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택건설 1).jpg

현재 각 주 저부의 건축물 고도 제안 등을 다소 완화하여 20%만 높게 허용해도 시드니의 경우 매년 4천 채 이상의 적정가격 주택을 공급할 수 있다는 제안이 나왔다. 사진은 시드니 지역의 한 건축물 공사 현장.

 

‘Urban Taskforce’ 제안... 20% 규제 풀면 연 4천 채 가능

 

시드니 주택가격의 고공행진은 최근의 일이 아니다. 특히 다른 주요 도시에 비해 크게 높아진 시드니 주택가격은 계층간 위화감으로 나타날 조짐을 보이는 등 사회적 문제를 안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연방정부도 시드니의 적정 주택가격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고 있는 가운데, 이 문제 해결의 한 방안이 제안돼 눈길을 끌고 있다.

금주 월요일(24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건설관련 로비 단체인 ‘어반 타스크포스’(Urban Taskforce)는 정부가 건설회사에 보다 대규모의 고층 건축물 건설에 대한 재량을 줄 경우 시드니 지역에 적정 가격을 보장하는 4만 채 이상의 주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어반 타스크포스의 이 같은 제안은 금주 월요일(24일) 연방 재무부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장관이 시드니 소재 ‘호주 주택개발연구원’(Urban Development Institute of Australia)에서 한 발언 내용과 일치하는 대목이다.

이날 모리슨 장관은 주택개발연구원에서 “적정 가격의 주택을 공급하는 것은 턴불 정부의 중요 정책 중 하나”라며 주택공급에 장애가 되는 불필요한 행정 절차(red-tape)를 없애 달라고 주 정부에 요청했다.

부동산 개발업자, 건설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이날 모임에서 모리슨 장관은 주택소유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또한 지나친 주택가격 상승이 민간 임대시장에도 상당한 압력이 되고 있음을 언급했다.

장관은 시드니의 주택가격 문제를 지적하면서 현재 중간 주택가격은 시드니 거주 가구의 가처분 소득에 비해 무려 9배나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특히 장관은 적정가격의 주택공급 부족이 여러 사회-경제적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지적했다.

어반 타스크포스의 크리스 존슨(Chris Johnson) 대표는 이 같은 주택문제와 관련, NSW 정부의 건축물 고도 제한으로 인해 더 많은 주택을 공급하지 못하고 있음을 제기하면서 건설업계에 조금 더 재량을 허용할 경우 보다 저렴한 주택공급을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

건설회사가 주택을 건설할 경우 현재 규정보다 20% 높고 크게 개발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경우 시드니에만 매년 수천 채의 주택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존슨 대표는 “이는 이전과 달리 시드니 지역의 적정가격 주택 공급에 있어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만약 정부 규정을 변경 현재보다 20% 이상 높고 넓게 주택건설이 허용된다면 5층 규모의 아파트는 6층으로, 10층의 아파트를 12층으로 건설할 수 있으며, 이로써 매년 4천 채, 향후 10년간 4만 채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다는 게 어반 타스크포스의 설명이다.

존슨 대표는 이어 “이렇게 하여 추가로 마련된 주택은 매각하기 전, 연방정부의 임대지원 계획에 맞춰 현 임대시장에 비해 20% 낮은 비용으로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존슨 대표는 ‘어반 타스크포스’의 의견임을 전제로 “이는 적정 가격의 주택을 더 많이 공급할 수 있는 아주 간단한 방법”이라며, “다만 각 커뮤니티가 보다 높아진 건축물 고도 문제를 수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NSW 주 주택관련 단체 모임인 ‘NSW Federation of Housing Associations’의 웬디 헤이허스트(Wendy Hayhurst) 대표는 이 같은 제안에 대해 “아주 좋은 방안”이라며 “주택개발 로비 단체가 적정가격의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이런 방안을 제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평가했다.

헤어허스트 대표는 이 같은 제안에 환영의 뜻을 보이면서 “향후 10년간 4만 채의 신규 주택공급 성공 여부는, 주 정부는 물론 의회에서의 법안 통과 등 복합적인 상호 작용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종합(주택건설 2).jpg

연방 재부무의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장관. 그는 시드니의 지나친 주택가격 문제를 연방정부가 깊이 인식하고 있으며, 적정가격의 주택공급 확대가 턴불 정부의 주요 정책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주택건설 1).jpg (File Size:57.2KB/Download:45)
  2. 종합(주택건설 2).jpg (File Size:32.5KB/Download:4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7 호주 올 겨울 독감환자 지속 증가... 안면 마스크는 이에 얼마나 효과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916 호주 호주 주택시장 둔화를 무색케 하는 지방 핫스폿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5 호주 RBA의 기준금리 인상... 대출금 상환-저축예금 금리는 어떻게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4 호주 파라마타 경전철 1단계 12km 구간, 16개 트램 역 명칭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3 호주 “각 지역 주유소의 연료비 소매가, 스마트폰으로 확인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2 호주 NSW 주, 갱년기 건강 서비스 제공 위한 4천만 달러 기금 지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1 호주 시드니-고스포드 고속철도 계획, 2시간 소요→25분으로 단축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0 호주 호주 사커루, 대륙간 플레이오프서 페루에 신승... 카타르 본선행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9 호주 5회 연속 월드컵 진출... 호주의 ‘2022 카타르’ 본선 토너먼트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8 호주 법률센터-고용 관련 단체들, 이주노동자 대상의 보다 나은 보호조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7 호주 NSW 도미닉 페로테트 주 총리, 부동산 인지세 개혁 추진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6 호주 올해 전 세계의 '높은 생활비' 조사 결과 호주 도시들, 낮은 순위에 랭크됐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5 호주 센터링크 구직자 지원 프로그램, 다음달부터 ‘Workforce Australia’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4 호주 광역시드니 5월 주택경매 낙찰률, 지난 1년 평균 비해 크게 낮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3 호주 호주 각 도시-지방 지역 주택, 광역시드니 중간 가격으로 구매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2 호주 Wollongong Art Gallery 후원자 Bob Sredersas, “나치 정보원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1 호주 5월 NSW 주의 노동시장 참여율, 66.2%로 사상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0 호주 “호주의 스포츠 산업, 향후 10년간 일자리 창출 ‘황금기’ 맞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9 호주 호주 아동기 암 환자 생존율, 지난 수십 년 사이 ‘지속적 향상’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8 호주 호주 국경 개방 이후 출입국 증가했으나 팬데믹 이전 수준에는 크게 못 미처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