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Car theft 1.jpg

NSW 주 전역에 걸쳐 자동차 절도 및 차량 내 침입 범죄가 다시 늘어나고 있다. 경찰은 차량절도 범죄의 대부분을 단순 기회 범죄(opportunistic crime)로 보고 있지만 조직적으로 차량을 절도하는 비율도 적지 않다. 사진 : Unsplash / Erik Mclean

 

Strathfield-The Hills Shire-Ryde-Hornsby-Parramatta 등 차량 도난 50% 증가

NSW 범죄통계조사국 자료... 블랙타운-캔터베리 뱅스타운, 차량절도 연 1천 건 넘어

 

광역시드니를 비롯해 NSW 주 전역에 걸쳐 자동차 절도 및 차량 침입 등 관련 범죄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는 관련 범죄동영상 게시물이 소셜미디어에 더 많이 등장한 것에서 비롯된다는 진단이다.

NSW 범죄통계조사국(NSW Bureau of Crime Statistics and Research. BOCSAR)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 힐스 샤이어(The Hills Shire), 라이드(Ryde), 혼스비(Hornsby), 파라마타(Parramatta)의 차량 도난 비율은 지난 2년 사이 50% 이상 늘어났다. 올해 6월까지의 증가율은 광역시드니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다.

다만 이 지역(region)의 전체 도난된 차량 수는 800대 미만이다. 반면 블랙타운(Blacktown)과 캔터베리 뱅스타운(Canterbury-Bankstown)에서는 한 해 1,200대의 차량이 절도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NSW 주 전역의 차량 도난 평균 증가율은 2023년 6월까지 23%였다. 이는 팬데믹 사태의 제한조치 완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며, “2020년 및 2021년 COVID 대유행 시기의 범죄 감소에서 ‘반등’한 것이 부분적으로 사건 증가에 기인했다”는 게 BOCSAR 재키 피츠제럴드 국장의 설명이다.

NSW 서부 내륙 및 북부 지역(western and northern NSW region)에서도 차량 절도 범죄가 실제로 증가하고 있다. 피츠제럴드 국장은 “틱톡(Tiktok) 등의 플랫폼에서 차량 절도를 조장하는 소셜미디어 게시물 확산이 하나의 요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기아 챌린지’(Kia Challenge)라 하여 차량 보안을 뚫고 절도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소셜미디어 동영상이 늘어나고, 이로 인한 범죄가 증가하면서 집단소송으로 이어져 2억 달러의 합의금이 발생한 일이 있다.

근래 10대 청소년이 연루된 일련의 자동차 충돌사고와 관련해 경찰은 청소년 범죄조직이 남의 집에 무단 침입해 자동차 열쇠를 훔친 뒤 차량을 끌고 나와 수천 달러에 판매하는 범죄 행위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피츠제럴드 국장은 NSW 지방 지역(regional NSW)에서 도난된 차량이 시드니에서 회수될 가능성이 더 높으며, 이는 단순히 절도 행각을 즐기거나 이동을 위한 ‘기회주의적 범죄’(opportunistic crime. 사전 계획 없이 기회가 확인됨에 따라 행동으로 실행된 단순범죄 행각)임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시드니 지역에서 발생하는 자동차 절도는 차량이나 차량의 부품을 뜯어내 판매하려는 목적으로 저지르는 ‘조직적 범죄’일 가능성이 높다.

NSW 경찰은 ‘대부분 젊은층이 저지른 심각한 자산 관련 범죄’를 해결하고자 지난해 11월 ‘몽구스 작전’(Operation Regional Mongoose)을 전개한 바 있으며, 이후 12명 이상을 체포했다.

BOCSAR 자료에 따르면 NSW 지방 지역에서 청소년들에 의한 차량 절도 행각은 지난 5년 사이 179%가 증가했으며 광역시드니에서는 52%가 늘어났다.

하지만 근래의 차량도난 등의 범죄사건 증가는 20여 년 전 시작된 감소추세에 충격을 준다는 분석이다. 피츠제럴드 국장은 “2011년 이전에 제조된 자동차가 최근 모델에 비해 두 배나 더 많이 도난당했다”고 말했다.

 

Photo Cat theft 2.jpg

미국 사회에서 문제가 된 일명 ‘Kia Challenge’(2011년에서 2021년 사이 제조된 기아 차량을 대상으로 절도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 'Tiktok'에 게시하는 일련의 행위) 영상의 한 장면. 사진 : Tiktok

   

그의 설명에 의하면 도난 위험이 가장 높은 자동차는 홀든(Holden), 지프(Jeep), 랜드로버(Land Rover), 아우디(Audi) 사의 브랜드들이었으며, 반면 혼다(Honda), 스츠키(Suzuki) 사의 차량 도난 비율은 낮았다.

