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마약사범).jpg

시드니 도심 마틴플레이스(Martin Place) 소재 사무실에서 경찰에 체포돼 나오는 정부 법률 에이전트 수석 변호사인 닉 굴리아디티스(Nick Gouliaditis. 34). 비밀경찰의 함정수사 결과 그는 시드니 암흑가의 마약거래 조직에 연루된 인물로 드러났다.

 

낮에는 정부 고용 변호사로, 밤에는 시드니 암흑가의 마약 딜러로


정부 및 전 금융노조가 고용하고 있는 시드니 수석 변호사가 정교한 마약거래조직에 연루된 혐의로 기소됐다.

 

지난 8월21일(목) 정부 법률단의 수석 변호사인 닉 굴리아디티스(Nick Gouliaditis. 34)가 마틴플레이스(Martin Place) 사무실에서 전격 체포됐다. 정부 법률 단은 정부에 법률 자문을 제공하는 정부 선임 법률 에이전시이다.

 

경찰에 체포된 굴리아디티스 변호사는 얼음 형태로 제조된 메틸암페타민(methylamphetamine), 감마 히드록시부티르산(gamma-hydroxybutyrate. GHB)으로 불리는 각성제 거래 및 체포 불응과 무기소지 혐의로 기소됐다.

 

굴리아디티스 변호사는 다음 날인 8월22일(금) 법원에 출두하지 않았으며, 그의 변호사는 이후 보석을 신청했다.

 

이전에 그의 마약거래 정보를 파악한 경찰 비밀요원은 마약 사용자로 위장, 굴리아디티스 변호사에게 접근해 지난 7월말과 8월 중순 사이 500ml의 GHB, 13.8그램의 메틸암페타민을 수차례 구입했다.

 

경찰 수사진은 굴리아디티스 변호사를 체포할 당시 그가 얼음 형태의 메틸암페타민 3그램을 비롯해 불법 마약판매를 위한 저울, 다량의 개봉 가능한 플라스틱 봉투, 상당 액수의 현금을 소지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경찰은 또한 뉴타운(Newtown) 소재 그의 집에서 스턴 총(stun gun), 액체로 된 700ml의 GHB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아울러 같은 날(8월21일) 경찰은 현재 실직 중인 금융노동자 앤드류 코넬(Andrew Connell, 25)을 킹스크로스(Kings Cross) 소재 자택에서 체포했다. 코넬 역시 비밀경찰의 함정수사에 걸려든 케이스이다.

 

불법 약물공급 혐의로 기소된 코넬은 다음 날인 금요일(22일) 시드니 센트럴 법원에 출두했으며, 보석을 신청한 상태이다.

 

경찰에 따르면 코넬은 굴리아디티스가 연루되어 있는 시드니 마약거래 조직에서 중간급의 딜러로 활동해 왔다.

코넬의 변호사는 법원에서 코넬에 대해 범죄전과는 없으며 다만 위조지폐와 관련돼 다른 법원에서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코넬의 변호사는 이어 코넬 가족이 그의 보석을 위해 2만 달러를 준비해두고 있으며, 여권을 반납하고 시드니 남부 서던 하일랜드(southern highlands) 지역의 보우럴(Bowral)에 있는 부친과 함께 거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찰은 코넬이 서류를 위조해 사법 관할권을 빠져나갈 수 있는, 조직화된 범죄 네트워크의 주요 인물이라며 그의 보석 허가를 반대했지만 법원은 그의 보석을 허가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57 호주 치솟은 기준금리와 높은 인플레이션... 호주인 절반, ‘재정적 위기’ 봉착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4956 호주 ‘재택근무’는 ‘획기적’이지만 CBD 지역 스몰비즈니스에는 ‘death knell’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4955 호주 NSW 정부, 주택계획 ‘Pilot program’으로 5개 교외지역 ‘신속 처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4954 호주 “아직은 모기지 고통 적지만 젊은 임차인들, 높은 임대료로 가장 큰 압박”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4953 호주 HSC 시험 스트레스 가중... 불안-집중력 문제로 도움 받는 학생들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4952 호주 NSW 보건부, 급성 vaping 질병 경고... 일단의 젊은이들, 병원 입원 사례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4951 호주 2022-23년도 세금 신고... 업무 관련 비용처리가 가능한 항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50 호주 잘못 알고 있는 도로교통 규정으로 NSW 운전자들, 수억 달러 ‘범칙금’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49 호주 차일드케어 비용, 임금-인플레이션 증가 수치보다 높은 수준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48 호주 2023 FIFA 여자 월드컵... 축구는 전 세계 여성의 지위를 어떻게 변모시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47 호주 시드니 주택임대료, 캔버라 ‘추월’... 임대인 요구 가격, ‘사상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46 호주 입사지원시 기업 측의 관심을 받으려면... “영어권 이름 명시하는 게 좋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45 호주 세계 최초 AI 기자회견... “인간의 일자리를 훔치거나 반항하지 않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44 호주 개인소득세 의존 높은 정부 예산... 고령 인구 위한 젊은층 부담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43 호주 일선 교육자, “계산기 없는 아이들의 산술 능력, 가정에서부터 시작돼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42 호주 SA 주 8개 하이스쿨서 ChatGPT 스타일 AI 앱, 시범적 사용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41 호주 NSW, ‘세입자 임대료 고통’ 해결 위해 Rental Commissioner 임명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40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Dodgeball Sydney’와 함께 ‘피구’ 리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39 호주 CB 카운슬, 어린이-고령층 위한 대화형 게임 ‘Tovertafel’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4938 호주 Millennials-Gen Z에 의한 정치지형 재편, 보수정당 의석 손실 커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