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호주 중앙은행).jpg

최근 호주 중앙은행(The Reserve Bank Australia)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시드니 지역에서 과거 10년 동안 주택을 임대하는 것이 구입하는 것보다 더 이익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RBA 분석... 도심과 외곽 지역 부동산 가격 차, 갈수록 커져

 


‘여유가 된다면 집을 구매하는 것이 더 낫다’라는 말은 이제 시드니 부동산 구매자들에게는 틀린 말일지 모른다.

 

최근 호주 중앙은행(The Reserve Bank Australia)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시드니 지역에서 과거 10년 동안 주택을 임대하는 것이 구입하는 것보다 더 이익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의 지난 10년간 분석에 따르면 부동산 시장은 이너-시티(inner-city) 지역의 주택가격이 주변 지역의 부동산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가격 면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경향은 지난 5년 동안 반전되기도 했지만 부동산이 활황의 정점을 찍었던 2003년 이래로, 이너 웨스트(inner west) 지역과 도심 동부 및 북부 지역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확실한 차이를 만들었다.

 

지난 주 두 명의 중앙은행 경제학자는 잠재적인 주택 구매자들이 주택 구매 또는 임대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주택 가격이 크게 상승한 이후, 기준이 되는 상승률을 2.4%라고 진단한다. 만약 주택 가격이 인플레이션 적용 후 연간 2.4% 이상 상승한다면 주택 구입이 임대보다 이익이다.

하지만 주택 가격 성장이 2.4% 미만이라면 임대가 재정적으로 더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패어팩스 미디어 소유 호주 부동산 모니터(Australian Property Monitors, APM)의 분석 수치는 이스턴 서버브(eastern suburbs)와 이너 웨스트(inner west) 지역 거의 대부분이 지난 10년 간 중앙은행이 제시한 기준인 2.4%의 부동산 가격 성장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외곽 지역에서는 시드니 서부 카브라마타(Cabramatta)와 베랄라(Berala) 지역이 주택 가격 인플레이션 적용 후 지난 10년 간 2.4% 이상 상승한 유일한 지역이다.

 

하지만 지난 5년간 주택 가격은 CBD를 시작으로 일부 지역에서 추가로 상승했다.

APM과 도메인 그룹(Domain) 그룹의 수석 경제학자 앤드류 윌슨(Andrew Wilson) 박사는 이번에 발표된 수치는 도심생활 선호, 부동산 적정가격 주기의 변화 등 다양한 트렌드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가 지난 6개월 동안 보아온 흥미로운 것은 저렴한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하며 “적정 가격이라는 것이 현재 하나의 장벽으로 다가왔다. 수입에 큰 변화가 없는 것 역시 적정 가격이 장벽으로 느껴지는 큰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중앙은행은 오랫동안 외곽 지역보다 빠른 가격 성장을 보이는 도심 지역의 가격 경향을 주시했다.

중앙은행 재무 안정성 부서의 루시 엘리스(Luci Eliis) 국장은 최근 연설에서 “2006년에서 2013년 사이 시드니 도심 지역과 외곽 지역의 가격 성장 비율은 2:1에서 거의 2.5:1에 이른다”고 밝히며 “도시가 클수록 가격 성장도 크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보고서를 발표한 중앙은행의 경제학자들은 보고서에 주택을 구입하기 위한 심리적, 정신적 이유는 반영되지 않고 있음을 인정했다.

 

최근 랜드윅(Randwick)에 2침실 아파트를 구입한 쉐인 헌(Shane Hearn)과 디나(Dinah) 부부는 “부동산 가격이 점점 상승한다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한다.

 

이들은 “주택을 구입함으로써 위험과 책임이 동반되지만 결국에는 안정성을 제공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17 호주 단 7주 만에 수백만 달러... ‘돈세탁’에 이용되는 NSW 최악의 펍과 클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31.
5016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지역사회 지도자들, 폭력 문제 해결 위한 ‘한 목소리’ file 호주한국신문 23.08.31.
5015 호주 40년 후 호주 인구, 거의 1,400만 명 추가... 총인구 4,050만 명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5014 호주 허위 고교 졸업장-영어평가서로 대학에... 시드니대, 상당수 ‘부정입학’ 적발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5013 호주 “연방정부의 주택 계획, 향후 10년간 임차인들 320억 달러 절약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5012 호주 “2023년의 ‘Matildas’, 여자축구-스포츠 이벤트의 ‘게임 체인저’로 기억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5011 호주 ‘off-market’ 주택 거래... “일반적으로 매매가격 낮추는 경향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5010 호주 Sydney Royal Wine Show 2023... 국내외 전문가가 선택한 최고의 와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5009 호주 NSW 각 학교 학생들의 교내 ‘베이핑 문제’ 심각... 교육부, 실태파악 나서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5008 호주 SA 주 연구원들, 대변검사 없이 대장암 여부 확인하는 ‘조작’ 박테리아 설계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5007 호주 지속되는 생활비 위기... ‘기후변화 행동’ 지원 호주인 비율, 빠르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5006 호주 캐나다베이 카운슬, 오랜 역사의 이탈리안 축제 ‘Ferragosto’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5005 호주 7월 호주 실업률 3.7%... 일자리 14,600개 실종-실업자 3,600명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5004 호주 CB 카운슬, 예술가-지역 청소년들이 만들어가는 ‘거리 예술’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5003 호주 호주 여자축구, 사상 첫 월드컵 4강에 만족해야... 결승 진출 좌절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5002 호주 호주 각 대학에서의 ‘표현의 자유’ 위협, 2016년 이후 두 배 이상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5001 호주 시드니 시, 헤이마켓에 한국-중국 등 아시아 문화 및 음식거리 조성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5000 호주 인플레이션 수치, 호주 중앙은행 목표인 2~3% 대로 돌아오고 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4999 호주 NSW 주 정부, 신규 주택 위해 시드니 11개 교외 공공부지 재조정 알려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4998 호주 수천 명의 소셜미디어 이용자들, 온라인상에서 각 지역의 잊혀진 역사 공유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