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탁구대회).JPG

올해로 5회를 맞는 ‘이에리사배 한인탁구대회’가 ‘세월호 참사’ 애도 분위기 속에서 차분하게 진행됐다. 이날 선수들은 검은 리본을 부착하고 경기에 임했으며 희생자 애도를 위한 분향소, 유족을 위한 성금 모금함 등이 마련되기도 했다.


이 에리사배 한인탁구대회... 선수들, 검은 리본 부착



한국의 탁구 강국을 이끌었던 이 에리사 의원(새누리당)의 이름을 건 ‘이에리사배 한인탁구대회’가 지난 주 토요일(26일) 라이드(Ryde) 소재 ‘ELS Hall Park’에서 성료됐다.


지난 2010년 시작돼 올해로 5회를 맞는 이번 대회는 지난 70년대 사라예보의 신화를 만들어 낸 한국의 탁구 영웅 이 에리사 의원의 이름을 건 대회로, 재외 한인사회에서는 최초이며, 2년 전 미국 동포사회가 호주에 이어 해외에서는 두 번째로 ‘이에리사 배’ 대회를 개최했다.


‘사라예보 신화’는 1973년 4월, 유고슬라비아(연방 해체 이전) 사라예보에서 열린 제32회 세계탁구선수권 대회에서 이 에리사 선수 등이 주축이 된 여자팀이 일본과 중국 등 강호들을 차례로 물리치고 여자 단체전 우승을 차지한 것으로, 대한민국 스포츠 사상 최초로 구기 종목에서 세계 정상에 오르는 쾌거를 달성한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올해 대회는 한국의 ‘세월호 참사’로 인해 지난해와 달리 환영의 밤 행사를 취소하는 등 대회의 규모를 축소, 희생자 애도 분위기 속에서 대회가 진행됐으며 이 에리사 의원 역시 이번 참사로 인해 대회에 참석하지 못했다.


이 의원은 서면을 통해 “고국으로부터의 비보에 마음이 바쁘셨을 텐데도 불구, 어려운 여건 속에서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주최 측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이에리사배 탁구대회’가 교민사회의 단합을 더욱 확고히 다지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대회를 빛내주신 모든 호주 교민여러분께 다시 한 번 감사를 드린다”고 전했다.


이날 대회장에는 세월호 참사 유가족을 돕기 위한 성금 모금함이 비치되어 선수 및 가족들의 성금과 탁구협회 라플 수익금 일부가 모금되어 한인회에 전달됐다. 또한 시드니한인회에서 분향소를 마련, 희생자를 애도하는 공간을 마련했으며 모든 선수들은 검은 리본을 부착하고 경기에 임했다.


올해 대회에는 ‘한국 대학 동아리 탁구연맹’ 김태훈 회장을 비롯해 박 태순, 박대성, 윤홍균, 이수현 선수가 직접 대회에 참가, 호주 주니어 선수들과 한 팀이 되어 경기를 갖는 등 교류를 나누기도 했다.


올해 A단식 결승에는 재호주한인탁구회관 관장인 우상훈 선수와 과거 시드니 한인탁구 챔피언이었던 금동재 선수가 맞붙었다. 우상훈 선수는 첫 세트를 내주었지만 이후 연달아 2세트를 이김으로써 우승을 차지했다.


OPEN 단식에서는 한국 대학챔피언 윤홍균 선수가 현 호주 여자탁구 국가대표 미쉘(Michelle) 선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어 우승을 차지했다. 윤 선수는 수준이 다른 공, 수, 서비스 기량을 선보이며 많은 관중들의 환호를 받았다.


이번 대회는 당초 예상을 초과하는 호응 및 참가로 인해 일부 경기가 다음날로 연기되는가 하면 일부 선수들이 사정상 차석하지 못하는 등 몇 가지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17 호주 시드니 제2공항 인근 Leppington, 2018년 이후 주택가격 ‘최다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6 호주 지난해 11월 이후의 기준금리, 이달 셋째 주에 변동여부 확인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5 호주 주택부족-임대위기 지속되자 ‘투자용’ 부동산 구입자들, 다시 시장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4 호주 올해 ‘Melbourne Art Fair’, 경기침체 따른 예술품 시장 영향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3 호주 공립학교 학부모 연 평균 부담금 357달러, 사립은 평균 1만3,000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2 호주 올해 ‘Stella Prize’ 후보에 작가 캐서린 바본-케이트 밀덴홀 등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1 호주 올 1월 인플레이션, 대다수 경제학자들 반등 기대치보다 낮게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10 호주 호주 전 산업 부문에서 성별 임금격차 ‘뚜렷’... 해결 위한 조치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09 호주 NSW 주 집권 노동당의 유권자 지지도, 정부 구성 1년 만에 야당에 ‘역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08 호주 호주의 에어비앤비 숙소, ‘주택부족’ 문제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07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자궁내막증 치료 위한 신약 ‘승인’... 13년 만의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5206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안 이후 ‘HECS 상환액 계산방식 변경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205 호주 호주 실질임금, 거의 3년 만에 처음으로 상승... 인플레이션 수치 앞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204 호주 “120만 채 주택건설? 연방정부, 주-테러토리에 대대적 조치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203 호주 NSW-빅토리아 주 소재 5개 사립학교, 학교 시설에 ‘막대한 자금’ 투자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202 호주 “첫 주택구입자들, 뒷마당 있는 단독주택 구입 더욱 어려워졌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201 호주 학생비자 승인 급락, “정부가 ‘교육 목적지로서의 명성’ 위험에 빠뜨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200 호주 호주 어린이 3분의 1, “학교에서 ‘능숙한 읽기’ 배우지 못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199 호주 Political leadership... 연립 야당, 2022년 선거 이후 처음으로 노동당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5198 호주 각 대학들, ‘캠퍼스 내 성폭력 방지’ 계획으로 ‘국가적 행동강령’ 적용 받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