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R housing 1.jpg

주택부족 심화와 임대위기 상황에서 특정 개발업체가 소유, 관리하는 임대용 다세대 주택(build-to-rent)이 하나의 해결 방안으로 점차 탄력을 받고 있다. 이 같은 주택 모델은 미국, 영국에서 상당히 폭넓게 운용되는 방식이다. 사진 : Brookings Institution

 

BTR 주택, 임대문제 해결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 영국-미국 등에서는 흔한 형태

임차인 거주 안정성 제공하나 ‘저렴한 임대료’ 보장 어려워, ‘정부 지원 필요’ 의견도

 

치솟은 주택가격으로 대다수 사람들에게 구입 능력이 하락하는 가운데 임대주택마저 부족, ‘주택위기’가 계속되고 있다. 높아진 주거비용으로 이제 ‘임대위기’라는 말은 더 이상 새롭게 다가오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대단위 임대부동산인 ‘build-to-rent(BTR) 주택’이 하나의 해결 방안으로 점차 주목받고 있다.

또한 대도시 각 교외지역으로 이 같은 BTR 주택 건설이 확산되고 있다. 컨설팅 사인 EY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60개 이상의 BTR 주택 프로젝트가 계획되었거나 실행(건축) 중이며, 거의 2만 채 신규 주택이 공급되고 있다.

 

BTR 주택은 무엇이며,

작동 방식은...

 

‘build-to-rent’ 주택은 임대용 다세대 단일 건물을 보유하는 경우이다. 수익을 위해 각 아파트를 판매할 목적으로 다세대 주택을 건축하는 대신 개발자와 투자자는 소유권을 유지하고 임차인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소유자는 사실상 임차인이 거주하는 다세대 주택 건물의 주인이 되며 임대 및 유지관리에 대한 책임을 갖는다.

BTR 주택은 미국이나 영국 등의 국가에서는 상대적으로 흔하지만 근래 ‘임대위기’와 함께 호주에서도 점차 탄력을 받고 있다.

영국 기반의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회사로 전 세계 80개 국가에서 운영되는 ‘Jones Lang LaSalle Incorporated Australia’(JLL) 조사를 보면 올해 이전까지 호주 전역의 임대형 아파트는 4,486채에 불과했으며, 지난해에만 약 2천 채의 다세대 임대주택이 건설됐다. 하지만 이 수치는 내년도,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BTR housing 2.jpg

현재 호주 전역의 BTR 주택 상황을 보여주는 그래프. Source: JLL Research Australia’s build-to-rent sector

   

이 모델을 옹호하는 이들은 BTR 주택이, 일반 임대주택에서 종종 6개월 또는 12개월 임대계약을 맺고 해당 주거지에 제대로 뿌리를 내릴 수 없는 임차인들에게 장기적인 거주 안정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한다.

 

“BTR 주택, 임대료가

늘 저렴한 것은 아니다”

 

BTR 주택은 원칙적으로 임차인에게 주거지에 대한 확실성과 거주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임대료가 저렴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호주에서 운용되는 기존 프로젝트 대부분은 중간 이상 소득계층을 대상으로 하며, 임대료는 부동산 시장 임대 요율 이상으로 책정되었다.

도시 주거문제연구소인 ‘Australian Housing and Urban Research Institute’(AHURI)를 이끄는 마이클 포더링엄(Michael Fotheringham) 박사는 BTR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이들이 추가 혜택 때문에 종종 프리미엄 비용(비싼 임대료)을 지불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임대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장기 임대 또는 무기한 임대를 보장받는 경향이 있다”면서 “보안 서비스, 프리미엄 스포츠 시설 등이 제공되며 대부분 거의 고급 아파트 수준에 가까운 서비스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점에서 포더링엄 박사는 BTR 임대주택 프로젝트 개발업자들에게 저렴한 주택을 통합하도록 장려하려면 정부 보조금이 필요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BTR housing 3.jpg

올해 들어 호주 각 도시별로 BTR 주택 건설이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브리즈번(Brisbane, Queensland) 외곽 교외지역 뉴스테드(Newstead)에 계획된 BTR 주택 가상도. 사진 : Queensland government

   

주거위기 해결에 도움 될까...

