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C 2023 Top 1.jpg

올해 HSC 시험에서 ‘Success Rate’(해당 학교의 우수 성적자 수를 해당 학교 HSC 응시 학생 총 수로 나눈 백분율)를 기준으로 최고 성적을 거둔 학교는 North Sydney Boys High School였다. 지난 27년 동안 1위 자리를 이어온 James Ruse Agricultural High School은 한 계단 하락했다. 사진 : Danthonia Design

 

27년간 ‘군림’하던 ‘James Ruse High’ 제쳐... 사립학교, 상위 10개 학교 중 절반

 

James Ruse Agricultural High School은 모두가 인정하는 NSW 최고 성적의 학교로, 매년 HSC(Higher School Certificate) 평가에서 27년간 부동의 1위를 이어왔다.

하지만 올해, 그 아성이 깨졌다. 노스 시드니에 자리한 North Sydney Boys High School이 2023 HSC 시험 평가 결과 처음으로 NSW 주 전체 성적 순위에서 1위에 오른 것이다.

지난 12월 15일(금)부터 각 학생들에게 개별적으로 HSC 성적이 통보되기 시작한 가운데 전체 학교성적 순위에서 셀렉티브 스쿨(selective school)은 상위 성적 10개 학교 중 4개 학교, 사립학교는 절반을 차지했다. 사립학교의 상위 10위권 점유율은 지난 10여 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이다.

North Sydney Boys High의 성과는 HSC 과목 중 ‘advanced English’와 ‘extension English’ 및 Maths 부문에서의 결과가 두드러져 James Ruse High를 앞선 것으로 분석된다. 이 학교의 ‘Success Rate’(band 6-90점에서 100점 사이-을 얻은 최고 성적자 수를 해당 학교 HSC 응시 학생 총 수로 나눈 백분율)는 지난해 62.84%에서 올해는 69.01%로 높아졌다.

각 학교의 HSC 성적 분석 결과 James Ruse High는 27년 만에 2위로 내려앉았으며, 3위와 4위는 지난해와 동일하게 Baulkham Hills High School과 North Sydney Girls High School이 차지했다.

이어 시드니 동부, 노스 본다이(North Bindi)에 자리한 사립학교 Reddam House가 5위에, 키리빌리(Kirribilli)에 있는 셀렉티브 스쿨로 지난해 15위를 기록했던 St Aloysius College가 9계단 오른 6위에 랭크됐다. 지난해 6위에 있던 Sydney Grammar School) 올해 1계단 하락했으며, Normanhurst Boys High와 SCEGGS Darlinghurst, Abbotsleigh 순이었다.

 

HSC 2023 Top 2.jpg

지난 2016년에서 2023년 사이, 상위 20개 학교의 순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Source: NSW Education Standards Authority

   

학업 성적에서 최강을 보여온 칼링포드(Carlingford) 소재 James Ruse High는 1996년 Sydney Grammar를 제치고 처음으로 1위에 오른 이후 27년간 유지해오다 올해 North Sydney Boys High에 밀렸다.

이 학교의 브라이언 퍼거슨(Brian Ferguson) 교장은 졸업을 앞둔 12학년 학생들과 함께 체육관에 모여 있다가 뉴스를 통해 종합성적 1위를 차지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이를 알게 된 학생들 모두가 환호했다”고 말했다.

올해 HSC에서 두드러진 성적 향상을 기록한 학교는 Northern Beaches Secondary College Balgowlah Boys Campus로, 지난해에 비해 거의 40계단 상승한 54위를 기록했다. Willoughby Girls High School은 10계단이 오른 56위를, Killara High School 또한 크게 향상된 성과를 보였다.

특히 Moss Vale High School은 200계단이 상승(NSW 주 125위)해 관계자들을 놀라게 했으며 Blacktown Girls, Pennant Hills High, Parkes High, Menai High School도 70계단 이상 순위 상승을 보였다.

가톨릭 재단 가운데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낸 학교는 랜드윅(Randwick)에 자리한 Brigidine College로, Scots College보다 나은 50위의 성적을 만들어냈으며, 호주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중 하나인 Parramatta Marist는 전체 68위로, 가톨릭 재단 학교 중에는 두 번째에 자리했다.

올해 성적 상위 150개 학교는 가장 특권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주로 재학한 곳이었다. 상위 300개 학교 중 68개 학교는 공립이었으며 15개 학교는 ‘partially selective school’(특정 능력이나 적성을 바탕으로 특정 수의 학생을 입학시키는 학교. 예를 들어, 스포츠에서 탁월한 능력을 입증할 수 있는 학생을 위해 7학년에 25%, 학문적 잠재력이 뛰어난 어린이를 위해 15%를 받아들이는 부분 셀렉티브 학교를 말한다), 20개 학교는 ‘fully selective school’, 사립학교가 132개, 가톨릭 학교 64개였다.

