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인터넷 상황 1).jpg

다양한 분야에서 인터넷 활용이 보편화된 지금, 간단한 사이트를 여는 데에도 로딩을 기다려야 한다면 참으로 답답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주택매매 에이전트들이 매매 광고에 해당 지역의 인터넷 속도를 표기하지 않는 것에 놀랐다고 말한다.

 

시드니- 스트라스필드, 멜번은 칼튼 지역 꼽혀

 

IT 관련 분야 전문가가 아닌 이상 대개의 인터넷 사용자들은 사무실이나 가정에 연결된 인터넷이 1초당 몇 메가바이트의 속도를 갖고 있는지 정확히 알려고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을 통해 동영상을 볼 때 자주 버퍼링이 나게 되면 인터넷 접속속도에 문제가 있음을 느끼게 된다.

오늘날 우리 일상에서 인터넷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너무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만약 홈 비즈니스나 온라인을 통해 먼 지역과 연계해 일을 처리해야 한다면 업무 효율성은 인터넷 속도에 따라 다르게 마련이다.

그럼에도 거주 지역을 선택하는 데 있어 인터넷 접속 속도를 상위 요소에 두는 이들은 많지 않은 게 사실이다.

지난 8월 초 발표된 ‘Domain Liveable Sydney’에서 ‘범죄발생률과 거주 적합성’, ‘젊은 전문직 종사자의 주거 적합지역’ 등으로 세분화 하여 집계한 자료 가운데는 ‘주거지역(suburb) 선택시 우선 고려사항’도 포함돼 눈길을 끈 바 있다(본지 1208호 보도).

이에 따르면 시드니사이더들이 해변가나 하버 전망을 가진 지역을 선호한다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인터넷 접속 상황이 좋은 지역을 우선 고려한다’는 응답이 첫 순위로 나타난 바 있다.

그렇다면 호주에서 인터넷 접속 상황이 가장 좋은 지역은 어디일까? 지난 주 금요일(9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부동산 섹션인 ‘도메인’은 부동산 에이전트 관련 비교 사이트인 ‘OpenAgent’ 자료를 인용, 각 주별 인터넷 접속 속도가 가장 좋은 지역을 꼽았다.

최근 호주의 각 지역별 인터넷 접속 속도를 비교한 ‘OpenAgent’ 설립자 마르타 히게라(Marta Higuera)씨는 “부동산 에이전트들이 주택매매 광고를 게재하면서, 해당 지역의 인터넷 접속 속도를 언급하는 곳이 극히 드물다는 점에 놀랐다”고 말했다.

광대역 네트워크(National Broadband Network. NBN) 출시는 느리게 진행되고 정치 이슈화 되고 있으며, 이것이 인터넷 속도에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남기고 있다.

사실 호주의 인터넷 기반은 전 세계와 비교해 크게 뒤떨어진 상황이다.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전문회사인 ‘아카마이’(Akamai)의 인터넷 기반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의 평균 인터넷 속도는 올해 30단계나 하락했다.

하지만 인터넷을 기반으로 원격 작업을 수행하거나 TV 시청 등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호주 기술분석 회사인 ‘Telsyte’ 자료를 보면 호주 소비자들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기기 구입에 지출하는 비용은 3억8,300만 달러에 이르고 있다.

‘Telsyte’ 사의 포드 파다기(Foad Fadaghi) 대표는 “특히 사물 인터넷과 같은 ‘스마트’ 기기의 경우 원활한 인터넷 기반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은 얼리 어댑터(early adopter. 남들보다 먼저 신제품을 구입, 사용해보는 소비자)들에게 있어 필수적 전제조건”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NBN에 대한 대기수요(pent-up demand)는 상당한 수준”이라고 언급한 뒤 “소비자들이 각자의 인생에서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가능성이 있음을 깨닫게 되면서 보다 나은 인터넷 수요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파다기 대표는 “이 같은 수요가 부동산 에이전트 및 판매자들로 하여금 빠른 주택매매를 성사시키도록 이끄는 요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OpenAgent’가 조사한 각 도시별 인터넷 속도에서 상위 지역(suburb)은 다음과 같다.

