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그레이하운드 1).jpg

그레이하운드 개 경주 금지 철회를 발표하는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NSW 수상. 의회에서 금지 법안이 통과된 지 불과 6주 만에 이를 철회함으로써 그의 정치적 신뢰 추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주 의회 법안 통과 6주 만에... 동물보호기구 등 ‘조롱’

 

NSW 주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수상이 그간 논란의 대상이 됐던 그레이하운드 개 경주 전면 금지법을 철회함으로써 그의 정치적 신뢰성에 타격을 입게 됐다.

베어드 수상은 지난 8월24일, 내년 7월부터 NSW 주에서 그레이하운드 개 경주를 전면 금지시키는 ‘그레이하운드 개 경주 금지법’(Greyhound Racing Prohibition Act)을 주 의회에서 통과시킨 바 있다.

하지만 관련 산업계의 이에 대한 강한 반발과 지지도 하락, 오는 11월12일 오렌지 지역의 보궐선거, 당내 국민당 의원들의 반대에 부딪힌 베어드 수상은 법안이 통과된 지 6주 만에 번복을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뉴스폴(Newspoll) 여론조사 결과 베어드 주 수상의 정책에 대한 유권자 만족도는 개 경주 금지법 이후 급격히 추락했다.

금주 화요일(11일) 금지법 철회 발표 소식이 온라인으로 알려지면서 공식적인 발표가 있기도 전에 시민들은 SNS를 통해 그를 ‘겁쟁이’라고 부르는 등 비난을 이어갔다. 비난 대열에 가세한 이들은 지지도 하락이 무서워 말을 바꿨다는 것이다.

야당은 “당시 확신에 차 있던 주 수상의 모습은 어디로 갔는가?”라며 그를 비난했고, NSW 동물보호기구인 RSPCA(Royal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의 스티브 콜맨(Steve Coleman) 대표는 “금지법이 구체적으로 실행되기도 전에 엎어진 것은 매우 짜증나는 일”이라고 퍼부었다.

그레이하운드 개 경주 전면 금지법을 제정하게 된 배경에는 당시 마이클 맥휴(Michael McHugh) 전 연방 고등법원 판사가 주관했던 특검 보고서에서 지난 12년 동안 경주용 그레이하운드 6만8천 마리가 안락사됐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온 때문이었다.

그레이하운드뿐 아니라 살아있는 동물을 개 경주의 미끼로 쓴 한 조련사의 이야기는 ABC 방송 고발 프로그램인 ‘포코너스’(Four Corners)에서 다뤄졌고, 빠르지 않거나 경주에 쓸모없다는 이유로 건강한 그레이하운드 수만 마리를 안락사 처리한 것은 동물 학대라는 여론이 팽배했다.

NSW 주는 “금지법은 철회했지만 동물학대 방지를 위한 새로운 법안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베어드 수상은 “동물학대 금지에 대한 입장은 변함없다”며, 주 정부는 살아있는 동물을 개 경주의 미끼로 쓸 경우 경주 자체를 평생 금지시킬 것과 징역형 기간을 연장하겠다는 것, 그레이하운드의 평생 등록 금지 등을 법안으로 제안했다. 또한 개 경주 산업의 독립된 규제 감독기관을 설립하고 법률 집행, 처벌, 동물복지 등을 위한 자원을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종합(그레이하운드 2).jpg

경주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수만 마리의 경주용 그레이하운드가 안락사 처분되자 NSW 정 베어드 수상은 개 경주 금지를 발표했다가 이에 대한 반발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정을 철회, 비난과 조롱을 받고 있다.

 

이은주 객원기자

 

  • |
  1. 종합(그레이하운드 1).jpg (File Size:36.2KB/Download:36)
  2. 종합(그레이하운드 2).jpg (File Size:79.8KB/Download:3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7 호주 올 겨울 독감환자 지속 증가... 안면 마스크는 이에 얼마나 효과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916 호주 호주 주택시장 둔화를 무색케 하는 지방 핫스폿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5 호주 RBA의 기준금리 인상... 대출금 상환-저축예금 금리는 어떻게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4 호주 파라마타 경전철 1단계 12km 구간, 16개 트램 역 명칭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3 호주 “각 지역 주유소의 연료비 소매가, 스마트폰으로 확인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2 호주 NSW 주, 갱년기 건강 서비스 제공 위한 4천만 달러 기금 지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1 호주 시드니-고스포드 고속철도 계획, 2시간 소요→25분으로 단축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0 호주 호주 사커루, 대륙간 플레이오프서 페루에 신승... 카타르 본선행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9 호주 5회 연속 월드컵 진출... 호주의 ‘2022 카타르’ 본선 토너먼트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8 호주 법률센터-고용 관련 단체들, 이주노동자 대상의 보다 나은 보호조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7 호주 NSW 도미닉 페로테트 주 총리, 부동산 인지세 개혁 추진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6 호주 올해 전 세계의 '높은 생활비' 조사 결과 호주 도시들, 낮은 순위에 랭크됐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5 호주 센터링크 구직자 지원 프로그램, 다음달부터 ‘Workforce Australia’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4 호주 광역시드니 5월 주택경매 낙찰률, 지난 1년 평균 비해 크게 낮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3 호주 호주 각 도시-지방 지역 주택, 광역시드니 중간 가격으로 구매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2 호주 Wollongong Art Gallery 후원자 Bob Sredersas, “나치 정보원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1 호주 5월 NSW 주의 노동시장 참여율, 66.2%로 사상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0 호주 “호주의 스포츠 산업, 향후 10년간 일자리 창출 ‘황금기’ 맞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9 호주 호주 아동기 암 환자 생존율, 지난 수십 년 사이 ‘지속적 향상’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8 호주 호주 국경 개방 이후 출입국 증가했으나 팬데믹 이전 수준에는 크게 못 미처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