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홈리스 1).jpg

시드니 도심의 노숙자 수가 지난 2월과 비교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추운 겨울 시즌임을 감안할 때 노숙 생활을 버어난 이들이 늘어난 것은 결코 아니라는 지적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증가, 해결 방안은 시설 확충뿐

 

시드니 시티(City of Sydney) 카운슬이 도심 노숙자 수를 조사할 결과 지난 2월 이후 길거리에서 밤을 보내는 이들의 수가 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주 금요일(5일) ABC 방송이 보도했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 드러난 노숙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높아진 것으로, NSW 주 사회단체인 ‘Mission Australia’는 보다 많은 이들이 자선기관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드니 시티 카운슬(City of Sydney) 직원 및 자원봉사자들은 지난 주 화요일(2일) 시드니 도심 일대를 조사, 길거리에서 밤을 보내는 394명의 노숙자 수를 확인했다.

이는 지난 2월 조사와 비교, 92명이 줄어든 것으로, 시티 카운슬은 많은 이들이 노숙자를 위한 숙박시설에 들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수치는 같은 겨울 시즌인 지난해 8월보다 더 악화된 것으로, 당시 조사에서 노숙자 수는 452명으로 집계됐었다.

시드니 시티 카운슬은 이 같은 수치와 관련, “노숙자를 위한 보다 많은 사회적 지원과 적정 가격의 주택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시티 카운슬 노숙자 대책반의 트리나 기슬리(Trina Geasley) 매니저는 “주택이 늘어나지 않는 한 노숙자 문제는 해결될 수 없다”면서 “시티 카운슬은 노숙 경험이 있는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카운슬이 할 수 있는 모든 역할을 다하고 있지만 현재 노숙자 주거지에 입실하고자 대기하고 있는 이들은 6만 명에 달하고 있으며, 보통 10년을 기다려야 이 시설에 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복지수당을 받는다 해도 2주에 530달러 수준으로, 현재 시드니 지역의 주(week) 임대료가 평균 600달러 수준임을 감안하면 이들의 선택은 노숙밖에 없다”고 말했다.

NSW 주 ‘Mission Australia’의 벤 카블리스(Ben Carblis) 대표는 시드니 도심 노숙자 수가 지난 2월에 비해 감소했다는 집계에 반가움을 표하면서도 “본래 추운 겨울 시즌의 경우 길거리 노숙이 줄어든다는 점을 감안하면 위험 상황에 놓인 이들의 처지는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5년 전 인구조사 결과 NSW 주 전역의 노숙자 수는 2만8천 명에 달했다”며 “올해 실시되는(8월9일 실시됨) 조사에서 이 수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홈리스 1).jpg (File Size:59.5KB/Download:5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97 호주 City of Canada Bay, 지역사회 신진 지도자 대상 ‘리더십 프로그램’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796 호주 멜번 외곽 교외지역 신규 주택 블록, 이전 규모에 비해 더 작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795 호주 11월부터 ‘1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 금지’... NSW 정부, 사전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794 호주 NSW 주 지방의 ‘100만 달러 클럽’ 지역 늘어, 일부는 시드니 가격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793 호주 2022년 들어 현재까지 전 세계 COVID-19 사망자 100만 명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792 호주 “가계비 절감을 위한 70억 달러 규모 지원, 적극 활용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791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의 높은 대중적 지지도, 정점에 도달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790 호주 COVID-19는 언제, 어떻게 종식될까... 최상-최악의 시나리오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789 호주 “한줌의 땅콩, 체중감소-혈압 저하-심장 건강 유지에 도움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788 호주 연방정부의 연금 인상과 함께 NSW 주 정부도 ‘생활비 절감 혜택’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787 호주 휴가용 주택 수요는 여전히 강세... 5년 사이 최고 가격 상승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786 호주 공권력 남용? 전염병 대유행 후 NSW 주에서 ‘알몸 검색’ 4,500건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785 호주 각 산업 부문서 확산되는 인공지능 및 자동화... 여성 일자리, 빠르게 대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784 호주 호주인들, 정크푸드-알코올-도박-담배 등의 TV 광고에 ‘압도적 반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783 호주 호주의 계절 상식- 봄은 언제 시작되고 날씨가 따뜻해지는 시점은 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782 호주 RBA, 5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1994년 이래 가장 공격적 조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781 호주 Jobs Summit 2022- 팬데믹 이후 성별 임금격차 다시 확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780 호주 Jobs Summit 2022- 숙련기술 인력 부족 문제 위해 이민자 상한선, 크게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779 호주 고령 및 장애연금-간병인, 2주에 $30.90(독신)-$58.80(부부) 수당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778 호주 국내선 항공기 탑승시 마스크 의무 해제, 감염자 격리도 7일에서 5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