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봅 카 1).jpg

독일에 있는 ‘아이스 흡입실’, 현재 독일 전역에는 26개의 약물 흡입센터가 있으며 흡입센터는 치료실과 연계되어 있다.

 

공공의료 전문가들, “세계적 추세”... 과다복용 따른 사망 줄여

 

NSW 봅 카(Bob Carr) 전 주 수상이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s)의 일종인 속칭 ‘아이스’(ice)의 중독자 흡입실 설치를 지지하고 나섰다. NSW 주 수상 재임시 추진됐던 의료관리약물투입실(Medically Supervised Injecting Centre. MSIC)은 그의 정치경력 중 최대 성과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지난 1999년, 카 전 주 수상은 당 내외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 호주 최초로 의료관리약물투입실 설립을 추진했다. 중독자들로 하여금 의료진의 관리하에 합법적으로 마약을 투입할 수 있도록 허용한 MSIC에 대해 주 정부 보고서는 물론 글로벌 컨선턴트 회사인 KPMG는 소외계층의 지나친 마약복용을 막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카 전 수상은 “정부가 제공한 헤로인 흡연실을 통해 헤로인 중독자의 의료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접근함으로써 ‘눈에 띄는 성과’를 얻은 만큼 필요한 관리 시스템을 만들면 아이스 중독자에게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아이스 흡입실’ 설치를 주장해왔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정부와 민간의 의견은 분분한 상황이다. 지난 주 토요일(2일) NSW 주 정부는 아이스 마약 중독자들을 위해 약물 투입실(Drug-consumption room)을 만들 계획이 현재는 없다고 밝혔으나, 정부 소속 약물 치료 전문가인 로버트 그레이엄(Robert Graham) 박사는 정부시책과 관계없이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약물 관련 법안 개혁 캠페인을 전개하는 공공의료 전문가 알렉스 워닥(Alex Wodak) 및 매트 놉스(Matt Noffs) 박사는 킹스크로스(Kings Cross)의 MSIC와 유사한 ‘아이스 흡입실’을 설치하는 것이 전 세계적 추세라며 약물 흡입실 설치를 찬성하고 있다.

연방경찰청의 닉 팔머(Nick Palmer) 전 청장 역시 아이스 흡입실에 대한 찬성의사를 보였다. 그는 독일이나 스위스에만 해도 30여 곳의 흡입실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90곳이 운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4년 유럽연합 재정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의 마약 흡입실은 약물 과다복용으로 죽음에 이르는 사고를 낮춰주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한다’고 되어 있으며 ‘마약으로 인한 범죄 및 사고율을 낮춰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서 카 전 주 수상은 “90년대에 유행하던 헤로인에서 이제 더욱 많은 약물들이 사회 전반에 퍼져 있고 이에 따라 MSIC의 정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레이엄 박사도 이에 찬성하며 ‘아이스’를 흡입할 때 깨끗하고 안전한 도구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안전한 도구가 확보되면 안전한 장소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공공 의료서비스와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유수현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봅 카 1).jpg (File Size:28.1KB/Download:7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37 호주 호주 중앙은행, 6개월 연속 금리 인상... 이달 상승폭은 0.25%포인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6 호주 대형 트럭 운전기사 부족... 일부 회사들, 연봉 15만 달러까지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5 호주 1천만 달러 이상 호화주택 거래, 지난 2년 사이 두 배로 늘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4 호주 호주 연간 인플레이션 상승률, 7월 7%에서 8월 6.8%로 소폭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3 호주 가계생활비 압박 가중 지속... 슈퍼마켓 물품 절도행각도 빠르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2 호주 정부, ‘COVID 의무 격리’ 해제... ‘팬데믹 병가 지원금’ 제공도 종료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1 호주 팬데믹 사태에서 직종별 근무 상황 제각각... ‘주 4일 근무제’ 관심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0 호주 임시비자 상태의 호주 내 숙련 기술자들, ‘스폰서’ 회사 내에서의 문제 털어놓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29 호주 빅토리아 자유당, 주 선거 앞두고 ‘대중교통 요금 극적 할인’ 파격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8 호주 냉각된 부동산 시장... 주택판매 수가 급격히 감소한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7 호주 2022년도 NSW 주 HSC 시험 시작.. 18일간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6 호주 NSW 주, 인지세 개혁 단계서 ‘online calculator’까지 선보였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5 호주 호주, 첫 ‘복합 COVID 부스터’ 프로그램 시작... ‘모더나’ 오미크론 백신 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4 호주 호주 가정이 겪는 높은 생활비 압박감, ‘COVID-19로 인한 스트레스’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3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주택가격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2 호주 Work has changed... NSW 노동당, ‘긱 경제’ 노동자에게도 보상-휴가 약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1 호주 내년 1월 1일부터 NSW 주 전역서 모바일 과속 단속 경고판 다시 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0 호주 광역시드니 각 지방의회, 규제당국 설정 이상의 카운슬 비용 인상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19 호주 ‘COVID 기원’ 국제 조사팀, “동물성 전염병일 가능성 가장 높다” 결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18 호주 NSW 법무부, ‘Coercive control’을 불법으로 규정하는 새 법안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