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jpg

라이드(Ryde) 소재 2개 침실 주택의 경매 현장. 이 지역 주택개발 업체가 잠정가격에서 23만 달러 오른 151만 달러를 제시, 최종 낙찰받았다.

 

창고 개조한 캠퍼다운 소재 아파트, 잠정가서 48만 달러 올라

 

시드니 지역 주택공급 부족으로 가격상승이 이어지면서 경매 매물을 매입, 재개발을 통해 수익을 올리는 주택개발 회사로 인해 낙찰가격도 더욱 오르고 있다.

10월 첫 주말인 지난 주 토요일(1일), 라이드(Ryde)의 한 젊은 커플은 노스 로드(North Road) 상의 한 주택을 구매하기 위해 입찰했지만 마지막 순간, 이 지역 주택개발 회사에 밀려 내집 마련을 다음으로 미루어야 했다.

이날 젊은 커플이 구매하려 했던 주택은 3개 침실의 웨더보드(weatherboard. 비막이 판자)로 지어진 주택이었다. 벽돌 건축물이 아니고 또 비교적 오래된 주택이어서 적정 가격에 구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던 커플은 마지막 순간, 이 지역 주택건축 회사 관계자가 제시한 151만 달러의 벽을 넘지 못하고 물러나야 했다. 이 낙찰가격은 잠정가에서 23만 달러나 오른 금액이었다.

라이드 소재의 이 주택은 지난 주말, 시드니 경매에 매물로 등록된 263채의 주택 중 하나였다. 부동산 분석회사 ‘도메인 그룹’(Domain Group)에 따르면 이날 경매는 매물 주택 중 187채가 거래돼 76.6%의 낙찰률을 기록했다.

건설 관련업에 종사하는 라이드 거주 알리 단단(Ali Dandan. 28)씨는 노스 로드 상의 주택이 경매 매물로 나온 것을 알고는 이 주택을 구매하기로 결정했다. 단단씨는 이 주택을 120만 달러 선에서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날 100만 달러에서 시작된 경매는 곧바로 120만 달러로 치솟았다. 단단씨가 이 금액을 지시하자 다른 젊은 입찰자가 123만 달러를 불렀고, 망설이던 단단씨는 130만 달러를 제시했다.

이날 경매는 두 입찰자의 가격경쟁으로 진행, 130만 달러 이후부터는 5천 달러씩 높여가며 이 주택을 차지하기 위해 두 입찰자가 양보하지 않았다. 그러던 중 가격은 150만 달러까지 치솟았고, 단단씨는 더럭 두려운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그는 이 주택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다.

그런 가운데 두 젊은 입찰자의 가격경쟁에 종지부를 찍은 사람은 따로 있었다. 두 사람의 가격제시를 조용히 지켜보던, 토니라는 이름의 이 지역 주택개발 업체 운영자였다. 150만 달러에서 경매가 잠시 주춤하던 가운데, 이제가지 지켜만 보던 그가 151만 달러를 부른 것이었다. 단단씨는 더 이상 높은 가격을 제시할 여력이 없었고, 이날 경매를 진행한 마크 로버츠(Mark Roberts) 경매사에게 “I’m out”이라며 포기 의사를 밝혔다.

3살, 1살짜리 두 자녀를 두고 있는 단단씨는 1년 전부터 단독주택을 구입하고자 노력했다. 현재 거주하는 있는 유닛은 4가족이 살기에 너무 불편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는 “우리 가족이 거주할 정도의 주택은 너무 높은 가격으로 번번이 경매에서 고배를 마셨다”고 털어놓았다.

이 주택을 매물로 내놓은 마리 우드콕(Maree Woodcock)씨는 단단씨와는 또 다른 감정의 씁쓸함이 있었다. 목수로 일하는 존(John)씨와 함께 20대에 이 주택을 마련, 약 50여년을 거주해 온, 그야말로 많은 애환이 깃든 보금자리였기 때문이었다.

“1959년 우리가 결혼했을 때 존은 23살, 나는 20살이었다”는 그녀는 “그해 6월 결혼을 했고 11월15일 이 집으로 이사했다”고 말했다. 우드콕씨 부부는 632스퀘어미터의 주택 부지를 구입, 주택을 지었다. 가격에 대해서는 정확히 기억하지 못했지만 마리씨는 30대에 은행에서 융자했던 비용 2천600파운드를 되갚았다고 덧붙였다.

이 주택 매매를 진행한 ‘Tracy Yap Realty’ 사의 맥스 프레이시(Max Pracy) 에이전트는 19개 그룹이 입찰에 응했으며, 110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경매에서 화제가 된 또 하나의 주택은 이너 웨스트(inner west) 지역 캠퍼다운(Camperdown)의 2개 침실 아파트였다. 사탕수수 창고 건물을 아파트로 개조한 이 주택은 잠정가격에서 무려 48만 달러가 오른 183만 달러에 낙찰됐다.

143스퀘어미터의 내부 면적에 북동향의 넓은 개별 테라스를 갖고 있는 아파트로, 이의 매매를 진행한 ‘Belle Property Newtown’ 사에 따르면 매물로 등록된 이후 46그룹이 인스펙션을 했으며 이중 38그룹이 입찰했다. 잠정가격에서 48만 달러를 더 지불하고 이 주택을 낙찰받은 이는 달링포인트에 거주하는 부부로, 이들은 기존 주택을 줄여 이주하고자 이 아파트를 구매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jpg (File Size:65.8KB/Download:3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417 호주 COVID-19 감염자 다시 확산... 정부, 실내 마스크 착용 강력 ‘권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16 호주 NSW 주 정부, 스몰비즈니스-NFP 단체 대상으로 홍수피해 지원금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15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 임대료,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19%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14 호주 호주인들, 이전보다 더 장수하지만 만성질환 안고 있는 이들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13 호주 NSW 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중 가장 많은 인구 순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12 호주 국가 성별 임금격차 분석... 여성 근로자에 ‘암울한 그림’ 보여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11 호주 호주 소비자들의 ‘Buy now, Pay later’ 지출, 119억 달러로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10 호주 ACMA, 이동통신사에 ‘문자메시지’ 관련 새 규정 적용... 사기행각 차단 위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9 호주 COVID-19 4차 접종, 7월 11일부터 가능... 알아야 할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8 호주 IT 분야의 빠른 기술 발전 불구, NSW 주는 19년 전 강의 계획 ‘그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7 호주 2019-20년도 호주 전역 ‘여분의 침실’ 1,300만 개... 더 나은 용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6 호주 시드니-멜번 부동산 시장 위축 불구, 12개월 사이 가격 상승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5 호주 밀레니엄 세대의 지방 지역 이주, 지난 5년 사이 최고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4 호주 Census 2021- ‘이너 시드니’ 경제 수준, 호주 전체 평균보다 훨씬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403 호주 Sydney's gangland... ‘범죄도시’라는 오명을 얻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402 호주 2022-23 회계연도, 변경되는 규정은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401 호주 기후변화 심각... 2030년까지 25가구 중 1가구, 주택보험 가입 불가능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400 호주 호주의 COVID-19 사망자, 1만 명 넘어서... 다른 국가와의 비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399 호주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호주의 빈 주택, 전체의 10% 달하는 100만 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39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실생활에 미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