 

대부분의 부동산 시장 관계자, 전문가들은 새로운 BTR 임대주택 건설이 ‘주택위기’를 완화하는 데 어느 정도 역할을 할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다만 이 같은 주택 건설이 현재의 주택부족 문제에 있어 실질적인 구제책을 제공할 것인지 여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는 의견이다.

호주 도시개발연구소 NSW 지회인 ‘Urban Development Institute of Australia NSW’의 스티브 만(Steve Mann) 최고경영자는 이것(BTR 주택)이 미래 주택 구성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정부가 임차인을 위한 옵션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면서 지원을 미루는 것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연방정부는 BTR 임대주택 개발을 위한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하고자 세금감면 정책을 도입했으며 NSW 및 빅토리아(Victoria) 등의 주 정부에서는 토지세 50%를 감연해주고 있다.

지난 9월 NSW 주 정부가 내놓은 올해 예산에는 특히 NSW에서 심각한 주택 부족을 겪고 있는 노던 리버스(Northern Rivers)와 일라와라-숄 헤이븐 지역(Illawarra-Shoalhaven region)에 시범적 BTR 임대주택 프로젝트를 위해 6,000만 달러가 배정되기도 했다.

포더링엄 박사는 이전 연방정부(자유-국민당 연립)에서는 BTR 임대주택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았기에 이 부분에서 호주는 다른 국가에 비해 뒤처져 있다고 지적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BTR housing 1.jpg (File Size:113.0KB/Download:12)
  2. BTR housing 2.jpg (File Size:31.6KB/Download:16)
  3. BTR housing 3.jpg (File Size:101.5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17 호주 NSW 스토너 부수상, “한인 사업자 지원에 최선 다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6 호주 한국문화원, QLD 광산도시서 한국문화 선보여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5 호주 “한국 주류매체, 평통 호주협의회 활동상 조명”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4 호주 2014 브라질 월드컵 새벽 4시 개막식, 6시 개막전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3 호주 C20 정상회담, 20-21일 멜번대학에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2 호주 킹스크로스 유흥업소들, 오늘(13일)부터 ID 스캔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1 호주 연방 정부, 휴면 계좌 3억6천만 달러 정부로 귀속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0 호주 NSW 주 정부, 전력망의 49% 민간에 임대 호주한국신문 14.06.12.
5109 호주 NSW 교통부장관, “시드니 고속철도 건설, 3년 내 착수” 호주한국신문 14.06.12.
5108 호주 ‘Y 세대’ 수요증가로 시드니 지역 아파트 건설 붐 호주한국신문 14.06.12.
5107 호주 한인회, 일본 및 중국정원 탐방 호주한국신문 14.06.12.
5106 호주 지난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5.6%, 다소 낮아져 호주한국신문 14.06.20.
5105 호주 한국현대미술전, 카나본 골프클럽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6.20.
5104 호주 NSW 주 고교연합, 세월호 피해자 ‘위로 메시지 북’ 제작 호주한국신문 14.06.20.
5103 호주 ‘행복을 전하는 한국민화’, 이번엔 어번 시에서 호주한국신문 14.06.20.
5102 호주 텔스트라(Telstra), ‘홈 번들-글로벌’ 상품 출시 호주한국신문 14.06.20.
5101 호주 “전 세계 시민단체와 논의, ‘G20’ 의제 결정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20.
5100 호주 신종 마약 ‘스냅챗’ 복용으로 병원 치료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9 호주 시드니 이너 시티 및 다윈, 실업률 가장 낮아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8 호주 온라인 데이트 사기, “돈 잃고 마음 다치고...” 호주한국신문 1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