지난 5년간의 사건에서 도난율이 가장 크게 증가한 차동차 브랜드는 기아(Kia), 지프, 이스즈(Isuzu), 랜드로버, 폭스바겐(Volkswagen)이다.

NSW 경찰청 대변인은 “대부분 단순 우발적 범죄”(largely opportunistic)라며 거주민들에게 “보안을 강화하고 도난 위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어 여기에는 차량의 문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귀중품은 물론 자동차의 예비 키를 차 안에 두지 놓지 않는 조치가 포함된다.

한편 NRMA 사 대변인에 따르면 차량을 도난당하는 경우 고객의 보험료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다.

 

■ 시드니 지역별 차량 범죄

(Region : 2023년 / 2022년- 건수)

▲ 자동차 절도

Central Coast : 485 / 391

Hawkesbury : 64 / 81

Blacktown : 680 / 573

Penrith : 422 / 337

Blue Mountains : 50 / 35

Parramatta : 431 / 274

Cumberland : 387 / 347

Fairfield : 279 / 196

Canterbury Bankstown : 533 / 420

Liverpool : 414 / 288

Wollondilly : 50 / 40

Camden : 84 / 70

Campbelltown : 274 / 223

Sutherland Shire : 130 / 99

Georges River : 121 / 91

Bayside : 178 / 137

Randwick : 151 / 104

Woollahra : 51 / 56

Sydney : 295 / 197

Inner West : 217 / 161

Burwood : 34 / 34

Strathfield : 68 / 35

Canada Bay : 81 / 80

Ryde : 103 / 63

Hunters Hill : 13 / 12

Lane Cove : 29 / 21

North Sydney : 44 / 24

Mosman : 17 / 14

Willoughby : 41 / 37

Northern Beaches : 172 / 155

Ku-ring-gai : 40 / 47

The Hills SHire : 134 / 70

Hornsby : 63 / 39

 

▲ 차량 내 물품 절도

Central Coast : 1137 / 1169

Hawkesbury : 145 / 98

Blacktown : 1609 / 1444

Penrith : 1094 / 877

Blue Mountains : 127 / 113

Parramatta : 1029 / 932

Cumberland : 925 / 818

Fairfield : 591 / 476

Canterbury Bankstown : 1100 / 970

Liverpool : 952 / 786

Wollondilly : 80 / 52

Camden : 252 / 221

Campbelltown : 533 / 673

Sutherland Shire : 307 / 339

Georges River : 232 / 272

Bayside : 406 / 346

Randwick : 398 / 353

Woollahra : 98 / 86

Sydney : 748 / 607

Inner West : 511 / 475

Burwood : 116 / 101

Strathfield : 199 / 166

Canada Bay : 177 / 191

Ryde : 271 / 179

Hunters Hill : 36 / 23

Lane Cove : 68 / 63

North Sydney : 137 / 96

Mosman : 52 / 55

Willoughby : 134 / 136

Northern Beaches : 401 / 466

Ku-ring-gai : 144 / 142

The Hills SHire : 281 / 220

Hornsby : 219 / 128

Source: BOCSAR

 

■ NSW 연도별 차량 범죄

(회계연도 말 기준. 연도 : 자동차 절도 / 차량 내 물품 절도)

2001 : 54,485 / 90,154

2002 : 48,464 / 86,363

2003 : 37,128 / 70,903

2004 : 33,921 / 61,294

2005 : 31,045 / 57,669

2006 : 28,601 / 56,000

2007 : 27,048 / 59,203

2008 : 25,725 / 62,555

2009 : 22,916 / 50,770

2010 : 21,806 / 45,886

2011 : 19,662 / 45,917

2012 : 19,045 / 48,425

2013 : 16,953 / 45,563

2014 : 15,047 / 43,213

2015 : 15,085 / 42,277

2016 : 13,201 / 39,838

2017 : 13,413 / 40,085

2018 : 12,963 / 38,377

2019 : 13,284 / 38,118

2020 : 12,616 / 35,518

2021 : 11,547 / 28,737

2022 : 10.718 / 26,363

2023 : 13,183 / 28,140

Source: BOCSAR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Photo Car theft 1.jpg (File Size:71.2KB/Download:18)
  2. Photo Cat theft 2.jpg (File Size:33.4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6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5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4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3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2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1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0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5269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8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7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6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5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4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3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2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1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0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9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8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