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평통).jpg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호주협의회(회장 이숙진) 사상 처음으로 서부 호주 퍼스(Perth)에서 열린 제2차 통일문화교실 특별 강연회를 가진 평통 호주협의회 임원들이 초청 강사인 김봉현 대사와 자리를 함께 하고 있다.


호주협의회, 퍼스(Perth)서 김봉현 대사 초청 통일 강연회 개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호주협의회(회장 이숙진)는 지난 주 토요일(3일) 서부 호주 주 퍼스 시내의 프레이저 스위트 호텔에서 김봉현 주호주 한국대사를 초청, ‘한반도 정세와 우리의 통일정책: 드레스덴 선언’이라는 주제로 제2차 통일문화교실 특별 강연회를 가졌다.

 

민주평통 창설 33년 만에 처음으로 서부 호주 주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호주협의회의 임원진과 서부 호주 주 전현직 위원, 서부호주 주 한인회장을 비롯해 주요 단체장 및 지상사 관계자 80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 참석자들은 한국 세월호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는 노란색 리본을 부착하기도 했다.

강연에 앞서 평통 호주협의회 이숙진 회장은 “세월호 참사로 인해 고국이 침통해 하고 온 국민이 애통해 하고 있지만, 이럴 때일수록 평통위원을 비롯한 해외동포사회는 고국을 향한 애국심을 더욱 다지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경과보고를 맡은 박병태 감사는 협의회의 출범식에서 통일문화교실 행사에 이르기까지 호주협의회의 활동사항을 담은 VTR를 소개한 후 “오는 5월20일부터 북한인권주간 행사를 통해 영화 ‘신이 보낸 사람’ 상영회와 UN 북한인권조사위원장인 마이클 커비 전 연방대법관 초청 특별 강연회, 북한인권전시회 등의 행사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특강을 맡은 김봉현 대사는 강연 주제에 앞서 “세월호 침몰사고에 대해 고국의 고위 공무원의 한 사람으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죄송스럽기만 하다”면서 “공직 사회 전체가 각성하고 국민들의 감시 비판 기능이 강화되면서 더욱 좋은 제도가 정착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김 대사는 “국가를 새롭게 개조해야 한다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이며, 구체적인 대책과 종합적인 국가 계획을 수립한 후 대 국민 사과를 계획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김 대사는 특히 “이런 과정을 통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동북아 평화협력구축의 목표를 근간으로 하는 고국정부의 통일정책도 국민적 공감대와 지지 확대를 더욱 추구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 대사는 또 북한의 현 정세와 한반도 주변 상황에 대한 연역적 분석을 통해 북한의 4차 핵 실험 여부와 추가 도발 가능성을 진단했다.

 

그는 한반도 주변 상황과 관련 “►한미관계: 동맹▪핵심 ►한중관계: 경열정냉(경제는 뜨겁고 정치는 냉랭) ►한일관계: 긴장 ►한러관계: 안정적 ►북한-중국: 순망치한 ►한호관계: 정치와 경제 모두 긴밀한 협력관계”로 분석했다.

 

김 대사는 특히 “한국과 호주의 상호 동반자적 관계(partnership)는 향후 국제 외교 무대에서 지도적 역할로 발전될 것으로 국제사회가 공감하고 있다”는 사실을 부각시켰다.

 

한편 사회 일각의 지나친 ‘반일 감정’과 관련, “우리는 도덕적으로 우월감을 지니고 있기에 일본에 대해 지나친 적대감을 표하는 등의 감정적 접근은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봉현 대사의 특강을 마친 후에는 퍼스 한인동포 성악가 소프라노 허미자 씨가 통일에 대한 염원이 담긴 우리의 가곡 ‘그리운 금강산’을 열창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서부호주주의 전현직 평통위원들은 이구동성으로 “서부호주 퍼스 동포사회도 호주한인동포사회의 중요한 일부임을 처음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면서 “호주 한인동포 사회 구성원으로서 전체 한인사회의 화합과 발전을 위해 책임 있는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각오를 다지는 계기가 됐다”고 호평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7 호주 도미닉 페로테트 전 NSW 주 총리, ‘negative gearing’ 검토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96 호주 오늘날 우리는 왜 ‘아름다움=고결, 추함=고쳐야 할 문제’로 인식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95 호주 경매 통해 주택을 매매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94 호주 NSW 정부의 유료도로 통행료 환급 대상 운전자들, “지금 청구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93 호주 중앙은행, 생활비 압박에 허덕이는 가계에 ‘이자율 인하 희망’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92 호주 지난 5년 사이 시드니에서 건설된 아파트, ‘3개 층만 더 높았더라면...’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91 호주 상당수 국민들 ‘주택부족-임대위기’로 고통 받는데... 의원들은 부동산 투자?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90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시, 1천 명 이상의 새 ‘호주 시민’ 받아들여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89 호주 “올해 1월 들어 일자리 거의 추가되지 않았다”... 실업률, 4%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88 호주 시드니 학부모들, 가계재정 압박-사립학교 학비 인상에도 불구하고...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87 호주 시드니 CBD 반경 10km 이내, 주택 구입 ‘most affordable suburbs’는...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86 호주 높은 인플레이션-금리 상승에서도 NSW 경제, 일자리 생성 계속됐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85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조디 헤이든 여사, SNS 통해 ‘깜짝’ 결혼계획 내놔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84 호주 실질적 호주 최고 권력자 ‘Prime Minister’의 배우자로 살아간다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83 호주 유학생 비자승인 제한 관련 호주 주요 대학들, 연방 이민정책에 반기?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82 호주 “호주 유입 해외 이민자들 ‘지역경제 활성화-임금상승 효과’ 가져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81 호주 흡연자는 실직 상태 또는 정신건강 이상?... “일반적 통념, 잘못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80 호주 각 대학들, ‘캠퍼스 내 성폭력 방지’ 계획으로 ‘국가적 행동강령’ 적용 받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79 호주 Political leadership... 연립 야당, 2022년 선거 이후 처음으로 노동당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78 호주 호주 어린이 3분의 1, “학교에서 ‘능숙한 읽기’ 배우지 못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