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드니 대학 1).jpg

시드니 예술대학교 NSW 대학 예술대학간 합병이 진행되면서 시드니 예술대학 학생들이 합병 반대 시위를 벌이는 등 학교 측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시드니 예술대 학생들, ‘기만행위’... 법적 절차 진행

 

호주 내 거대 예술대학을 만들려는 시도가 법정소송으로 이어지는 등 학생들의 반대로 진통을 겪고 있다.

금주 화요일(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시드니 예술대학(Sydney College of the Arts) 학생들 중 최대 60명이 현재 시드니 대학이 진행하고 있는 UNSW 예술대학과의 합병 계획에 대해 “기만행위”라며 법적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의 공동 변호사인 토마스 맥루일린(Thomas McLoughlin)씨는 학생들을 대신해 소비자보호법 위반으로 고소할 것임을 밝혔다. 맥루일린 변호사는 ‘학생 법률서비스’(Student Representative Council Legal Service)에 호주 소비자보호법 제18조를 위반한 혐의로 60명의 학생들이 소송을 제기 했다고 언급하면서 “이는 호주 소비자보호법상 기만행위(deceptive conduct)에 해당된다”며 제기된 소송은 NCAT의 소비자분과에서 다뤄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학과의 병합과 함께, 학생들이 지적하는 문제점은 현재 시드니 예술대학이 사용하는 역사 깊은 로젤(Rozelle) 캠퍼스도 이번 병합과 함께 판매가 되는 점이다(본지 6월24일 인터넷판 보도).

대학 측의 이 같은 일방적 결정은 학생들의 불만을 불러왔고, 금주 월요일(4일) 학생들은 학교 측의 결정이 시드니대학의 전통적인 로젤(Rozalle) 캠퍼스를 의도적으로 무시한 것이라는 주장과 함께 UNSW 대학과의 병합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 같은 학생들의 움직임과 관련, 시드니대학교 대변인은 “현재 진행 중인 합병 결과와 무관하게 학생들에 대해서는 학교의 법적인 의무를 다할 것”이라고 밝히며 학생들의 협조를 구했다. 각 대학의 부총장들은 “학과의 통합이 더 나은 시각디자인 교육과 연구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며 “호주의 예술적 우수성을 창조하도록 하는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이번 병합에 대해 언급했다.

한편 이번 병합이 진행되어 로젤 캠퍼스 부지가 공식적으로 정부토지 관리기관인 ‘NSW Property’로 이양되면 시드니에는 단 하나의 예술대학만 남게 되며 NSW대학, 시드니대학이 합병돼 하나의 거대한 예술 학교가 탄생하게 된다.

 

유수현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시드니 대학 1).jpg (File Size:38.8KB/Download:4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37 호주 호주 중앙은행, 6개월 연속 금리 인상... 이달 상승폭은 0.25%포인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6 호주 대형 트럭 운전기사 부족... 일부 회사들, 연봉 15만 달러까지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5 호주 1천만 달러 이상 호화주택 거래, 지난 2년 사이 두 배로 늘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4 호주 호주 연간 인플레이션 상승률, 7월 7%에서 8월 6.8%로 소폭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3 호주 가계생활비 압박 가중 지속... 슈퍼마켓 물품 절도행각도 빠르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2 호주 정부, ‘COVID 의무 격리’ 해제... ‘팬데믹 병가 지원금’ 제공도 종료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1 호주 팬데믹 사태에서 직종별 근무 상황 제각각... ‘주 4일 근무제’ 관심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0 호주 임시비자 상태의 호주 내 숙련 기술자들, ‘스폰서’ 회사 내에서의 문제 털어놓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29 호주 빅토리아 자유당, 주 선거 앞두고 ‘대중교통 요금 극적 할인’ 파격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8 호주 냉각된 부동산 시장... 주택판매 수가 급격히 감소한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7 호주 2022년도 NSW 주 HSC 시험 시작.. 18일간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6 호주 NSW 주, 인지세 개혁 단계서 ‘online calculator’까지 선보였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5 호주 호주, 첫 ‘복합 COVID 부스터’ 프로그램 시작... ‘모더나’ 오미크론 백신 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4 호주 호주 가정이 겪는 높은 생활비 압박감, ‘COVID-19로 인한 스트레스’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3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주택가격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2 호주 Work has changed... NSW 노동당, ‘긱 경제’ 노동자에게도 보상-휴가 약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1 호주 내년 1월 1일부터 NSW 주 전역서 모바일 과속 단속 경고판 다시 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0 호주 광역시드니 각 지방의회, 규제당국 설정 이상의 카운슬 비용 인상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19 호주 ‘COVID 기원’ 국제 조사팀, “동물성 전염병일 가능성 가장 높다” 결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18 호주 NSW 법무부, ‘Coercive control’을 불법으로 규정하는 새 법안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