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jpg

콩코드 웨스트(Concord West) 소재의 헤리티지 주택 경매 전 인스펙션을 하는 경매 참가자들. 606스퀘어미터의 부지임에도 이날 경매 낙찰가는 227만 달러에 달했다.

 

606스퀘어미터 블록, 227만 달러 낙찰... 이 지역 인기 반영

 

지난 주말 경매의 화제 중 하나는 콩코드 웨스트(Concord West) 소재 이안드라 스트리트(Iandra Street) 상의 헤리티지(heritage) 주택이었다.

‘메카라’(Mekara)라는 이름의 이 헤리티지 주택은 지난 주말 시드니 지역에 등록된 총 768채의 매물 중 하나로, 잠정가에서 27만 달러 오른 가격에 매매됐다.

이날 저녁, 부동산 분석회사 ‘도메인 그룹’(Domain Group) 집계에 따르면, 시드니 주말 경매에는 510채의 주택이 거래돼 79.5%의 낙찰률을 기록했다.

이 회사 수석 경제학자 앤드류 윌슨(Andrew Wilson) 박사는 “시드니 지역 주택시장의 호황을 보여주는 것으로, 다음 주 주말 경매 역시 판매자들 입장에서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날 헤리티지 주택을 구매한 이는 이 지역의 은퇴한 부부로, 이들은 3개 침실의 캘리포니아 방갈로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227만 달러를 지불했다.

7주 전, 부동산 중개회사 ‘Devine Real Estate’ 사를 통해 기존 거주 주택을 매각한 이들은 새로운 주택을 구입하고자 매물을 찾아왔으며, 이날 구입한 주택 가격에 대해서는 “예상했던 가격”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옥외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는 주택을 보아 왔다면서 이날 구매한 부동산의 경우 넓은 정원과 온수 수영장이 있어 구매를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부부는 현 주택가격이 상당히 높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본인들이 예상한 가격이 넘을 경우에는 구매를 포기할 마음이었음도 덧붙였다.

이날 경매에는 약 55명의 군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6개 그룹이 입찰에 응했다. ‘Devine Inner West’의 피터 에더릿지(Peter Etheridge) 경매사는 170만 달러에서 경매를 시작했다.

경매가 시작된 초반, 입찰자들이 5만 달러씩 높여 제시하면서 가격은 금세 200만 달러를 넘어섰고, 이후부터는 은퇴부부와 크로이돈(Croydon)에서 온 젊은 가족들 사이의 가격경쟁이 시작됐다. 이어 225만 달러로 올랐을 때 크로이돈 가족이 1만 달러를 추가로 제시했지만 더 이상의 경쟁을 포기하면서 이 주택은 은퇴 부부에게 돌아갔다.

이 주택 매매를 진행한 ‘Devine Real Estate Concord’ 사의 로저 아가(Roger Agha) 판매 에이전트는 “예상했던 것보다 좋은 가격에 매각했다”면서 “이 지역에서 200만 달러 초반 대에서 낙찰된 몇 안 되는 주택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

아가 에이전트는 이어 “콩코드 웨스트의 경우 기차역이 가까이 있고 공원 및 제반 편의시설이 두루 갖추어져 부동산 시장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며 “주택의 전체 부지를 감안할 때 이너 웨스트(inner-west)의 다른 지역에 비해 뒤지지 않는 낙찰가였다”고 덧붙였다.

총 606스퀘어미터 블록인 이 주택의 소유자였던 다니엘과 닐 라플리(Danielle and Neil Rapley)씨는 매입 후 최대한의 개조를 한 뒤 3년간 거주했다며 헤리티지 주택으로 인해 개조를 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날 경매가는 이들 커플의 예상치를 훌쩍 넘은 것이었다. 직업 군인으로 복무한 바 있는 닐씨는 시드니 주택시장이 여전히 호황임을 인정하면서 11살의 아들 윌리엄을 손으로 가리켰다. 그러면서 “다음 세대를 보면 우려되는 바가 없지 않다”며 “향후, 이 아이들이 자기 주택을 구입할 때는 지금보다 훨씬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jpg (File Size:67.9KB/Download:3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37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제31대 호주 총리에... 9년 만에 노동당 정부 구성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4336 호주 Just embarrassing... 호주 젊은이들, “정치인들? 결코 신뢰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4335 호주 서던 하일랜드의 오랜 역사유적 ‘Berrima Gaol’, 700만 달러에 매각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4334 호주 “어린이를 위한 온라인 스토리타임, 이중언어로 즐기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4333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호주 구세군 연례 모금 행사 협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4332 호주 어린이 축제조직위원회, 각 미디어 통해 올해 이벤트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4331 호주 4월 호주 실업률 4% 아래로 낮아졌지만... 일자리 창출은 거의 멈춤 상태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4330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 임대료 높아져... 10개 서버브 중 9개 지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432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반세기 전 3만 달러 구입 주택, 548만 달러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4328 호주 Federal Election 2022- 각 주-테러토리 접전 선거구 결과가 승패 좌우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4327 호주 ‘최저임금’ 논란... 임금 인상이 인플레이션 악화-이자율 상승 초래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4326 호주 ‘Living with COVID’라지만... 매일 평균 40명, 코로나바이러스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4325 호주 ‘Super Home Buyer’에 자유당 연금 장관, ‘가격 상승 가능성’ 인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4324 호주 호주의 ‘공화제’ 지지, 3년 전 비해 다소 증가... “여왕 사후 모멘텀 커질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4323 호주 기술 부문 취업한 대학졸업자 임금, 최대 연간 35만 달러... 구인난 계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4322 호주 2022년 ‘아치볼드’, 101년 만에 두 번째로 원주민 출신 화가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4321 호주 호주 구세군, 연례 ‘Red Shield Appeal’ 모금 행사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4320 호주 “뱅스타운, 오는 2036년까지 호주의 주요 보건-웰빙 중심지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4319 호주 ‘Pink Lady’ 품종의 사과 개발한 원예학자 존 크립스씨, 95세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4318 호주 COVID 팬데믹으로 ‘공공보건-사회적 결속 위한 지역사회 언어 중요성’ 부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