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메디케어 1).jpg

호주의료협회(Australian Medical Association)의 마이클 개넌(Michael Gannon) 회장(사진).그는 올해 연방선거 캠페인의 핵심 이슈 중 하나였던 일반의(GP) 진료비 개인납부(GP co-payment)에 대한 재고려를 제안했다.

 

호주의료협회 촉구, 연방 보건부 측 “재검토 없을 것”

 

호주의료협회(Australian Medical Association) 회장인 마이클 개넌(Michael Gannon) 박사가 일반의(GP) 진료비 개인납부(GP co-payment)에 대한 재고려를 제안하면서 연방정부의 선거 전략에 관해 따끔한 비평을 날렸다.

개넌 박사는 연방정부가 올해 선거 캠페인에서 보건 의료에 대한 언급을 꺼려한 점을 비난, “수잔 레이(Sussan Ley) 연방 보건부 장관의 입을 막았다”고 지적하며 “자유-국민 연립은 선거 캠페인 동안 지지도가 떨어질까 두려워 이 같은 행동을 했으며, 이 때문에 중요한 이슈를 두고 제대로 된 토론을 할 수 있는 기회조차 없었다”고 비난했다.

그는 또한 “연립의 전략가들은 실제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알기도 전에 노동당이 메디케어 민영화 방안에 대해 반기를 들자마자 물러났다”며 “지금 연방정부의 의료정책은 1-2년 전으로 돌아가려 하고 있지만, 국민들이 이를 원치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노동당의 메디케어 환급에 대한 동결(일반의의 진료비를 정부가 모두 부담하는 것)을 지지한다”면서 “의사들도 국민을 위한 것임을 알기에 어느 정도 일부 받아들여졌다”고 덧붙였다.

이후 턴불 정부는 2020년까지 동결 연장을 원했고 노동당은 논란을 빚고 있는 동결 조치의 해제를 위해 향후 10년간 120억 달러를 지출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개넌 박사는 “일반의 진료비 전액 부담(bulk-billed GP service; 일반의 진료비를 환자의 부담 없이 메디케어가 전액 커버하는 것) 시스템은 매우 가치 있는 일이지만, 9-12년 동안 시간을 들여 전문적인 공부를 하고 그들의 지식, 의료 기술, 훈련 받은 것에 대해 진료 한 건당 40달러의 가치는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개넌 회장은 “2014년 예산편성 당시 연립 여당은 일반의 진료비 개인부담(환자가 진료 한 건당 7달러를 납부하고 나머지는 메디케어에서 커버)의 시행 도입을 원했고, 이것이 의료비에 기여할 것임을 언급했었다”면서 “그러나 이 방안은 실패로 돌아갔고 누구보다도 환자의 재정상황이나 주머니 사정을 잘 알 수 있는 각각의 일반의들에게 이 제도의 시행에 대해 제대로 판단할 기회를 주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브라이언 올러(Brian Owler) 전 호주의료협회 회장은 2014년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수상이 일반의 진료 한 건당 환자가 7달러를 내는 방안을 도입하려 했을 때 이의 실행에 적극 동조했었다. 개넌 현 회장은 “이 제도에 대해 각각의 의견을 들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 인해 240억 달러의 수입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연방 보건부 캐서린 킹(Catherine King) 대변인은 “연방정부는 일반의 진료비 개인부담을 재고려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그녀는 “국민들이 이 문제에 대해 완강하게 거절했다”며 “선거 캠페인 동안 펼쳤던 노동당의 메디케어 캠페인에 대해서는 후회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종합(메디케어 2).jpg

호주 의료제도의 현행 시스템 유지는 올해 연방선거에서 노동당이 활용한 가장 핵심적인 캠페인 중 하나였다.

 

이은주 객원기자

 

  • |
  1. 종합(메디케어 1).jpg (File Size:37.0KB/Download:44)
  2. 종합(메디케어 2).jpg (File Size:38.9KB/Download:4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537 호주 ‘네거티브 기어링’ 혜택 감안, “투자자가 제공하는 임대주택 표준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4536 호주 페로테트 주 총리, 자녀 ‘수영강습’ 지원하는 두 번째 바우처 사용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4535 호주 TGA, 생후 6개월 이상 유아에 ‘Pfizer COVID 백신’ 접종 승인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4534 호주 ‘COVID-19 종식 단계’ 진단에 호주 전염병 학자들, ‘대체적으로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4533 호주 전염병 방역 차원의 호주 국경 폐쇄로 현재 19만 명의 ‘이민 인력’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4532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여왕의 생일’ 명칭, 언제 ‘King's Birthday’로 바뀌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453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치명적 질환에 시달렸던 역대 군주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4530 호주 ‘Hi Mum’ 문자 메시지 피해 사례 급증... 지원단체, “손실 규모 빙산의 일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4529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4528 호주 NSW 정부, 공공부문 직원에 연간 20일의 가정폭력 유급 휴가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4527 호주 NSW ‘Childcare’ 비용, 보다 저렴해질 듯... 주 정부, 관련 법안 상정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4526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라지만... 시드니 주택 60% 이상, 10년 사이 가격은 두 배 뛰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4525 호주 NSW ‘Surf Life Saving’ 봉사자들, 주 전역 해변에서 ‘안전’ 활동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4524 호주 60만 달러 미만 가격으로 ‘sea change’가 가능한 해안 타운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4523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COVID-19 분석, “아직은 아니지만 끝이 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4522 호주 “COVID-19 감염, 다른 전염병 감염 위험 초래하는 면역체계 변화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452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영국 왕실에서 가장 불운했던 이름, ‘King Charles’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4520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엘리자베스 2세의 죽음, 왕실의 꿀벌에게도 ‘직접’ 알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4519 호주 각 카테고리 영주비자 신청인들, “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자의적이다”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4518 호주 줄리아 길라드 전 총리, “군주의 죽음은 호주 헌법 검토할 좋은 순간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