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드니 시티).jpg

최근 시드니 도심 곳곳에서 인종차별을 표현하거나 실제 차별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시드니 시티 카운슬(City of Sydney)은 린다 스콧(Linda Scott) 시의원(노동당)인 발의한 ‘인종차별주의 규탄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사진은 시드니 카운슬의 카운슬러들.

 

린다 스콧 시의원, “인종차별 근절 위해 노력할 것” 강조

 


최근 시드니 시티(City of Sydney)에서 인종차별과 관련된 사건이 잇따라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지난 8월25일(월) 저녁, 시티 오브 시드니(City of Sydney) 카운슬은 노동당 소속 린다 스콧(Linda Scott) 시의원인 발의한 ‘인종차별주의 규탄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키며 이너 시티(inner-city) 지역에서 인종차별 반대 활동을 펼치고 있는 인종차별위원회(Race Discrimination Commissioner)의 팀 수폼마세인(Tim Soutphommasane) 박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스콧 의원은 “우리 커뮤니티에서는 인종차별이나 외국인 혐오 행동을 위한 자리가 없으며 카운슬이 인종차별을 규탄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운동을 지원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최근 시티에서 일어난 인종차별 관련 사건으로는 치펜데일(Chippendale) 소재의 대학교에서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외국인 혐오 전단지가 무작위로 뿌려졌으며 달링톤(Darlington)의 보도에는 반유대주의를 강조하는 슬로건이 쓰여져 있는가 하면, 달링허스트(Darlinghurst)의 한 카페에서는 한 남성이 피부색 때문에 고용되지 못했다는 언론의 보도가 이어지기도 했다.

 

스콧 의원은 “어느 누구도 인종차별과 관련된 연설이나 행동을 할 권리가 없다”고 강조하며 “시티 오브 시드니에는 200여개 나라에서 온 사람들이 살고 있으며 미래의 시드니는 문화적 다양성과 조화가 이뤄지는 곳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 초 시티 오브 시드니 카운슬은 연방 정부의 ‘인종차별금지법’ 개정 계획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을 채택했으며 호주 인권위원회(Australian Human Rights Commission)의 운동에도 동참한 바 있다.

 

스콧 의원은 “시티 오브 시드니에서 인종차별이 근절될 수 있도록 호주 인권위원회 및 지역사회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la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37 호주 NSW, ‘세입자 임대료 고통’ 해결 위해 Rental Commissioner 임명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36 호주 SA 주 8개 하이스쿨서 ChatGPT 스타일 AI 앱, 시범적 사용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35 호주 일선 교육자, “계산기 없는 아이들의 산술 능력, 가정에서부터 시작돼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34 호주 개인소득세 의존 높은 정부 예산... 고령 인구 위한 젊은층 부담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33 호주 세계 최초 AI 기자회견... “인간의 일자리를 훔치거나 반항하지 않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32 호주 입사지원시 기업 측의 관심을 받으려면... “영어권 이름 명시하는 게 좋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31 호주 시드니 주택임대료, 캔버라 ‘추월’... 임대인 요구 가격, ‘사상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30 호주 2023 FIFA 여자 월드컵... 축구는 전 세계 여성의 지위를 어떻게 변모시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29 호주 차일드케어 비용, 임금-인플레이션 증가 수치보다 높은 수준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28 호주 잘못 알고 있는 도로교통 규정으로 NSW 운전자들, 수억 달러 ‘범칙금’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27 호주 2022-23년도 세금 신고... 업무 관련 비용처리가 가능한 항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26 호주 NSW 보건부, 급성 vaping 질병 경고... 일단의 젊은이들, 병원 입원 사례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25 호주 HSC 시험 스트레스 가중... 불안-집중력 문제로 도움 받는 학생들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24 호주 “아직은 모기지 고통 적지만 젊은 임차인들, 높은 임대료로 가장 큰 압박”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23 호주 NSW 정부, 주택계획 ‘Pilot program’으로 5개 교외지역 ‘신속 처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22 호주 ‘재택근무’는 ‘획기적’이지만 CBD 지역 스몰비즈니스에는 ‘death knell’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21 호주 치솟은 기준금리와 높은 인플레이션... 호주인 절반, ‘재정적 위기’ 봉착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20 호주 Mind the price gap... 기차라인 상의 각 교외지역 주택가격, 큰 차이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19 호주 FIFA 주관의 첫 여자축구 국제대회, 그리고 1세대 ‘Matidas’의 도전과 투혼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18 호주 세금신고 정보- 새 회계연도의 세무 관련 변화... 환급액, 더 낮아질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