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가정폭력).jpg

NSW 주 정부가 가정폭력 대책 일환으로 폭력 현장에서 경찰이 곧바로 ADVO를 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경찰의 권한을 한층 강화했다.

 

경찰이 현장에서 ADVO 발행 가능... 관련단체들, ‘환영’

 


NSW 주 전역에서 음주 관련 폭행 사건이 줄어든 반면 가정폭력(domestic violence) 발생 건수가 크게 늘어난 가운데 가정폭력 사건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상황을 판단하고 즉석에서 AVO(Apprehended Violence Orders)를 발행할 수 있는 새로운 권한이 주어졌다.

 

NSW 응급서비스부의 스튜어트 아이어스(Stuart Ayres) 장관의 설명에 따르면, 관련 법률의 변경에 따라 가해자에게는 집에서 나가라고 명령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접근금지 명령인 ADVO(Apprehended Domestic Violence Order)를 주기 위해 최대 2시간까지 억류시킬 수 있다.

 

아이어스 장관은 “이렇게 함으로써 접근금지 명령을 내리기 전에 가해자가 도주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피해자가 긴급 피난처를 구하는 것보다 집에 안전한 상태로 머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주 이 같은 변경된 법률은 주 정부의 가정폭력 대책 전략의 일환으로 가정폭력에 대응하기 위한 경찰력 및 법률 시스템 향상을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지난 해 NSW에서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접근금지 명령인 ADVO는 약 4만5천 건이 발행됐다. 이 가운데 80%는 당직 중인 치안 판사에 의뢰해야 함으로서 정상적인 업무시간 외에 발행된 것이다.

 

NSW 경찰청의 마크 머독(Mark Murdoch) 부청장 대변인은 가정폭력 문제 처리 절차를 합리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변인은 “이전에는 경찰이 판사에게 ADVO를 신청하고 판사가 이를 검토해 명령을 내리게 되어 있었다”며 “이제 경사(sergeant) 계급 이상의 경찰이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개정은 단지 가정 폭력에만 해당되며 피고(가해자)는 이전처럼 28일 이내 지방법원에 출두해야 한다. 피고(가해자)는 폭력 가해자로 고발됐지만 이 법정에서 경찰이 발행한 ADVO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ADVO는 치안판사가 발행하게 된다.

 

주 정부의 이 같은 법률 변경에 대해 가정폭력 피해지 지원 관련 단체들은 환영의 뜻을 보이면서 보다 복합적인 가정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경찰의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NSW 가정폭력 단체의 프로젝트 담당인 무 벌크(Moo Baulch) 매니저는 가정폭력 현장에서 가끔은 누가 진짜 가해자인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고 말한다.

 

그녀는 “가해자가 경찰에게 자신이 피해자라고 설득력 있는 주장을 폄으로써 실제 피해자가 요청한 ADVO가 철회되는 일도 많다”는 것이다.

 

NSW 여성법률지원서비스(Women's Legal Services NSW)는 이 같은 법률 개방이 피해자를 보다 신속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의 뜻을 표하며, 강화된 경찰 권한이 제대로 작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단체의 대표인 자넷 러프먼(Janet Loughman) 변호사는 새로운 규정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7 호주 호주 ‘Golden Visa’ 제도, “전 세계 부정자금 끌어들인다” 지적 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176 호주 2022년 HSC 결과, 경제학-역사 등 대부분 과목서 여학생 성적 ‘우세’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175 호주 NSW 주 정부의 ‘현금 없는 포키게임’ 시범운영 신청, ‘10배 이상’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174 호주 앤드류 가일스 이민부 장관, “주택공급 위해 해외 숙련인력 유치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173 호주 RBA 기준금리 4.35%... 1990년대 이후 ‘mortgage affordability’ 최악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172 호주 기후변화 관련 사망 증가... 관련 차트, ‘미래 여름의 끔찍한 예측’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171 호주 호주 임대주택 시장, 높은 수요 비해 공급은 제자리... 임차인 ‘고통’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170 호주 길어진 기대수명과 자녀의 ‘상속 조바심’으로 ‘노인학대’ 사례 더욱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169 호주 호바트, 유네스코 ‘문학 도시’로 ‘Creative Cities Network’에 이름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168 호주 일자리 광고 수치, 빠르게 감소... NSW-Victoria 주, 가장 큰 폭 ‘급감’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167 호주 전 세계 국가, 올해 10월까지 1년 사이 기록상 ‘가장 심한 무더위’ 경험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166 호주 9월 분기 임금 상승 1.3%... ABS의 ‘Wage Price Index’ 사상 가장 큰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165 호주 10월 호주 실업률, 3.7%로 소폭 상승... 공식 실업자 수 2만7천 명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164 호주 주택시장 성장 둔화 보이지만... 10월까지 대부분 교외지역 가격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163 호주 NSW 재부장관, “시드니 동부지역에 더 많은 주택건설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162 호주 ‘Christmas Homecoming’... CB 카운슬, ‘Carol in the Park’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161 호주 NSW 최고 의료책임자, “병원 외 서비스-예방치료에 더 많은 투자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160 호주 RBA가 우려하는 호주의 생산성 둔화, 단지 근로자의 게으름 때문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159 호주 시드니의 크리스마스 트리, “뉴욕 록펠러 센터의 그것에는 없는 ‘뭔가’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158 호주 시드니 일부 유명 사립학교, 내년도 학비 인상 전망... 최대 9%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