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사산아).jpg

호주에서 사산아 출산이 한해 1천700건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루 평균 5건에 이르는 것으로, 사산아재단(Stillbirth Foundation Australia)은 이에 대한 교육 강화를 통해 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호주 사산아재단 자료... 지난 한해 사산아 1,718명

 

지난 한 해 호주에서 발생된 사산아 출산은 1,718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주 금요일(30일) ABC 방송이 전했다.

이는 하루 약 5명 꼴로, 호주 사산아재단(Stillbirth Foundation Australia)은 이 같은 수치에 대해 “매우 놀라운 것”이라며 “지난 수십 년 동안 호주의 사산아 출산 비율은 크게 나아진 것이 없다”고 우려했다.

이 재단의 빅토리아 보우링(Victoria Bowring) 이사장은 ABC 방송의 뉴스 시사프로그램인 ‘AM’에서 “우리는 호주 사산아 출산의 3분의 1을 예방할 수 있다”며 “현재 필요한 것은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할 자금, 이에 대한 교육, 게다가 임신 여성, 의료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캠페인”이라고 강조했다.

사산아재단의 이번 자료는 동 재단이 호주 통계청(ABS) 수치와 민간 부분의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집계한 것이다.

사산아재단의 후원자인 크리스티나 케넬리(Kristina Keneally) 전 NSW 주 수상은 “사산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라며 “오늘날, 호주에서 발생되는 유아돌연사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 DIDS)이 하루 35건에 달하고 있는데, 이번 사산아 수치는 이를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케넬리 전 수상은 이어 “호주 연구진의 연구를 통해 호주는 물론 전 세계에서 SIDS 수치가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고 있다”며 “우리는 사산아 출산을 막을 수 있고 그에 대한 답을 가질 수 있으며 임신 여성들에게 자신 있게 조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케넬리 전 수상은 지난 1999년, 딸인 캐롤라인씨가 사산아를 출산한 아픔을 갖고 있다. 그녀는 “부모 입장에서 이는 상당한 비극이고 슬픔이 아닐 수 없다”며 “그렇기에 이를 받아들이고 또 누군가에게 털어놓은 것이 매우 어려운 일임을 잘 안다”고 덧붙였다.

사산아재단은 임신 여성이 건강한 아이를 출산할 수 있는 단계가 있다면서 태아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즉시 병원에 알리는 등 기본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사산아).jpg (File Size:37.4KB/Download:5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417 호주 COVID-19 감염자 다시 확산... 정부, 실내 마스크 착용 강력 ‘권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16 호주 NSW 주 정부, 스몰비즈니스-NFP 단체 대상으로 홍수피해 지원금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15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 임대료,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19%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14 호주 호주인들, 이전보다 더 장수하지만 만성질환 안고 있는 이들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13 호주 NSW 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중 가장 많은 인구 순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12 호주 국가 성별 임금격차 분석... 여성 근로자에 ‘암울한 그림’ 보여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11 호주 호주 소비자들의 ‘Buy now, Pay later’ 지출, 119억 달러로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10 호주 ACMA, 이동통신사에 ‘문자메시지’ 관련 새 규정 적용... 사기행각 차단 위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9 호주 COVID-19 4차 접종, 7월 11일부터 가능... 알아야 할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8 호주 IT 분야의 빠른 기술 발전 불구, NSW 주는 19년 전 강의 계획 ‘그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7 호주 2019-20년도 호주 전역 ‘여분의 침실’ 1,300만 개... 더 나은 용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6 호주 시드니-멜번 부동산 시장 위축 불구, 12개월 사이 가격 상승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5 호주 밀레니엄 세대의 지방 지역 이주, 지난 5년 사이 최고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4404 호주 Census 2021- ‘이너 시드니’ 경제 수준, 호주 전체 평균보다 훨씬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403 호주 Sydney's gangland... ‘범죄도시’라는 오명을 얻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402 호주 2022-23 회계연도, 변경되는 규정은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401 호주 기후변화 심각... 2030년까지 25가구 중 1가구, 주택보험 가입 불가능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400 호주 호주의 COVID-19 사망자, 1만 명 넘어서... 다른 국가와의 비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399 호주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호주의 빈 주택, 전체의 10% 달하는 100만 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439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실생활에 미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