 

■ 시드니 : Strathfield

시드니 도심에서 서쪽으로 12킬로미터 거리에 있으며, 지난 2013년 NBN이 처음 설치된 지역이다. 스트라스필드 기차역은 NSW 주에서 가장 큰 역 가운데 하나이며 파라마타 경전철 계획에도 정차 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중간 주택가격 : 하우스 / $2,162,500, 유닛 / $710,000

-중간 임료대 : 하우스 / $700(per week), 유닛 / $520(per week)

 

■ 멜번 : Carlton

광역 시드니의 스트라스필드와 함께 멜번에서 NBN이 처음 설치된 곳이다. 멜번 소재 대학과 인접해 학생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중간 주택가격 : 하우스 / $1,263,000, 유닛 / $360,000

-중간 임료대 : 하우스 / $580(per week), 유닛 / $400(per week)

 

■ 브리즈번 : Ascot

브리즈번에서 NBN이 처음 설치된 곳으로 오래된 주택과 녹색공원이 잘 조화된 아름다운 지역으로 꼽힌다. 근래 브리즈번에서 가장 인기 있는 주거지역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저렴한 가격의 아파트 및 유닛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중간 주택가격 : 하우스 / $1,095,000, 유닛 / $447,500

-중간 임료대 : 하우스 / $668(per week), 유닛 / $360(per week)

 

■ 퍼스 : East Victoria Park

빅토리아 파크(Victoria Park) 및 이스트 빅토리아 파크(East Victoria Park)는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에서 NBN이 처음 설치됐다. 아름다운 주택과 길거리에 운집된 카페들, 적정한 주택가격으로 상당히 인기 있는 지역으로 꼽힌다.

-중간 주택가격 : 하우스 / $628,000, 유닛 / $395,000

-중간 임료대 : 하우스 / $430(per week), 유닛 / $320(per week)

 

■ 애들레이드 : Prospect

애들레이드 북부에 자리하며 전문직 종사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인터넷 속도가 애들레이드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집계된 것은 다소 의외의 결과이다.

-중간 주택가격 : 하우스 / $590,000, 유닛 / $326,500

-중간 임료대 : 하우스 / $390(per week), 유닛 / $280(per week)

 

종합(인터넷 상황 3).jpg

호주인들이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기기 구입에 지출하는 비용은 연간 3억8,300만 달러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광대역 네트워크 설비 작업이 느리게 진행되면서 부동산 업계에서도 각 지역별 인터넷 접속속도가 중요한 사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인터넷 상황 1).jpg (File Size:37.9KB/Download:44)
  2. 종합(인터넷 상황 3).jpg (File Size:46.8KB/Download:4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57 호주 6월 호주 실업률 3.5%로 하락... 거의 9만 개 일자리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6 호주 서부호주 항구도시 프리맨틀, ‘World's top 50 travel destinations’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5 호주 2021년도 HSC 시험대상 학생들 부정행위, 이전년도 비해 27%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4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3 호주 호주 상위기업 CEO들은 어떻게, 얼마나 많은 급여와 보너스를 챙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2 호주 올해 5월까지 지난 1년 사이, 시드니 전역 주택 17채 가운데 1채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51 호주 NSW 주 기술-훈련부, 100만 명 이상 대상 TAFE 기술교육 제공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50 호주 Northern Territory 원주민 기대수명 증가했지만... “더 많은 노력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9 호주 인슐린 주사 필요성 없을 수도... 당뇨 환자들에게 ‘희소식 가능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8 호주 COVID-19 감염자 확산... 정부, 재감염 시기 관련 조언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7 호주 여행자 수요에 한정됐던 캐러밴, ‘임대 위기’ 상황 해결책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6 호주 재택근무자들, “더 긴 시간 일하고 효율성 떨어지며 체중 증가 경험” 토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5 호주 15년 만의 정신건강 관련 국가 조사, 젊은 여성층에서 ‘가장 위험’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4 호주 지원 연장된 COVID 병가 보조금, 지급 대상과 신청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3 호주 올 하반기의 호한경제협력위원회 회의, 핵심은 ‘녹색 에너지’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2 호주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로 인한 한 개인의 ‘잔혹하게 현실적인’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1 호주 전례 없은 ‘주거 위기’ 속, 호주 전역의 빈 주택 수 100만 채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0 호주 6월 분기 시드니-멜번 중간 주택가격, 2019년 초반 이후 처음으로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9 호주 호주 물가상승률 6.1%로 치솟았지만... “최고점 지나고 있다”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8 호주 NSW 교육부, 초등학교 내 방과 전후 돌봄 서비스 확충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