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레일라).png

지난 2005년 가정폭력으로 여성쉼터를 신청했다가 수차례 거절 당했던 레일라 알라비(Leila Alavi)씨. 그녀는 끝내 남편에게 교살당했다.

 

노동당 제니 애치슨 주 의원 밝혀... 현황파악조차 안 돼

 

NSW 주 정부가 가정폭력 피해자들을 대피시키는 여성보호소 내 침대 수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이 고발됐다.

야당 내각 가정부 담당의 제니 애치슨(Jenny Aitchison) 의원은 NSW 주 난민보호 관리자에게서 받은 호주 보건복지연구원(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자료를 언급하며 “현재 NSW 주의 가정폭력 피해자 관리가 너무 불투명하다는 점에 대해 경악한다”고 비난했다.

호주 보건복지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가정폭력으로 보호소 대피를 긴급 요청한 피해여성 중 3분의 1은 대피소 부족으로 다시금 폭력 가정으로 돌려보내진다.

애치슨 의원은 정부 정보공개법(Government Information Act 2009)에 의거, NSW 주 가족 및 커뮤니티 서비스부(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Services)에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한 여성보호소 및 침대수’를 공식 문의했다.

하지만 해당 부서에서는 ‘기록없음’이라고 답했으며, 이에 대한 이유를 문의하자 “여성보호소의 빈자리는 진드기 등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남은 자리 파악이 어렵다”는 답변이었다.

이 같은 사실을 고발한 애치슨 의원은 “기록이 없다는 사실보다 기록이 없는 이유에 대해 더욱 경악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가정폭력 피해자들은 폭력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엄청난 상처와 트라우마가 있는 상황에서, 침대 진드기까지 신경 써야 한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관련 시민단체인 ‘SOS Women’s Service’의 록산 맥머레이(Roxanne McMurray) 대변인은 “센트럴코스트를 포함한 NSW 전역에 걸쳐 여성 쉼터가 부족하다”면서 “정부가 여성 쉼터의 수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어떻게 피해여성들을 배치할 계획인지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맥머레이 대변인은 이어 어번 지역 한 주차장에서 남편에게 교살당한 미용사 레일라 알라비(Leila Alavi)씨 사건을 언급하면서 “그녀는 지난 2015년, 수차례 가정폭력을 호소하며 여성 쉼터로의 이주를 요청했지만 자리부족을 이유로 거절당한 바 있다”며 주 정부의 가정폭력 대책 허점을 강하게 비난했다.

주 정부 관련 부서의 가정문제 관리 부실은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 5월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NSW 주 정부가 아동 성학대 신고 건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보도한 적이 있다. 당시에도 주 정부는 아동 성학대 신고건수를 파악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신고건수를 집계하는 것은 정부의 타당한(Reasonable) 역할이 아니다”는 한심한 답변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NSW 주 정부는 향후 4년간 추가로 3억 달러 이상을 가정폭력 대책에 투입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여기에는 피해여성 주거지 제공, 전문가 양성 비용 등이 포함된다.

 

유수현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레일라).png (File Size:358.5KB/Download:3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37 호주 호주 중앙은행, 6개월 연속 금리 인상... 이달 상승폭은 0.25%포인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6 호주 대형 트럭 운전기사 부족... 일부 회사들, 연봉 15만 달러까지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5 호주 1천만 달러 이상 호화주택 거래, 지난 2년 사이 두 배로 늘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4 호주 호주 연간 인플레이션 상승률, 7월 7%에서 8월 6.8%로 소폭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3 호주 가계생활비 압박 가중 지속... 슈퍼마켓 물품 절도행각도 빠르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2 호주 정부, ‘COVID 의무 격리’ 해제... ‘팬데믹 병가 지원금’ 제공도 종료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1 호주 팬데믹 사태에서 직종별 근무 상황 제각각... ‘주 4일 근무제’ 관심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0 호주 임시비자 상태의 호주 내 숙련 기술자들, ‘스폰서’ 회사 내에서의 문제 털어놓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29 호주 빅토리아 자유당, 주 선거 앞두고 ‘대중교통 요금 극적 할인’ 파격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8 호주 냉각된 부동산 시장... 주택판매 수가 급격히 감소한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7 호주 2022년도 NSW 주 HSC 시험 시작.. 18일간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6 호주 NSW 주, 인지세 개혁 단계서 ‘online calculator’까지 선보였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5 호주 호주, 첫 ‘복합 COVID 부스터’ 프로그램 시작... ‘모더나’ 오미크론 백신 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4 호주 호주 가정이 겪는 높은 생활비 압박감, ‘COVID-19로 인한 스트레스’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3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주택가격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2 호주 Work has changed... NSW 노동당, ‘긱 경제’ 노동자에게도 보상-휴가 약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1 호주 내년 1월 1일부터 NSW 주 전역서 모바일 과속 단속 경고판 다시 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0 호주 광역시드니 각 지방의회, 규제당국 설정 이상의 카운슬 비용 인상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19 호주 ‘COVID 기원’ 국제 조사팀, “동물성 전염병일 가능성 가장 높다” 결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18 호주 NSW 법무부, ‘Coercive control’을 불법으로 규정하는 새 법안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