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원주민 MP).jpg

캔버라(Canberra) 연방 의회에서 한 자리에 모인 원주민 출신 연방 의원들. 사진 왼쪽부터 말란디리 맥카시(Malarndirri McCarthy), 켄 와이야트(Ken Wyatt), 린다 버니(Linda Burney), 팻 닷슨(Pat Dodson), 재키 람비(Jacqui Lambie) 의원.

 

역대 최다 의회 입성... ‘호주사회 일치’ 위해 협력 약속

 

올해 연방 선거에서는 호주 원주민 출신으로 의회에 입성한 이들이 5명에 이르는 등 최다 기록을 남겼다.

20년 전인 지난 1996년, 백호주의 부활을 기치로 등장한 ‘One Nation Party’의 폴린 핸슨(Paulin Hanson)이 호주의 다문화 사회에 상당한 충격을 주면서 부상했다가 시들해진 이후, 올해 연방 선거를 통해 지난 수년 사이 호주 최대 이슈가 된 ‘테러’를 무기 삼아 반무슬림 기치를 내세워 다시금 부활하면서 극단적인 발언을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원주민 출신 의원들은 한 목소리로 ‘호주사회의 일치’를 위해 하나로 손잡을 것임을 약속했다.

이들 5명의 의원은 자유당의 프론트벤처(frontbencher. 집권 여당의 장관, 야당 내각의 주요 간부 등 의회 앞자리를 차지하는 의원들) 켄 와이야트(Ken Wyatt), 노동당 프론트벤처 팻 닷슨(Pat Dodson)과 린다 버니(Linda Burney) 하원의원, 상원의 말란디리 맥카시(Malarndirri McCarthy), 무소속의 재키 람비(Jacqui Lambie. ‘Jacqui Lambie Network’ 대표) 등이다.

4개 주(state) 기반, 3개 정당의 원주민 의원 5명은 지난 주 금요일(16일)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가 마련한 인터뷰 자리에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여 ‘핸스니즘’(Hansonism)의 확산으로 반목의 심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한 목소리로 ‘화해’와 ‘일치’를 강조했다.

9월 초 의회 개회 후 시작된 ‘One Nation’ 소속 상원의원 폴린 핸슨의 극단적 내용을 담은 연설은 다른 초선 의원들의 처녀연설 주제에 묻혀버렸다. 핸슨 다음에 이어진 맥카시 의원의 연설 내용 또한 마찬가지였다.

린다 버니 의원은 “맥카시 의원의 연설 내용은 모두를 포용해야 한다는 아주 힘 있고 중요한 내용이었다”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버니 의원은 지난 2003년 NSW 주 하원에 진출, 올해까지 연임해 왔으며, 호주 노동당 빌 쇼튼(BillShorten) 대표에게 발탁, 올해 연방선거 왓슨 지역구 후보로 지명되어 선거에서 승리, 연방의회에 진출했다.

호주 원주민 야우루(Yawuru) 부족 원로이자 호주사회의 융화에 앞장서 옴으로써 ‘화해의 아버지’(Father of Reconciliation)라는 별칭을 얻은 팻 닷슨(Pat Dodson) 의원은 “‘One Nation’의 인기가 결코 수그러들지 않았음이 드러난 현재, 진실로 호주사회의 융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람비 의원은 극우적 퀸즐랜더(Queenslander. 폴린 핸슨)를 비판하지는 않았지만 맥카시 의원의 연설에 대해서는 칭찬을 이어갔다. 그녀는 맥카시 의원의 연설 내용에 대해 “사회적으로 소외되어 처참한 생활을 이어온 호주 토착민들에게, 뭔가를 해낼 수 있다는 기회와 희망을 주는 것이며, 이는 또한 다른 이들로부터 들을 수 있는 그 어떤 것보다 중요하고 실질적으로 격려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6년 전만해도 호주 연방의회에 진출한 원주민 출신 의원은 나오지 않았다. 현재는 호주 전역에서 지역민들을 대표하는 원주민 출신이 배출되고 있다.

원주민 ‘눙가르’(Noongar), ‘야마찌’(Yamatji), 웡기(Wongi) 부족민과 연관이 있는 켄 와이야트(Ken Wyatt) 의원은 “압력과 비판을 통해 서로를 지원할 수 있다”고 말하며, 모두가 다시 한 자리에 만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얀유와’(Yanyuwa) 부족 출신인 맥카시 의원도 “이 나라를 위해 바람직한 일을 할 수 있다고 믿으며, 그러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와이야트 의원은 이미 자신(원주민 출신)들의 존재가 원주민 정책에 대한 캔버라(연방 의회)의 태도를 바꿀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5명의 원주민 의원들은 호주 헌법에 원주민에 관한 사항을 명문화하는 국민투표를 포함, 정부의 원주민 정책 주요 항목에 대한 더딘 진행과 상반된 결과에 대해 한결같이 실망감을 표출했다.

와이야트 의원은 지난 2010년 의회에 진출했으며 현재 턴불(Malcolm Turnbull) 정부의 보건 및 고령자 서비스 차관으로 있다. 그는 노동당 줄리아 길라드(Julia Gillard), 케빈 러드(Kevin Rudd), 자유-국민 연립의 토니 애보트(Tony Abbott)에서 현 턴불 정부에 이르기까지 원주민 관련 정책의 가시적은 약속이 여전히 이행되지 않고 있음을 비판했다.

또한 그는 “원주민 정책과 관련, 진정한 변화를 가져오려는 여야 양당의 노력은 전혀 없었다”고 비난하면서 국가 지도자에게 의존하는 대신 모든 연방 의원들이 지역 원주민 단체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그들에게 필요한 정책을 입안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닷슨 의원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의점을 찾아야 함에도 이를 방해하는 의회의 적대적 관계를 개탄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원주민 MP).jpg (File Size:38.7KB/Download:3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417 호주 COVID-19 감염자 다시 확산... 정부, 실내 마스크 착용 강력 ‘권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16 호주 NSW 주 정부, 스몰비즈니스-NFP 단체 대상으로 홍수피해 지원금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15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 임대료,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19%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14 호주 호주인들, 이전보다 더 장수하지만 만성질환 안고 있는 이들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13 호주 NSW 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중 가장 많은 인구 순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12 호주 국가 성별 임금격차 분석... 여성 근로자에 ‘암울한 그림’ 보여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11 호주 호주 소비자들의 ‘Buy now, Pay later’ 지출, 119억 달러로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10 호주 ACMA, 이동통신사에 ‘문자메시지’ 관련 새 규정 적용... 사기행각 차단 위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9 호주 COVID-19 4차 접종, 7월 11일부터 가능... 알아야 할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8 호주 IT 분야의 빠른 기술 발전 불구, NSW 주는 19년 전 강의 계획 ‘그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7 호주 2019-20년도 호주 전역 ‘여분의 침실’ 1,300만 개... 더 나은 용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6 호주 시드니-멜번 부동산 시장 위축 불구, 12개월 사이 가격 상승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5 호주 밀레니엄 세대의 지방 지역 이주, 지난 5년 사이 최고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4 호주 Census 2021- ‘이너 시드니’ 경제 수준, 호주 전체 평균보다 훨씬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403 호주 Sydney's gangland... ‘범죄도시’라는 오명을 얻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402 호주 2022-23 회계연도, 변경되는 규정은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401 호주 기후변화 심각... 2030년까지 25가구 중 1가구, 주택보험 가입 불가능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400 호주 호주의 COVID-19 사망자, 1만 명 넘어서... 다른 국가와의 비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399 호주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호주의 빈 주택, 전체의 10% 달하는 100만 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39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실생활에 미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