올해 27년 만에 ‘최고’ 자리를 내준 James Ruse High의 레이첼 파월(Rachel Powell) 교장은 “(그럼에도) 과목별 최고 성적 학생이 늘어나는 등 좋은 성과를 얻었다”면서 “우리 학생들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파월 교장은 “North Sydney Boys High가 2023년 최고 성적 타이틀을 갖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퍼거슨 교장에게 축하의 인사를 전했다”고 덧붙였다.

 

HSC 2023 Top 3.jpg

지난 2016년에서 2023년 사이, 상위 20개 공립학교(public school) 순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Source: NSW Education Standards Authority

   

올해 월등한 성적 향상을 기록한 또 하나의 학교는 그린에이커(Greenacre)에 자리한 Al Noori Muslim School로, 셀렉티브 스쿨인 이 학교는 2016년 100위 수준이었으나 이후 꾸준히 향상, 올해에는 16위에 올랐다.

상위 250개 학교를 보면, ‘Success Rate’는 지난해에 비해 평균 약 1.2% 높아졌다. 가톨릭 재단 학교의 경우 1.4%가 향상됐으며 셀렉티브 여자 학교는 소폭 하락했고, 사립 여자 학교는 비슷한 성적을 유지했다. 특히 가톨릭 재단 남자 학교는 평균 2.7%, 셀렉티브 스쿨은 2%, 사립 남자학교는 3.6 향상된 성과를 기록했다. 아울러 partially selective school은 평균 1.5%의 나아진 성적을 거두었다.

한편 올해 10개 이상의 과목에서 최고 점수인 ‘band 6’(90에서 100점 사이)을 얻은 학생은 1,420명이었다. 전체 학교 성적 최상위인 North Sydney Boys와 James Ruse High에서는 각 66명의 학생이 이(10개 과목 이상, band 6)를 달성했다. 이 목록에서 50명 이상 학생을 낸 학교는 Sydney Grammar, Knox Grammar, Baulkham Hills High School이 있다.

 

HSC 2023 Top 4.jpg

지난 2016년에서 2023년 사이, 상위 20개 사립학교(private school) 순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Source: NSW Education Standards Authority

   

■ Success Rate 상위 10개 학교

(학교 : High Scores / 전체 학생 수 / HSC 학생 / Success Rate)

1 North Sydney Boys High School : 659 / 955 / 158 / 69.01%

2 James Ruse Agricultural High School : 598 / 996 / 158 / 60.04%

3 Baulkham Hills High School : 675 / 1210 / 200 / 55.79%

4 North Sydney Girls High School : 497 / 909 / 153 / 54.68%

5 Reddam House : 371 / 684 / 122 / 54.24%

6 St Aloysius' College : 498 / 948 / 157 / 52.53%

7 Sydney Grammar School : 618 / 1181 / 187 / 52.33%

8 Normanhurst Boys High School : 365 / 786 / 134 / 46.44%

9 SCEGGS Darlinghurst : 307 / 662 / 110 / 46.37%

10 Abbotsleigh : 499 / 1093 / 179 / 45.65%

Source: NSW Education Standard Authority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HSC 2023 Top 1.jpg (File Size:138.9KB/Download:10)
  2. HSC 2023 Top 2.jpg (File Size:145.2KB/Download:7)
  3. HSC 2023 Top 3.jpg (File Size:140.9KB/Download:8)
  4. HSC 2023 Top 4.jpg (File Size:141.2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알바니스 총리, 차기 호주 총독에 법조인 겸 사업가 사만타 모스틴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6 호주 NSW 운전자 대상, 도로 통행료 환급신청 접수 시작... 클레임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5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 계획에서 가계 재정부담 완화 방안 제시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4 호주 유닛을 구입하고 투자 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주요 도시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3 호주 새로 적용된 학생비자 입안자, ‘노동당 정부의 대학 단속’으로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2 호주 심각한 주택부족 상황 불구, 시드니 지역 ‘빈 집’ 2만 가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1 호주 시드니 전역 유명 사립학교 학부모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0 호주 ‘Hambledon Cottage’ 200년 주년... 파라마타 시, 관련 기념행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9 호주 ‘주택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어려움, ‘baby boomers의 고령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8 호주 파라마타 시, ‘Arthur Phillip Park’ 재개장 기해 야외 영화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7 호주 계속된 생활비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 저축액 1천 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6 호주 Express. Empower. Get Loud!... CB City, ‘청년주간’ 행사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5 호주 팬데믹 이후 호주 인구 ‘급증’ 속, 가장 큰 영향 받는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4 호주 투자 부문의 최고 ‘인플루언서’, “고령화 위기 대비하려면 호주 본받아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3 호주 주택을 구입할 때 침실 하나를 추가하려면 얼마의 급여가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2 호주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적 확산 추세 따라 해당 비자 제공 국가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1 호주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대학원 과정은 ‘건강’ 및 관련 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0 호주 늘어나는 신용카드 사기... 지난해 호주인 손실, 22억 달러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9 호주 월별 CPI 지표, 3개월 연속 3.4% 기록... “하향 추세 판단, 아직 이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8 호주 주택시장, ‘인상적 성장세’ 지속... 1년 사이 중간가격 6만3,000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