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클런시 추기경).jpg

지난 2004년 시드니 세인트 메리 주교좌성당(St. Mary's Cathedral)의 종파를 초월한 기도 모임에서 호주 이슬람 지도자인 타즈 알딘 알 힐랄리(Taj Aldin al-Hilali. 사진 가운데), 아르메니아 교회 아간 발레오지간(Aghan Baleozian) 대주교(사진 오른쪽)와 함께 선 클런시 추기경(맨 왼쪽).


향년 90세... 캔버라 대주교-호주가톨릭대학 총장 역임

 


시드니대교구 대주교을 역임했던 에드워드 클런시(Edward Clancy) 추기경이 지난 일요일(3일) 선종했다. 향년 90세.

 

클런시 추기경(13 December 1923 ~ 3 August 2014)은 지난 1983년 제7대 시드니대교구 대주교로 임명돼 2001년까지 헌신했으며 시드니대교구 대주교 직에서 은퇴한 이후 지난 수년 동안 건강이 좋지 않아 시드니 동부 랜드윅(Randwick) 소재 ‘가난한 작은 자매회’(Little Sisters of the Poor)라는 가톨릭교회 운영의 요양원에서 지내왔다.

 

클런시 추기경은 호주 최초로 성인 반열에 오른 메리 맥킬롭(Mary Helen MacKillop) 수녀의 시성에도 큰 역할을 했다. 스코틀랜드 이민자의 딸로 멜번에서 출생, 남부 호주에서 활동한 맥킬롭 수녀(15 January 1842~8 August 1909)는 학교를 세우고 복지 활동을 벌이는 데 평생을 바쳤다.

 

클런시 추기경은 특히 시드니 지역 한인 가톨릭 신자들에게는 현 실버워터 소재 한인 가톨릭교회(The Korean Catholic Church of Sydney Archdiocese)가 탄생하도록 교구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은 성직자로 기억되고 있다.

 

클런시 대주교의 뒤를 이어 멜번대교구의 조지 펠(George Pell) 대주교가 그의 자리를 물려받아 시드니대교구를 위해 헌신해 왔으며, 조지 펠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 부임 이후 교황의 부름을 받아 바티칸교황청 경제사무국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1923년, 블루마운틴 지역 리스고우(Lithgow)의 학교 교사였던 존 빈 클런시(John Bene Clancy)와 엘렌 루시 에드워드(Ellen Lucy Edwards) 사이에서 출생한 클런시 추기경은 16세 때 신학대학에 입학해 1949년 신품성사를 받고 사제가 됐다.

 

시드니대교구 대주교 임명 전에는 캔버라 및 고울번대교구 대주교로 재임했으며 시드니대교구로 부임한 뒤인 1992년에는 호주 가톨릭대학(Australian Catholic University) 총장을 겸임하기도 했다.

 


김지환 기자 jhkim@

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97 호주 호주 전역 대도시 주택가격 오름세 보이지만... 상승 속도는 더디게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4996 호주 라이프스타일-대도시보다 저렴한 주택가격이 ‘지방 지역 이주’의 주요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4995 호주 CB 카운슬, ‘War on Waste’ 관련 무료 워크숍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4994 호주 그림을 통해 보여주는 ‘좋은 것과 나쁜 것’ 사이의 양면성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4993 호주 생활비 압박 속 ‘생계유지’ 위한 고군분투... ‘multiple jobs’ 호주인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4992 호주 대학 내 만연된 성폭력 관련 ‘Change The Course’ 보고서 6년이 지났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4991 호주 획기적 AI 혁명, “수용하거나 뒤처지거나”... 전문가-학계-기업 관계자들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4990 호주 No dance, No gum, No 방귀! 10 of the silliest laws around the world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4989 호주 공실 늘어가는 시드니 도심의 사무 공간, 주거용으로 전환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4988 호주 일단의 정신건강 전문가들, 장기간의 실직과 자살 사이의 ‘인과관계’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4987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회복세 ‘뚜렷’, 주택가격 치솟은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4986 호주 “NSW 주 ‘유료도로 이용료 감면’ 대신 ‘바우처’ 도입해 통행량 줄여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4985 호주 NSW 전역 캥거루 개체 크게 증가... 과학자들, 생물다양성 문제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4984 호주 “뜨개질 그룹에서 치매-손 떨림 예방하고 새 친구들도 만나보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0.
4983 호주 2022-23년도 ‘금융’ 부문 옴부즈맨에 접수된 소비자 불만, 9만7천 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4982 호주 ‘메트로 웨스트’ 기차라인 건설 지연, NSW 주택건설 계획도 ‘차질’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4981 호주 올해 상반기 전국 주택가격 2.3% 상승... 일부 교외지역 성장세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4980 호주 호주에서 가장 외로움을 느끼는 이들은 누구...? 노년층 아닌 중년의 남성들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4979 호주 새로운 계열의 알츠하이머 치료제, 초기 단계 환자에 ‘효과 가능성’ 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4978 호주 올해 6월까지 12개월 사이, 광역시드니의 임대료 최다 상승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