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네빌 랜).jpg

70-80년대 NSW 노동당을 이끌며 노동당 역사에 최고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던 네빌 랜(Neville Wran) 전 수상이 지난 일요일(20일) 오후 6시 타계했다. 사진은 수상재임 시절의 랜 전 수상.


20일(일) 오후 6시, 향년 87세... 2년간 치매 앓아


정치 시련기 “발메인 소년은 울지 않는다” 명언 남겨



지난 1970년대와 80년대 NSW 주 수상을 지냈던 노동당의 우상 네빌 랜(Neville Wran) 전 수상이 지난 일요일(20일) 오후 6시 별세했다. 향년 87세.


지난 2년간 치매로 특별 치료를 받아오던 랜 전 수상은 이날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숨을 거두었다.


이날 랜 전 수상의 부인인 질 힉슨(Jill Hickson) 여사는 랜 전 수상의 사망을 발표하는 성명에서 “우리 모두에게 슬픈 시간”이라며 “하지만 네빌에게는 축복의 시간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힉슨 여사는 이어 “치매는 잔인한 운명이고 나는 지난 몇 년 동안 그로 인한 손실을 비통해 했다”면서 “하지만 나는 지금 정치 풍토에서 사람들이 정치적 영웅이었던 위대한 한 인사의 죽음을 애도하는 데 함께 해 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1976년 5월부터 1986년 7월까지 주 수상직을 맡았던 랜 전 수상은 재임 시절 로또 도입, 지방정부에 대한 ‘rate-pegging’,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불시 알코올 호흡 테스트, 환경법원, ‘consenting adult’(법적으로 성 관계 동의 결정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연령의 성인)의 동성애 법안 등을 도입했다.


또한 재임 시절 현재의 달링하버 재개발에 착수하고 시드니 엔터테인먼트 센터(Sydney Entertainment Centre)를 건설했으며, 특히 그의 업적 가운데 가장 자랑할 만한 것으로는 국립공원을 지정한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


애보트(Tony Abbott) 연방 수상은 랜 전 수상의 사망 소식을 접한 뒤 월요일(21일) 아침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인사 중 하나”라고 지칭하면서 NSW 주는 물론 호주에서 큰 족적을 남긴 사람“이라고 평했다.


며칠 전 사임한 오파렐(Barry O'Farrell)의 뒤를 이어 수상직을 맡은 마이크 배어드(Mike Baird) 현 주 수상 역시 “랜 전 수상의 사망 소식을 듣고 깊은 슬픔을 느낀다”고 밝혔다. 배어드 수상은 “70-80년대 랜 전 수상은 NSW 노동당에서 빼어난 인물이었다”며 “그의 업적은 긍정적이었으며 영원히 남을 것”이라고 애도했다.


랜 전 수상의 뒤를 이어 수상에 오른 봅 카(Bob Carr) 전 수상 또한 “그를 통해 많은 것을 배웠다”며 “우리는 그의 지도력, 재담, 앞을 보는 전망 등을 통해 정치능력을 키웠다”고 말했다.


카 전 수상은 이어 “랜 전 수상은 그 자신의 재임 시절 가장 큰 업적으로 80년대 초 열대우림을 보호한 것이라는 말을 했었다”고 회상하면서 “이는 다른 주 노동당 정부의 환경문체 처리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나 역시 그렇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노동당의 빌 쇼(Bill Shorten) 대표 또한 “호주 노동당은 거인을 잃었다”고 애도했다. 쇼튼 대표는 애도 성명에서 “랜 전 수상만큰 참신하고 존경할 만한 이는 몇 안 될 것”이라며 “그는 정치에서 NSW 주 최고 자리에 올랐지만 그는 항상 겸손한 초심을 잊은 적이 없는 사람”이라고 밝혔다.


랜 전 수상은 70년대 말에서 80년대 초, NSW 정치사에 큰 획을 그은 인물로 평가된다. 발메인(Balmain)의 노동자 가정에서 자란 랜 전 수상은 자기 노력으로 법정 변호사로서 화려한 경력을 쌓아 ‘Nifty’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1970년 43세의 나이에 상원 의원으로 지명돼 정치에 발을 디딘 그는 3년 뒤 시드니 서부 바스 힐(Bass Hill)에서 하원 의원으로 당선, 본격적인 의정 활동을 시작했다.


