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웨스턴 시드니 1).jpg

연방 정부가 시드니 서부 지역 발전을 위해 구상한 ‘시티 딜’(city deal) 계획이 내년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사진은 이를 발표하는 도시계획부의 앵거스 테일러(Angus Taylor) 차관.

 

연방 도시계획부 밝혀... ‘촉매’는 뱃저리스 크릭 신공항 개발

 

시드니 서부지역에 보다 많은 일자리 및 경제적 기회 창출을 위해 제안된 ‘시티 딜’(city deal) 협의안에 대한 구체적 사항들이 내년부터 본격 현실화 될 것이라고 금주 월요일(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연방 도시계획부 앵거스 테일러(Angus Taylor) 차관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지난 7월 연방선거 캠페인에서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수상은 란세스톤(Launceston), 타운스빌(Townsville) 및 웨스턴 시드니(Western Sydney) 지역 발전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시티 딜’(city deal)을 성사시키기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맨체스터(Manchester)나 에버딘(Aberdeen)과 같은 영국 도시들에 적용된 개념에 근거할 때 이 계획은 각 지역 일자리 창출과 투자유치를 위해 지방 및 주, 연방 정부가 기업과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테일러 차관은 “시드니 서부지역의 경우 너무 광범위해서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하면서 “시드니 서부지역의 ‘시티 딜’에 대한 촉매제는 향후 10년 이내에 개통이 예정된 뱃저리스 크릭(Badgerys Creek) 공항 개발 건”이라고 말했다.

차관은 “뱃저리스 크릭 공항은 ‘클러스터’(cluster. 산업 군단)를 형성하는데 있어 강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거의 확실시된 ‘클러스터’로는 물류배송 및 첨단 제조업”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하지만 정부는 서부지역 도시의 교육 및 의료 분야에서 매우 강한 ‘클러스터’ 형성을 지켜보았으며, 이는 공항이나 그외 다른 산업과도 결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드니 서부지역 대상의 ‘시티 딜’을 설명하면서 테일러 차관은 파라마타(Parramatta) 이외의 타 도시들에 관한 잠재적 가능성도 강조했다. 파라마타는 그동안 NSW 주 베어드(Mike Baird) 수상이 후보지역에서 밀려난 타 도시들의 반발 속에서도 공공기관 이전을 단행했던 지역이다.

테일러 차관은 “분명 펜리스(Penrith)는 자연스럽게 막대한 성장세를 지속하면서 고용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며 “캠벨타운(Campbelltown)과 캠든(Camden)으로부터 남부 지역 그리고 리버풀(Liverpool)에 이르기까지 자연스럽게 이 성장세를 따르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테일러 차관의 미래 ‘시티 딜’ 시기에 대한 언급은 연방 및 주 정부가 뱃저리스 크릭 공항철도 계획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흘러나온 것으로 보인다.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는 이에 앞서 NSW 주 정부가 시드니 CBD-파라마타 간 메트로 철도 신설 사업에 착수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 노선은 시드니 서부 신공항(뱃저리스 크릭 공항)까지 확장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 사업은 내년에 공표될 NSW 주 종합 운송계획의 일부에 포함되어 있으나 실제 공사는 정부의 기존 철도사업 완료시기인 2023년 경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남서부 성장 중심 지역을 시드니 서부 철도노선에 연결하기 위해 뱃저리스 크릭을 통과해 남북 구간을 운행하는 철도 노선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토지 소유주들의 반발도 거센 상황이다.

 

종합(웨스턴 시드니 2).jpg

NSW 주 정부가 이달 초 발표한 시드니 CBD-파라마타 간 메트로 철도 신설 사업계획 노선.

 

강세영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웨스턴 시드니 1).jpg (File Size:28.3KB/Download:38)
  2. 종합(웨스턴 시드니 2).jpg (File Size:51.2KB/Download:4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37 호주 항체 관련 혈액검사... 호주 성인 COVID-19 감염 비율 최소 46%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6 호주 가계생활비 부담 크게 증가... 호주 중앙은행은 이를 어떻게 대처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5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50베이시스포인트 또 인상, 4개월 연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4 호주 호주 어린이들의 새 영웅으로 부상한 원주민 소녀 전사 ‘와일라’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3 호주 알바니스 총리, ‘Indigenous Voice to Parliament’ 관련 ‘국민투표’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2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일반 및 재활용 폐기물 분리 수거 ‘강화’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31 호주 NSW 주 정부, 일선 가정-성폭력 지원 단체에 추가 기금지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30 호주 호주, “비자발급 지연으로 해외 재정 관련 전문인력 유치 실패...”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29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위축됐지만... NSW 주 지방 지역 주택가격 ‘지속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28 호주 전염병 대유행 이후 진단 지연됐던 말기환자 치료 수요,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27 호주 인플레이션 상승-실질임금 하락했으나 일부 기업 이익은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26 호주 NSW 주의 ‘포커머신’ 도박자들, 지난 30년간 1,350억 달러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25 호주 생후 6개월-5세 사이 취약 영유아 대상으로 COVID-19 백신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24 호주 호주 최고의 엔터테이너 중 하나인 주디스 더엄씨, 7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23 호주 전염병 대유행 이후 ‘온라인 시험 부정행위’ 돕는 인터넷 사이트,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22 호주 ‘쉐어하우스’ 세입자들, 겨울 시즌 하루 17시간 ‘최저 건강온도’에서 보내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21 호주 라이드 지역구 빅터 도미넬로 의원, 은퇴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20 호주 NSW 주 법무부, 일선 비상상황 서비스 종사자 ‘법적 보호’ 강화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9 호주 파라마타에서 카툼바까지... ‘Great West Walk’ 산책로, 80km 연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8 호주 홍수로 인한 주거지 피해-임대료 관련, “보조금 신청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