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헬스 엔젠스 갱).jpg

금주 화요일(24일) 오후 라이카트(Leichhardt) 소재 노턴 스트리트(Norton Street) 상에서 벌어진 폭행사건의 피해자인 피터 제르바스(Peter Zervas). 그는 코를 물어뜯겨 거의 절반가량 떨어져 나갔지만 다행히 접착수술을 받을 수 있었다.

 

코 물어 뜯겨 접착 수술... 라이벌 ‘코만체로’ 조직원 소행 추정

 


금주 화요일(24일) 시드니 이너 웨스트 지역의 라이카트(Leichhardt)에서 심각한 폭행 사건이 발생된 가운데, 당시 사건에서 코를 물어뜯긴 피해자가 불법 바이키 갱 ‘헬스 엔젤스’(Hells Angels) 멤버인 피터 제르바스(Peter Zervas)인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38세의 제르바스는 이날 오후 라이카트 소재 자택에서 공격을 받은 후 코가 뜯겨 나가 접착하는 수술을 받아야 했다. 이날 폭행은 CCTV에 그대로 담겨졌다.

 

피터 제르바스는 지난 2009년 시드니 공항 국내선 청사에서 라이벌 갱인 코만체로(Comanchero) 바이키 갱과의 싸움에서 코만체로의 전 두목이었던 마흐무드 믹 하위(Mahmoud Mick Hawi)에게 쇠몽둥이와 칼에 찔려 사망한 앤서니(Anthony Zervas)의 동생이기도 하다.

 

제르바스는 이날 오후 5시경 라이카트 노턴 스트리트(Norton Street) 상의 유닛에 있다가 얼굴을 알지 못하는 사람으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이 사건을 주사하고 있는 라이카트 경찰서의 나오미 무어(Naomi Moore) 경감은 제르바스를 공격한 남자는 제르바스가 공격을 피해 노턴 스트리트로 달아나기 전 그의 코를 물어뜯었다고 설명했다.

 

무어 경감은 “제르바스의 코는 거의 절반이 뜯겨나갔다”면서 “뜯겨나간 부분을 회수해 병원에서 접착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피해자와 가해자가 서로 알고 있는 사이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며 공격 이유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현재 라이카트 경찰서 수사진은 제르바스가 연계된 바이키 갱단이 가해자에게 보복하기 위해 움직이는 점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다음 날인 수요일(25일) 폭행 장면이 담긴 CCTV 영상을 확보했다. 이번 사건의 용의자는 피해자인 제르바스가 노턴 스트리트의 유닛에 거주하고 있다는 것을 정확히 알고 제르바스를 찾아왔다는 점에서 라이벌 갱 조직원의 소행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지르바스가 알고 있는 정보를 경찰에 말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피터 제르바스가 타깃이 된 것은 이번만이 아니다.

2009년 시드니 공항에서의 싸움 이후 제르바스는 라켐바(Lakemba) 소재 모친의 집 앞에 차를 세우고 내리는 도중 여러 발의 총격을 받기도 했다. 또 지난해에는 제르바스가 브라이튼 르 상드(Brighton-le-Sands)에 문을 연 문신가게에 화염병이 투척되고 수차례 차량 안에서의 총기난사(drive-by shooting)가 일어나기도 했다.

 

한편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은 Crime Stoppers 전화(1800 333 000)나 온라인(http://www.crimestoppers.com.au)을 통해 이 사건에 대한 사항을 알고 있는 이들의 신고를 당부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7 호주 시드니 inner-south west 30개 이상 교외지역 ‘하이스쿨 선택 구역’ 개편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196 호주 호주인구의 지속적 성장으로 높은 기준금리, 더 오랫동안 이어질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195 호주 호주 총리, 중국 방문 라이프프라자 23.10.23.
194 호주 호주 억만장자, Trump "미국의 외교 비밀 공개" 라이프프라자 23.10.23.
193 호주 호주, 中 관계회복 속도내나…총리 방중 앞두고 문화재 반환 라이프프라자 23.10.26.
192 호주 팬데믹 당시 ‘고용 보장’ 위한 ‘JobKeeper 프로그램’, 중요한 역할 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191 호주 탄력 받고 있는 ‘build-to-rent’ 주택, 임대위기 완화에 도움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190 호주 “인구 증가-검은색 계열의 지붕이 도시 중심가 ‘열섬’ 만들어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189 호주 시드니 일부 지방의회, 건축-개조 신청 거부 가능성 최대 6배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188 호주 경매 통한 주택구입, 지금이 적기? 올해 봄 시즌, 입찰경쟁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187 호주 Where to find the best craft beer in Hunter Valley, NSW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186 호주 ‘NSW Young Liberals’, 당에 ‘Z세대 주택구입 능력 정책 우선’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185 호주 주택부족 해결의 한 방안으로 ‘파라마타-빅토리아 로드’ 재개발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184 호주 City of Canterbury-Bankstown, 학교 앞 횡단보도 업그레이드 완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183 호주 인공지능 설비 연결 자동차, 도로상의 여러 사고 방지-생명 구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182 호주 호주 중앙은행, 5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상 단행... 모기지 보유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181 호주 ‘e61 Institute’ 보고서, “직종 전환 감소가 호주 경제 발목 잡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180 호주 시드니 시, 도시 가로수 주종 이루는 플라타너스 ‘단계적 교체’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179 호주 “NSW 주 정부는 ‘주택공급 목표’ 위한 야심찬 계획, 단념해선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178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회복세... 광역시드니 대부분 교외지역 주택가격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