1976년 정치적 지지도가 낮아져 벼랑 끝에 몰린 NSW 주 노동당 대표직을 맡은 그는 2년 뒤 선거에서 거의 58%에 가까운 지지도를 얻어 노동당 부활의 신호탄을 쏘았다.


3년 뒤인 1981년 선거에서도 그는 다시 자유-국민 연합을 크게 눌러 승리했으며 개인 지지도에서도 월등한 인기를 확보, 차기 연방 수상(Prime Minister)으로까지 언급되기도 했다.


수상재임 시정, 그의 정부는 80년대의 첫 번째 공무원 파업, 끊임없는 경찰, 사법부, 정부의 부정 의혹을 견뎌야 했다. 이런 의혹은 ABC 방송의 시사 프로그램 ‘Four Conners’가 랜 전 수상이 법정 판결에 개입하려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NSW 노동당의 최대 위기였다.


이때 랜 전 수상은 NSW 노동당 전체 회의에서 “발메인의 소년은 울지 않는다”는 유명한 말을 남긴다. 그러면서 그는 “당신이 핀으로 우리를 찌르면 우리 역시 다른 이들과 똑같이 피를 흘리게 된다”고 덧붙였다. 부정 의혹에 대해 떳떳하다는 자신감에서 나온 말이었다.


결국 왕립위원회(Royal Commission)는 랜 전 수상에 대해 ‘혐의 없음’을 판결했지만 그와 언론과의 관계는 최악의 상황으로 악화돼 있었다.


이어진 1984년 선거에서 또 다시 자유당을 눌렀지만 노동당 지지도는 이전 선거 때보다 크게 낮아져 있었다.


비록 선거에서의 지지도가 낮아지기는 했지만 13년간의 NSW 노동당 대표로 한 번도 선거에서 패한 적이 없고 또 보궐선거에서도 진 적이 없는 랜 전 수상은 1986년 갑작스레 사임을 발표, 그의 지지자들을 충격에 빠뜨리기도 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17 호주 시드니 제2공항 인근 Leppington, 2018년 이후 주택가격 ‘최다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6 호주 지난해 11월 이후의 기준금리, 이달 셋째 주에 변동여부 확인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5 호주 주택부족-임대위기 지속되자 ‘투자용’ 부동산 구입자들, 다시 시장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4 호주 올해 ‘Melbourne Art Fair’, 경기침체 따른 예술품 시장 영향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3 호주 공립학교 학부모 연 평균 부담금 357달러, 사립은 평균 1만3,000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2 호주 올해 ‘Stella Prize’ 후보에 작가 캐서린 바본-케이트 밀덴홀 등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1 호주 올 1월 인플레이션, 대다수 경제학자들 반등 기대치보다 낮게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0 호주 호주 전 산업 부문에서 성별 임금격차 ‘뚜렷’... 해결 위한 조치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09 호주 NSW 주 집권 노동당의 유권자 지지도, 정부 구성 1년 만에 야당에 ‘역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08 호주 호주의 에어비앤비 숙소, ‘주택부족’ 문제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07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자궁내막증 치료 위한 신약 ‘승인’... 13년 만의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06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안 이후 ‘HECS 상환액 계산방식 변경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205 호주 호주 실질임금, 거의 3년 만에 처음으로 상승... 인플레이션 수치 앞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204 호주 “120만 채 주택건설? 연방정부, 주-테러토리에 대대적 조치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203 호주 NSW-빅토리아 주 소재 5개 사립학교, 학교 시설에 ‘막대한 자금’ 투자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202 호주 “첫 주택구입자들, 뒷마당 있는 단독주택 구입 더욱 어려워졌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201 호주 학생비자 승인 급락, “정부가 ‘교육 목적지로서의 명성’ 위험에 빠뜨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200 호주 호주 어린이 3분의 1, “학교에서 ‘능숙한 읽기’ 배우지 못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199 호주 Political leadership... 연립 야당, 2022년 선거 이후 처음으로 노동당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198 호주 각 대학들, ‘캠퍼스 내 성폭력 방지’ 계획으로 ‘국가적 행동강령’ 적용 받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