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기대수명).jpg

호주인 기대수명이 더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호주 통계청(ABS)이 최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기대수명은 10년 전에 비해 여아 및 남아 각 1.2세, 1.9세가 늘어났다. 하지만 인구학 학계는 주먹구구식으로 계산해도 기대수명은 각 4년가량 늘어났다고 말했다.

 

인구학 학계, “대충 계산해도 각 4년 길어졌다”

 

호주인 기대수명이 더욱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태어나는 여아는 평균 84.5세, 남자 아이는 평균 80.4세까지 살 수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0년 전 통계(여자 83.3세, 남자 78.5세)에 비해 더 길어진 것이다.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의 새 자료는 현재 30세가 된 여성은 앞으로 55년을, 36세 여성은 50년, 18세는 70년, 2.4세 여아는 100년까지 장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보여준다.

또 30세 남성은 51년, 32세 50년, 15.6세는 70년을 더 살 수 있으며 2.2세의 경우 100세를 채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호주 내 각 지역별 기대수명을 보면 ACT(Australian Capital Territory)가 가장 높아 새로 태어나는 여아의 경우 85.3세, 남자 아이는 81.2세로 분석됐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북부 호주(Northern Territory)로 여아는 78.5세, 남아는 75.7세로 분석됐다.

호주 원주민 기대수명은 비원주민에 비해 크게 낮아 남성은 10.6년, 여성은 9.5년을 덜 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이 같은 기대수명에 대해 인구학 학계는 이 기대수명 수치가 약간 과소평가된 것이라고 보고 있다.

멜번대학교 인구학자인 피터 맥도널드(Peter McDonald) 교수는 “이번 기대수명 수치에는 더욱 개선된 부분이 포함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통계청은 어느 특정 개인의 수명이 아니라 현재 상태가 변하지 않을 경우 사람들이 살 수 있는 예상 수명을 분석한 것”이라며 “지난 200년 사이 여러 상황을 감안, 수명은 크게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의 이번 집계에는 호주인들이 평균적으로 80 또는 84세까지 살아가는 동안 더 긴 수명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부분은 고려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점을 감안하면, 새로 태어나는 아이들은 훨씬 장수를 누릴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맥도널드 교수는 “주먹구구식 계산으로 봐도 기대수명은 4년 길어진 것”이라며 “이는 수명이 길어지는 새로운 개선 상황이 없다 하더라도 새로 태어나는 여아는 88세까지, 남아는 85세까지 살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기대수명).jpg (File Size:67.4KB/Download:3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57 호주 ‘사커루’의 5회 연속 월드컵 진출, 페루와의 마지막 일전만 남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4356 호주 간질 환자의 ‘발작’에 ‘사전 경고’ 제공하는 모바일 앱 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4355 호주 NT 관광청, 우기 시즌의 감소하는 다윈 지역 여행객 유치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4354 호주 NSW 주 정부, “응급서비스 부문 2천 명 이상 직원 추가 배치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4353 호주 호주 납세자 30%만이 청구하는 세금 공제 항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4352 호주 에너지 사용료 증가... 태양광 패널 설치는 투자 가치가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4351 호주 노동당 정부 내각 구성... 10명의 여성-젊은 의원들, 장관직 발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4350 호주 연방선거 패배 자유당, 새 지도자로 보수 성향의 피터 더튼 전 국방장관 선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4349 호주 Best bars & restaurants for Vivid Sydney 2022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4348 호주 NSW 주, 민간 불임클리닉 이용 여성들에게 최대 2천 달러 리베이트 지급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4347 호주 운전자 주의 산만하게 하는 ‘스마트 워치’, 호주에서의 관련 규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4346 호주 NSW 주 정부, 각 가정의 에너지 사용 요금 지원 확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4345 호주 정부 백신자문그룹, 적격 인구에 COVID-19 백신 4차 접종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4344 호주 NSW 주 정부, 신원도용 피해자 지원하는 새 서비스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4343 호주 광역시드니 단독주택과 유닛의 가격 격차, 기록적 수준으로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4342 호주 첫 주택구입자에게 권장되는 ‘affordable and liveable’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4341 호주 ‘3D 프린팅 주택’, 호주 주택 위기에 대한 해결책 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4340 호주 노동당 승리로 끝난 올해 연방선거, Who are the winners and losers?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4339 호주 퍼스트레이디가 되는 새 총리의 파트너 조디 헤이든, 그녀의 행보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4338 호주 제47대 연방 의회에 등장한 다양한 얼굴들, ‘정치적 대표성’의 새 전환점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