이 사전트(Kay Sargent)씨는 “우리는 너무 오랫동안 사무 공간을 화분에 심는 것처럼 디자인했다”면서 “정말로 직원들을 그런 사무실로 오게 하여 하루 종일 책상 앞에 앉아 있도록 하겠는가? 아니면 직원들이 서로 연결되고 멘토링 되고 상호간 혁신을 모색하도록 격려하고 싶은가?”라고 되물었다.

업무용 데스크의 적은 사용은 고용주들로 하여금 부동산 필요를 재고하게 만든다. 상업용 부동산 서비스 회사 ‘CBRE’의 설문조사를 보면 10개의 대기업 가운데 9개 회사가 낮은 사무 공간 이용률을 보고했으며 절반 이상은 향후 3년여에 걸쳐 업무 공간을 축소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답변이었다.

XY Sense의 최근 데이터는 2023년 1분기와 2분기 사이, 사무용 공간 활용도는 큰 변화가 없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중개회사 JLL(Jones Lang LaSalle Incorporated)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약 100만 명의 사무직 근로자가 올해 연말까지 (재택근무 대신) 사무실로 복귀해야 하는 상황이다. 일부에서는 여전히 사무실에서의 업무를 선호하는 것이다.

건축회사 ‘Hassell’의 대표이자 상업용 부문 디자인 책임자인 도미노 리쉐(Domino Risch)씨는 “오늘날 대부분의 사무 공간에서 볼 수 있는 대규모 개방형 책상 배치를 활용하여 콜센터 환경을 실수로 만들었다는 것을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반적인 지식 기반 기업에서 더 이상 목적에 맞지 않는 개방형 책상 배치가 넘쳐난다”는 것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사무실 빈 책상 1).jpg (File Size:147.4KB/Download:12)
  2. 종합(사무실 빈 책상 2).jpg (File Size:59.6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6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5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4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3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2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1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0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5269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8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7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6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5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4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3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2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1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0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9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8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