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바삼 함지 1).jpg

고울번(Goulboun) 소재 중범죄자 교도소인 ‘수퍼맥스’(SuperMax) 내 도서관의 책자 안에서 발견된 휴대전화. 당국은 이 전화가 이곳에 수감 중인 폭력조직 ‘Brothers 4 Life’ 설립자 바삼 함지(Bassam Hamzy)의 것으로 보고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갱 조직 ‘Brothers 4 Life’ 설립자, 도서 안에 감춰

 

NSW 주의 가장 위험한 수감자 중 하나로 꼽히는 폭력조직 ‘Brothers 4 Life’ 설립자 바삼 함지(Bassam Hamzy)가 가장 엄격한 보안을 자랑하는 고울번(Goulburn) 소재 중범죄자 교도소인 ‘수퍼맥스’(SuperMax)에서 휴대전화를 교묘하게 반입, 외부와 접촉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주 목요일(1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수퍼맥스’ 교도소는 이날 교도소 내 도서관에 비치된 한 도서 안에 감추어져 있던 3인치(약 7센티미터) 크기의 소형 휴대전화기를 발견했다. 휴대전화기는 두터운 도서의 제본된 부분을 파 낸 뒤 그 안에 감추어져 있어 책을 펼쳐들기 전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 등을 발행하는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는 ‘수퍼맥스’ 교도소 직원의 제보를 통해 이 휴대전화가 살인죄로 복역 중인 바삼 함지와 연결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페어팩스 미디어는 이어 이 휴대전화가 얼마 동안이나 교도소 내에서 사용되었는지, 또 얼마나 자주 누구와 통화했는지는 조사 중이라고 덧붙였다.

‘극히 위험한 수감자’로 분류되어 있는 바삼 함지는 현재의 고울번 소재 ‘수퍼맥스’로 이송되기 전 지난 2008년 리스고 교도소(Lithgow prison)에 수감되어 있을 당시에도 감옥 내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다 적발된 사례가 있다.

당시 5월에서 6월 사이 그는 리스고 교도소에서 휴대전화로 하루 450통 이상 외부와 통화를 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바삼 함지는 교도소에 수감 중임에도 불구, 휴대전화를 이용해 ‘B4L’ 조직원들에게 시드니와 멜번 일대에 엄청난 양의 마약 공급을 지시했으며, 또한 다른 불법 갱 조직의 위협을 중재하기도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 NSW 주 교정서비스 당국은 “최고 보안을 유지하는 ‘수퍼맥스’ 교도소 안으로 휴대전화가 반입된 것에 대해 정확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NSW 교정부의 데이빗 엘리엇(David Elliott) 장관은 “교도소 안으로 물품을 몰래 반입하려는 시도는 전 세계 어디에서든 마찬가지”라면서 “하지만 그런다 해도 우리는 이를 찾아낼 것이며, 그에 따른 추가 처벌을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도서관의 도서 안에서 휴대전화가 발견된 후 ‘수퍼맥스’ 측은 모든 수감실 및 수감자 물품을 조사했으며, 불법 휴대품인 라디오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종합(바삼 함지 2).jpg

도서의 제본 부분을 파 낸 뒤 그 안에 감추어져 있던 휴대전화기. 3인치 크기의 전화기로 교묘하게 감추어져 있었다.

 

종합(바삼 함지 3).jpg

NSW 주 교도소에서 가장 위험한 인물 중 하나로 분류되어 있는 폭력조직 두목 바삼 함지(Bassam Hamzy).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바삼 함지 1).jpg (File Size:45.2KB/Download:37)
  2. 종합(바삼 함지 2).jpg (File Size:44.9KB/Download:36)
  3. 종합(바삼 함지 3).jpg (File Size:50.7KB/Download:3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7 호주 기후변화 심각... 2030년까지 25가구 중 1가구, 주택보험 가입 불가능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6 호주 2022-23 회계연도, 변경되는 규정은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5 호주 Sydney's gangland... ‘범죄도시’라는 오명을 얻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4 호주 Census 2021- ‘이너 시드니’ 경제 수준, 호주 전체 평균보다 훨씬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3 호주 밀레니엄 세대의 지방 지역 이주, 지난 5년 사이 최고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72 호주 시드니-멜번 부동산 시장 위축 불구, 12개월 사이 가격 상승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71 호주 2019-20년도 호주 전역 ‘여분의 침실’ 1,300만 개... 더 나은 용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70 호주 IT 분야의 빠른 기술 발전 불구, NSW 주는 19년 전 강의 계획 ‘그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69 호주 COVID-19 4차 접종, 7월 11일부터 가능... 알아야 할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68 호주 ACMA, 이동통신사에 ‘문자메시지’ 관련 새 규정 적용... 사기행각 차단 위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67 호주 호주 소비자들의 ‘Buy now, Pay later’ 지출, 119억 달러로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66 호주 국가 성별 임금격차 분석... 여성 근로자에 ‘암울한 그림’ 보여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65 호주 NSW 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중 가장 많은 인구 순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64 호주 호주인들, 이전보다 더 장수하지만 만성질환 안고 있는 이들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63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 임대료,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19%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62 호주 NSW 주 정부, 스몰비즈니스-NFP 단체 대상으로 홍수피해 지원금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61 호주 COVID-19 감염자 다시 확산... 정부, 실내 마스크 착용 강력 ‘권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60 호주 NSW 주 정부, 취약 지역사회 대상 RAT 키트 무료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9 호주 6월 종료된 COVID-19 병가 보조금 지급, 9월 말까지 연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8 호주 하루 필요한 양의 야채 섭취하는 호주 성인, 10명 가운데 1명도 안 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